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런 고민은 진지한 관계가 된 다음에나 시작하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4 - 보통 동양인 남자는 다른 인종에게 인기가 정말 없습니다. 이성으로 볼 확률은 희박하니 (우리가 흑인 여자 보는것과 비슷하려나요) 괜히 상처주지 마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4 - 걍 이미 김박사넷에서 연애상담하는 행위자체가 이성으로써 Red flag임다.....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5 - 일단 미국박사냐 국내박사냐 양자택일의 고민을 할 정도로 미국박사가 (아시겠지만) 그리 쉽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본인이 대학원 생각이 있으시다면 미국박사를 도전하실수 있는 레벨을 만들어 두시고 고민해도 늦지 않다고 봅니다.
석사냐 박사에 따라 다를거 같은데 풀펀딩 이야기 하시는거 보니 박사 기준에서 말씀드릴께요.
일단 박사과정에서 gpa는 일정 이상만 넘으면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그리고 아마? 소자쪽이시면 논문이 비교적 잘 나오는 분야로 알고 있는데 탑스쿨이 아니더라도 international 기준 주저자 논문 몇편씩 들고 가는 경우가 적지 않을 겁니다.
따라서 다이렉트 박사 생각하시는거면 따로 연구경험/실적이 없다면 거의 확률이 0에 가깝습니다. 석사 진학하시고 연구 경험 및 실적 쌓고 + 양질의 강력한 추천서를 들고 지원하시면 가능성이 생길 겁니다.
국내리턴도 생각하면 미국 박사 vs 국내 박사
9 - 트럼프 행정부가 끝나는 2028년까지 이전 년도에 지원했지만 떨어진 사람들이 누적되기 때문에 다음에 도전한다 해도 더 좋은 결과를 얻긴 힘들 것 같습니다. 심지어 이전에 합격했던 곳도 내년에 지원할 경우 떨어질 수 있고요.
실망스러운 지원 결과와 현지 상황
12 - 음.. T20 밑이더라도 충분히 괜찮은 수준이라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히 경쟁이 심하다고 꿈꾸지 말라는 거면 공감이 안가네요.
대학원이 과거보다 경쟁이 심해졌다한들 여전히 T20에 한해 많은 한국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습니다. 고우해커스에만 열명 넘고 그 모두가 수석차석도 아니요 spk만 있지도 않죠. 저는 학점 3초반으로 T10, 20 받았는걸요. 그 누구에게든 꿈꿔서도 안될 높은 목표는 아닙니다.
만약 T50이라도 좋은 곳이라고 얘기하고 싶은거면 이해가갑니다. T50은 대부분 이미 서울대 카이스트보다 수준이 낫고, 종종 각 나라 최상위 학교 뿐 아니라 심지어 미국의 최상위 학부도 박사학위하러오니까요. 그렇다고 “이렇게 뛰어난 애들이 있으니 너에게 그 위는 언감생심이다“라는 식으로 말하면 안되죠.
기본적으로 한국사회는 철저히 랭킹위주의 생각을 하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남들따라서 T10이니 T20을 읊는 학생이 많을 뿐입니다. 그렇다고 그 목표를 바라고 물어봐서도 안되나요?
CS T10 T20 질문은 그만 했으면 좋겠습니다.
9 - 안녕하세요. 얼마 전 인건비 부당 회수 문제로 자퇴 고민 글을 올렸던 학생입니다. 결국 자퇴를 하게 되었고, 자퇴 직전 겪은 마지막 일화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지도교수님(충남대 ㅈㅎㅇ 교수)은 자퇴하는 마지막까지 BK21 장학금이 들어왔는지를 물으시며, "그건 국가에 환수해야 하니까 인출해서 가져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저는 이 말이 이상하여 산학협력단에 문의해 보겠다고 하니, "내가 다 알아봤으니까 그냥 인출해오라"고 강하게 말씀하셨습니다.
이후 과사에 문의하자 "BK 장학금은 학생 본인이 받는 게 맞다"고 하여, 교수님께 다시 말씀드렸습니다. 그러자 교수님은 태도를 바꾸어 "내가 그거 나한테 가져오라고 말 안 했었나?"라고 하셨고, 이 발언은 **녹취로 확보되어 있습니다.**
랩실로 다시 올라갔더니 썩은 표정을 지으시며, "그래서 그 돈을 그냥 가지겠다고?"라는 식으로 마치 본인이 손해를 보는 듯한 말투로 저를 비난하셨습니다. 이 모든 과정이 너무 충격적이었고, 마지막까지 인간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에 큰 실망감을 느꼈습니다.
