컨택 후 면담을 다녀온 학부생입니다. 과제가 많은 곳인 줄은 알고 갔지만 생각보다 훨씬 많은 것 같습니다. 인건비가 제가 생각하는 평균치의 2~3배였어요. 돈을 많이 주는만큼 해야될 일도 많을 거라고 하셔서 걱정인데 괜찮을까요? 대학원이야 어차피 힘든거겠지만.. 연구과제가 많으면 훨씬 힘든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08.14
연구과제 예산이 해마다 팍팍 삭감되는 현실에서 풍족한 과제예산을 가지고 있으니 경제적으로 어려울 일은 없겠네요.
직설적인 노엄 촘스키*
2023.08.14
장점: 돈, 취업 단점: 연구
취업이 목표면 좋은 연구실이고, 학계가 목표면 피해야 할 연구실입니다
대댓글 2개
2023.08.14
과제가 많다는 것 자체가 교수님이 유망하다는 거임. 아이디어가 많든, 학계에 인지도가 있든, 연구를 잘하든 학계가 목표면 오히려 저 기회를 잡아야지.
직설적인 노엄 촘스키*
2023.08.14
뭔 학계진출을 지도 교수님 인지도로 하나
2023.08.14
기업과제 많은거는 별로구요 학생입장에서 좋은 렙이 아닙니다. 가장 좋은건 연구재단 과제만으로 렙 운영하는건데 그런 교수님이 잘 없는게 문제죠.
2023.08.14
과제가 많다는건 나쁜일은 아닙니다. 그보다는 랩에서 나오는 연구실적, 즉 논문을 봐야합니다.
1. 과제가 많고 그에따른 인건비도 많은데 거기에 논문도 잘 나온다. (랩 학생과 교수모두 주저자(그중에서도 주로 맨앞 맨뒤)인 페이퍼가 괜찮은 저널에 많이 나온다) --> 이상적인 상황입니다. 일은 좀 바쁘겠지만 배울것도 많고, 얻어가는것도 많을거고요. 무엇보다 돈 걱정 안해도 되고, 졸업 후 학계나 인더스트리 양쪽 방향 모두에 유리합니다.
2. 과제가 많고 인건비도 많이주는데 실적은 구리다. --> 박사로 갈만한 랩은 아닙니다. 석사의 경우 졸업 후 취업을 염두에 둔다면 갈만 합니다.
2023.08.14
기업 과제 많은 곳은 걸러라고 보통 말하긴 하는데 신생랩이면 어쩔 수 없음. 연구재단 NRF 년차 과제 따기도 어려울 거고 기업과제 용역이라도 뛰어 야지..
대댓글 1개
2023.08.14
이유가 있을까요? 회사를 희망한다면 기업과제가 좋을 것 같아서요
2023.08.14
맡고 있는 사업들 꽤 있는데 이거 다 잘라내고 싶다
사업 진행상황 보고하러 오래도 오지도 않고 결과물 달래도 제대로 된것도 없고 다 없애고 새로 발주 내고 싶다
세금 아까워 후
2023.08.14
대학원 과정이 원래 힘든 건 맞긴 한데 과제 하느라 치여서 힘드냐 연구하느라 힘드냐, 이유가 달라지죠. 학생에게 남는 것도 달라지고요. 저는 과제 많고 인건비도 많은 연구실 다니고 있습니다. 제가 뭔갈 공부하거나 연구할 시간 없이 밤낮없이 주말까지도 일만 하고 있는데 돈은 회사보다 적게 받으니 학위과정을 왜 하려 했나 싶은 기분이 듭니다. 괴제가 사람 수에 비해 너무 많아서 일손이 부족한데 연구가 잘 되는 연구실이 있을까, 생각하면 의문스럽네요. 과도한 업무로 인해 연구에 대한 의지가 꺾인 사람들을 많이 봤어요. 그래도 취업은 다들 잘 합디다.
2023.08.14
2023.08.14
대댓글 2개
2023.08.14
2023.08.14
2023.08.14
2023.08.14
2023.08.14
대댓글 1개
2023.08.14
2023.08.14
2023.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