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연구편 3
2023.06.05
16
1645

재학생 만명 수준의 박사 과정이 없는 R1, R2가 아닌 M1 학교를 말함.
여기서 박사 과정은 Ed. D와 같은 Doctorate 과정이 아닌 Ph.D.를 말함.
요즘 들어 Ph.D. 과정이 없는 학교지만 리서치를 많이 해서 (a.k.a. 펀드를 많이 따와서)
좋소에서 R2로 승격한 좋소 학교들도 있음.
--------------------------------------------------------------------
지난 글에서 이어집니다.
그랜트를 수주하고 나서 어디다 쓸까 하는 것은 사실 앞뒤가 바뀐 것이고 당연하지만 어떤 항목으로 예산을 짜야 할지 먼저 생각해야 한다.
좋소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은 course buyout이다. 이것은 말 그대로 그랜트에서 교수의 코스를 사서 수업을 까는거다. 좋소 대학들은 보통 수업이 한 학기에 3-4 과목씩 되기 때문에 적어도 한 학기에 한 과목 이상을 까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수업을 까지 않고 싶으면 추가 수당으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두번째가 여름 방학 수당이다. 미국 대학은 9-10개월 계약이기 때문에 학교에 따라 여름에 아예 월급이 안 나오기도 하고 나오는 경우는 연봉을 12로 나눠서 그 금액만큼 매달 나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여름 방학은 공식적으로 일을 하지 않는 기간이다. 그렇다고 해서 6-8월까지 하루도 쉬지 않고 연구를 한다고 3달치 수당을 청구 할 수는 없다. 각 학교마다 최대 일수가 정해져 있다. 미국은 휴가도 없이 여름 내내 일 하는 것을 상상하지 못하는듯 하다. 그래서 6주 정도 청구한다고 하면 개인의 일일 급여에 연구 일수를 곱해서 수당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내 일일 급여*가 $600이고 6주면 주말 빼고 30일이니 $18,000이 되겠다. 이렇게 여름동안 연구 일수로 받는 금액이 월급보다 보통 많게 된다.
위 두 항목은 연구 대학들에게도 공통적으로 적용되지만 이 세번째는 일반적인 좋소 그랜트의 특성이다. 세번째는 학부생들 급여이다. 좋소 대학들이 신청 할 수 있는 그랜트들은 일반적으로 학부생의 교육과 연구 참여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기 때문에 큰 그랜트에는 대부분의 경우 학부생 급여 항목이 들어간다. 학부생들의 급여는 연구 대학들의 대학원생 월급이나 등록금 지원과는 다르게 학부생들은 보통 일일 급여를 받게 된다. 그래서 매 학기 최대 참여일 수를 정해 두고 그 안에서 학부생들이 자유롭게 참여하고 급여를 정산 받게 된다. 학부생들의 일일급여는 시간당 계산되는데 이것은 각주의 최저시급보다 높아야 한다. 커피숍에서 알바하는 것보다 연구참여를 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학업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더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이렇게 세가지만 해도 금액이 꽤 커지게 된다. 왜냐하면 미국은 인건비가 비싸니까. 1번 항목만 해도 내 경우 3학점 한 과목을 빼려면 $10,000정도 든다. 만약 co-PI가 두명 있다면 한 학기에 한 과목씩만 빼도 3만불이고 일년이면 6만불, 5년이면 30만불이다. Course buyout 비용이 왜 이렇게 비싸냐고 하면 내가 정원(20명) 꽉찬 여름학기 3학점 수업 하나를 가르치면 받는 금액이 $10,000정도이기 때문이다. 버는만큼 내야 되는 방식이다.
그리고 나머지 항목들은 학회 참여비, 여행 경비, 연구 자재 구입 등 많이 있지만 저 위의 세가지가 제일 덩어리가 크다. 여기까지가 일반적으로, 아주 rough하게 설명 했지만, 좋소에서 그랜트 프로포절을 쓰고 그랜트가 들어오면 활용하는 방식이다.
*일일급여가 $600이라 해서 내 월급이 $600*30 혹은 $600*25가 아니다. 일일급여에는 연봉에 포함 되어 있는 각종 복지비, 연금이나 보험료 지원등,가 추가 되기 때문이다.
---------------------------------------------------------------------------------------------
별 재미도 없는 글을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미국의 대학들은 한국 대학들과 많이 비슷한거 같으면서도 다른데 특히 좋소 대학들은 한국의 중소 대학들처럼 생각하면 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도 않고 정보도 많이 없어서 정보를 나누고자 글을 썼습니다.
일반적으로 박사 과정은 연구자를 만들어 내는 과정이어서 박사 학위 후 연구 대학의 교수로 임용 된다면 별 어려움 없이 적응 할 수 있으나 좋소 대학 교수의 역할은 박사 과정에서 보통 훈련 받지 않은 것들입니다. 이 점이 많은 좋소 대학의 서치 커미티가 큰 연구 대학 박사 과정생을 인터뷰 할 때 걱정하는 것이고 그런 이유로 어떤 좋소들은 조교수 임용을 다른 학교의 조교수 경력이 있는 사람만 채용합니다. 우리 과에서도 지난 15년간 박사 후 강의 경력 (전임 강사 혹은 조교수) 없이 임용 된 경우는 딱 한 케이스, 본인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학교가 그런 것은 아니고 오히려 프레쉬 박사들을 선호하는 학교도 있습니다, 연봉 협상 같은 네고가 쉽기 때문에 .
다음에는 강의편, 한국과의 협업편, 학생 지도편, 생활편, 커리어편 중 하나를 써보려고 하는데. 특히 관심이 있는 항목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글이 재미 있으면 아래 버튼이라도 눌려 알려주세요.
*관련 글들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연구편 2
https://phdkim.net/board/free/43292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연구편
https://phdkim.net/board/free/43257/
나는 어쩌다 미국의 좋소 대학 교수가 되었나
https://phdkim.net/board/free/43249/
좋소 미국 대학교수 생활
https://phdkim.net/board/free/43244/
좋소 미국 공대 교수 질문 받습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43159/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대학원 생활에서 깨달은 것들51
8
10064
김GPT
소극적인 학생40
15
6813
김GPT
미국뽕이 유달리 심한 애들이 보이네18
12
5516
김GPT
미국 탑대학원 와서 느끼고 있는 점14
15
16523
김GPT
미국에서 유학하는 내 친구19
6
4842
김GPT
미국 교수 임용 관련 네이쳐 연구8
10
2183
김GPT
데이터 주작에 관한 고민17
8
4670
김GPT
미국 공대 관련 질문2
9
7746
김GPT
국박이 부러운 요즘..17
21
4569
-
150
27
49773
명예의전당
이사할때 청소시키는 교수 신고해도됨?78
64
38016
명예의전당
나의 선생님 (자랑 포함..)94
16
1131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6.05
대댓글 1개
IF : 1
2023.06.05
대댓글 3개
2023.06.05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