현재 이 상황을 한국연구재단 또는 교육부에 신고할지 진지하게 고민 중입니다. 혹시 저와 비슷한 경험이 있으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BK장학금마저 가져오라고 한 교수님… 자퇴하며 겪은 마지막 일화입니다
31 - Kist 선임인데 서울과기대랑 비교당하는거 자존심 상하네..
적어도 인서울 상위권이랑 비교해야 레벨이 맞고 나는 sky 아래로 이직할 생각 전혀 없음
소득 측면에서는 과제 인센티브가 많아서 서울과기대 보다는 높을듯. 근데 회사과제 인건비가 없어서 회사 과제 많이 하는 교수님들보다는 적게 벌듯. 기술이전 하시는 분들은 더 많이 범
학생은 세종대, 지거국 정도 레벨에서 오는데 학교랑 다른 장점은 포닥 수급 잘 되고 퀄리티가 높음. 나도 포닥 위주로 랩 운영중. 서울대, 카이스트에서도 많이 와서 연구로만 치면 잘하는 랩들은 국내 최고 수준임. 평균으로 봐도 서성한이나 적어도 중경외시급은 될듯.
출퇴근, 출장은 거의 자유롭고 개인 오피스도 주는데, 조직 문화는 센터마다 많이 다름. 교수들처럼 자율적으로 랩 운영하고 수평적으로 대하는 조직도 있고 회사보다 상명하복 더 엄격한 조직도 있음. 나는 전자에 있어서 만족하는데 돈은 후자가 더 많이 범. 과제를 조직적으로 따와서
KIST 선임 vs 국립대(서울과기대 공주 한밭..)
19 - 추가로 타 정출연이면 국립대가 더 나아요
KIST 선임 vs 국립대(서울과기대 공주 한밭..)
10 - 진짜 철없는 소리다....
대학원을 무작정 버텨서 졸업하라는 것은 옛말
19 - 닥 미국임 해봐서 압니다.
미박을 갈 수는 있을까요
8 - 작성자분도 교수님의 눈에서는 탁월한 사람일겁니다. 그렇게 모인 사람들 사이에서 빛이 난다는 건 쉽지 않겠지요.
교수님이 자기는 탁월한 사람만 뽑는다
16 - “우리 랩에는 버러지만 있어“라는 말을 듣고 싶진 않았을거잖아요 😱.
교수님이 자기는 탁월한 사람만 뽑는다
12
사람을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는 사회가 되기를
2023.08.09

인서울이라해도 서카포 이하 대학원들이나
학부는 역량적인 측면에서도 인식적인 측면에서도
일반적으로 우리 보다 낮다고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
서연고 이하 부터
인서울 끝자락들 마저도 지방대생이면 무시하는 마당에
서울대와 같은 서울권 학생이라고
부심 부리는거 보면 아직 20대 초반의 관습을 벗어나지
못한 후반들이 많은것 같기도 하다.
인식하면 당연한 개념이 되어버리겠지만,
비교하면 끝이 없다는건 누구나 아는 말이듯
Mit, 스탠포드, 하버드, 등은 고사하고
아시아계의 도쿄대와 칭와대와 비교하더라도
서카포마저도 비슷하거나 밀리는 경향이 있다.
결국 윗물에는 윗물이 또 있으니
나보다 직위든 학위든 아래 있는 사람이라고
교수든 괴수든 학생이라고 혹은
후배든 어떤 직위 직장을 가지든
얕잡아 보지 마라는 것이다.
김박사넷이면
대다수 20대 후반부터 시작 일텐데
더 넓은 견문과 넓은 식견을 가지고
학위에만 국한되지 않았으면 하며
결국 인생이란게
대통령과 노벨상 정도의 명예가 아니라면
1세대만 지나더라도 내이름 석자를 기억해주는
이는 아무도 없을 것이다.
서카포 학부 출신이라 해도
더 나아가 세계권 일류 학생들과 경쟁해보면
또 다른 개성들이 엿보이고
내 자신이 얼마나 우물안 개구리로서
국내에서나 왕좌놀이를 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올바른 지적 수준을 가진다는것은
나보다 뒤떨어져 보이는 고졸이나 공무원들을
비판 아닌 비난을 하며 자신의 상대적으로
위상을 지키는것이 정석적인 개념이 아니다.
상대방이 어떠한 모습을 하든
존중 할줄 알고
다른 면에서 나보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나의 역량으로 그사람을 어떻게 케어하거나
그 사람에게 나보다 다른 측면에서 배울점이 있다면
찾아보고 기준을 다르게하여 동시에 생각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세상을 열심히 살아가다 보면
학위는 나보다 낫지만, 재력이든, 예체능이든, 외모든,
사업스킬이라던지, 인맥이 마당발이라던지,
얼마든지 나보다 다른 측면에서 뛰어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우물안 개구리처럼 공부에만 국한되지 말고
교수든 괴수든 학부생이든 대학원생이든
사람 대 사람의 인격으로서 자아를 존중해주는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큽니다.
