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sh 라인 ai학과 석사 1기 마친 상태입니다.
연구 진행된 건 딱히 없고 사정이 생겨 연구실을 옮기게 되었는데,
아래 대형랩이랑 신생랩 중에 하나로 옮기려 합니다.
대형랩
정교수
인원 20명 정도, 박사:석사 비율 약 2:3
교수님이 너무 바쁘셔서 세세한 지도는 x
연구는 자율적으로 하지만 사수 문화에 약간의 군대 문화 있는듯
석사기준 무난하게 졸업하지만 탑컨퍼는 거의 안나옴
졸업생 - 네이버 카카오 + ai관련 스타트업, 삼전 등
신생랩
신임교수(2년)
박사 x, 석사 10명 정도
연구열정 강함, 매주 개인 미팅, 지도 잘 해주시는 듯
학생이 쓴 논문 나오기 시작
세부분야가 살짝 생소해서 공부 필요
군대, 사수 문화 없음
탑컨퍼 낼 수 있지만 추가학기 다닐 수도 있음
졸업생 아직 없음
석졸후 취업하려고 하는데, ai쪽이 논문실적을 좀 본다고 들었습니다.
신생랩 쪽이 탑컨퍼 낼 확률이 더 크긴 한데, 박사가 있는 대형랩 쪽도 괜찮을 것 같아 고민이네요.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명석한 아이작 뉴턴*
2022.07.17
ai분야 연구실에 사수+군대문화가 가능키는 한가?
하다보면 후배가 선배보다 실적좋은 경우가 엄청나게 많은디..
대댓글 1개
2022.07.17
아마 오래된 연구실이라 그런것 같네요..
잘은 모르겠습니다
명석한 아이작 뉴턴*
2022.07.17
하여간 AI분야에서는 탑컨퍼가 한편이라도 있느냐 없느냐가 엄청나게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탑컨퍼 못쓰고 졸업하면 그냥 신입연봉인데 탑컨퍼 쓴 친구들은 연봉협상하고 들어감
2022.07.17
탑컨퍼는 어차피 본인하기 나름아닌가요..
그것과 별개로 군대문화는 없는게 좋지만 사수문화는 있는게 좋을수도 있습니다.
신생랩 1기로 박사졸업했는데, 선배없이 혼자 배워나가는게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그리고 신생랩이라고 지도교수의 지도받는게 확실한건 아닙니다. 저희랩또한 4년만에 20명가량으로 커지고, 전부 박사진학해서 박사과정 숫자도 많아졌는데, 교수님 생각보다 할일이 엄청 많습니다..
그래서 4년차만 되도, 사수문화 생겨서 박사과정이 석사생들 지도해주는 방식이였습니다. 물론 교수님은 2주에 한번씩 개인미팅 했지만 연구분야다양해지면서 직접적인 지도보다는 큰틀을 잡아주는 정도고, 실제로는 선배들 지도가 더 도움되는 경우도 많은것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7.17
감사합니다. 이전 연구실에는 선배도 없고 지도도 별로 없다 보니 삽질을 너무 많이했네요.
2022.07.17
후자
대댓글 2개
2022.07.17
신생이요?
2022.07.17
네. 대형랩인데 군대문화있고 탑티어 컨퍼 안나오는게... 그냥 긁어봤더니 꽝인 랩 아닌가요.
신생랩은 가능성이라도 있어보입니다. 고민거리도 안되 보입니다.
2022.07.17
탑티어 없으면 딥러닝 발 담궜다고 볼 수가 없음. 어떻게든 쓰려고 노력하는게 좋음.
대댓글 3개
2022.07.17
석졸이 탑컨퍼 쓰고 나가는게 흔함? 솔직히 석사때 탑컨퍼 쓰면 박사하지 왜 취업함?
2022.07.17
석졸이 탑컨퍼 쓰고 나가는 케이스는 점점 많아지는 추세라고 봄.
나도 석1때 연구해서 석2때 붙기도 했고. 석사만 하고 취업할 고민도 많이 함.
미국 탑스쿨에서는 RL 분야에서 굉장히 유명했던 학부생 (탑티어 4편 이상 썻으며, 거의 다 임펙트가 있었음)은 대학원 안가고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갔음.
머 그건 아웃라이어지만,
1. 생각보다 딥러닝 쪽은 쪽 박사학위가 능사는 아니며
2. 어리고, 경력이 전무한 상태로 탑티어 진입이 가능한 분야라고 봄.
여태까지 논문 쓰기 어려웠던 건 그만큼 딥러닝을 해본 적 없는 교수들이 전문가 행세 한거고, 제대로 딥러닝을 겪고 실력있는 젊은 교수의 지도 밑에서 탑티어를 쓰는 건 나는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함.
+개인적으로 (분야따라 다르지만, 이론 증명 빡센거 제외함) 1년에 1편은 nips/icml/iclr 가 나와야 딥러닝 박사아닌가 생각함. Submission 해놓고 붙어라 붙어라~ 기도하는 거 말고, 안정적으로 년간 1편은 찍을 수 있는 퍼포먼스가 필요하다고 봄. + oral 한편은 졸업전에 나와야 박사학위가 아쉽지 않다고 생각함. 그럴 수 있는 사람만 남겨도 충분히 인재가 너무 많음...
2022.07.18
ㅇㅇ 미국은 흔함. 한국에서 그런 마인드로 석사하면 경쟁력이 떨어지는거. 무조건 탑컨퍼는 석사든 박사든 써야됨. 없으면 연구자로 노력을 더해야지.
튼튼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07.17
수원에 있는 S인가 보네요 신생랩 가세요 거기 좋음
대댓글 2개
2022.07.17
뭐 어떻게 특정이 되나요...?
2022.07.19
음... 수원S면 신생랩은 딱 생각나는 곳 있는데 그 랩이랑 분야 겹치면서 글의 조건에 해당하는 대형랩이 생각이 안나는데요...? 혹시 신생랩이 실버바틀이면 저도 거기 추천합니다
2022.07.17
대댓글 1개
2022.07.17
2022.07.17
2022.07.17
대댓글 1개
2022.07.17
2022.07.17
대댓글 2개
2022.07.17
2022.07.17
2022.07.17
대댓글 3개
2022.07.17
2022.07.17
2022.07.18
2022.07.17
대댓글 2개
2022.07.17
2022.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