어차피 젊음은 10대 20대 잠시일 뿐,
1세대만 지나더라도
나자신 이름 석자 조차 모르는 사람들 뿐이니
타인은 존중하고 자기자신의 인생의 길만 신경썻으면 합니다.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김GPT 152 22 23982
무시가 아닌 존중이 김GPT 12 1 5156
서울대 교수도 반박하지 못한 말 김GPT 33 69 31905-
65 16 8083
사회는 냉정하군요 김GPT 14 17 5670
사회 어디를 가든 마찬가지지만 김GPT 31 8 6403
서성한 무시하지마라 김GPT 2 1 3726
명문대생들 존경한다 김GPT 14 19 13778-
28 17 11792 -
212 34 26671 -
309 31 90617 -
182 29 3685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미국 유학의 명과 암
59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97 - 연구-교육에 열정을 잃은 공대 교수님들께 드리는 시니컬한 메세지...(ㅂㄷㅂㄷ)
414 - ML탑티어, PAMI 다써본 입장에서 정리해줌
21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31 - 박사졸업을 앞두고 더 일찍알았으면 더 잘할수있을텐데 싶은 것들
212 - 질문)저는 경기도 그저그런 대학교 학부졸업예정자입니다.
13 - 개 미 친 싸 이 코 같 은 리 뷰 어 새 X
132 - 공대 박사 주저자 논문이 없어요
12 - 대학원 그만두고 싶은데 그냥 출근 안해도 되나요?
34 - 인생 첫 논문 리뷰 받고 멘탈 가출했다 컴백홈 한 후기
28 - 교수님이 자기는 탁월한 사람만 뽑는다
6 - 이틀 밤새 준비한 데이터 교수님께 빠꾸먹었네여
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BK장학금마저 가져오라고 한 교수님… 자퇴하며 겪은 마지막 일화입니다
44 - 충남대 공대 4.0 카이스트 불가능할까요?
25 - KIST 선임 vs 국립대(서울과기대 공주 한밭..)
32 - 난양공대로 유학가고 싶습니다.
9 - 대학원을 무작정 버텨서 졸업하라는 것은 옛말
13 - 학점 낮은 학부생은 대학원 어디로 가야 할까요?
11 - 미박을 갈 수는 있을까요
10 - 대학원 스펙 평가해주세요..
10 - 28살 대학원 신입생 적응이 걱정됩니다.
7 - 한양대 서강대 지스트 디지스트 대학원 가도 괜찮을까요?
10 - 대학원 목표로 하는 학부생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10 - 석박통합은 누가만든건지...
6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부 문제입니다. 도와주세요.. 한양대 컴소 선택 안하고 서강대 컴공을 해버렸습니다.
32 - 해외 유학에서 미국뽕이 극심한 이유
40 -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5 - 미국 유학의 명과 암
59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97 - ML탑티어, PAMI 다써본 입장에서 정리해줌
21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31 - 개 미 친 싸 이 코 같 은 리 뷰 어 새 X
132 - 공대 박사 주저자 논문이 없어요
12 - 대학원 그만두고 싶은데 그냥 출근 안해도 되나요?
34 - 인생 첫 논문 리뷰 받고 멘탈 가출했다 컴백홈 한 후기
28 - 교수님이 자기는 탁월한 사람만 뽑는다
6 - 이틀 밤새 준비한 데이터 교수님께 빠꾸먹었네여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 펀딩 오퍼 받았는데 생활 가능할까요?
34 - 미국 CS 대학원 유학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필요합니다.
19 - 국내리턴도 생각하면 미국 박사 vs 국내 박사
12 - 실망스러운 지원 결과와 현지 상황
18 - CS T10 T20 질문은 그만 했으면 좋겠습니다.
10 - KIST 선임 vs 국립대(서울과기대 공주 한밭..)
32 - 난양공대로 유학가고 싶습니다.
9 - 대학원을 무작정 버텨서 졸업하라는 것은 옛말
13 - 학점 낮은 학부생은 대학원 어디로 가야 할까요?
11 - 미박을 갈 수는 있을까요
10 - 대학원 스펙 평가해주세요..
10 - 한양대 서강대 지스트 디지스트 대학원 가도 괜찮을까요?
10 - 대학원 목표로 하는 학부생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10
2023.08.09
2023.08.09
2023.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