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울 소재 모 대학 이공계열에서 학부연구생으로 연구 중인 학생입니다.
연구에 관심이 있어서 연구실에서 논문을 작성했는데 교수님은 친절하게 상담해주시고 가이드를 잡아주셨습니다.
논문 작성 과정의 배경지식 등 구현 과정을 모두 혼자 공부하고 교수님께 모르는 부분은 따로 물어봐가면서 진행했는데, 대학원 학생들은 전혀 도와준 게 없습니다. 그런데 논문이 완성될 때쯤 되니까 자연스럽게 본인들 이름을 제 2~3저자로 등재하더라구요. 그러길 바랬구요.
학부생 수준이라서 아는 것도 잘 없지만 지도교수님 이외 랩실 분들에게는
1. 데이터의 제공
2. 데이터의 가공 및 해석 방법에 대한 조언 및 피드백
3. 결과물 해석 및 학회 제출 등 일련의 과정
에 있어서도 어떤 도움을 받은 적이 없는데, 너무 당연하고 당당하게 이름을 올려서 솔직히 좀 화도 났습니다.
너무 손 안대고 코풀려는 것 같은 마음이 보여서요.
석사생들이 학부생 논문에 일절 도움없이 이름만 올리는 건 모종의 부조리라고 생각해 해당 연구실은 그 길로 나왔습니다. 직장생활에서는 오히려 개인 실무 성과가 가시적으로 보이지만, 폐쇄적인 연구실 특성상 오히려 이런 일이 더 많은 것 같더라구요.
큰 지장은 없겠지만 석사생들이 졸업 시 추가로 연구성과로 이득을 본다고 생각하니 좀 화가 나는 건 어쩔 수 없네요.
실제로 많은 랩실에서 이런 일들이 비일비재 한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04.19
SCI급인가요?
학부생이 썼는데 아무 도움도 안주고 어떻게 이름을 올리죠?
빼고 제출하세요
2022.04.19
아뇨? 저희는 일하고도 이정도 기여로는 이름 넣어줄수 없다고 교수님께서 자르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문제는 그러다보니 남의 일 하기 싫어하는 분위기가 좀 있었져...
IF : 2
2022.04.19
아무것도 한것도 없는데 논문 다 쓴뒤에 이름 넣는건 양심이 없는거죠.
이런건 교신저자인 교수님이 잘 조율해야 합니다.
교수님 입장에서는 학부연구생보다는 밑에 석박사생 실적 챙겨주는게 중요하니 아마도 눈감아주신것 아닌가 싶네요.
대댓글 1개
2022.04.19
대충 짐작하고 있었지만, 교수님 의중을 안다면 석사생분들도 연구에 최소한의 도움을 줄거라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자료 제공이나 피드백에 있어서 '그걸 왜 도와야하는 식'이라는 태도라 불편했던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2022.04.19
학부생 수준이라서 아는 것도 잘 없지만 지도교수님 이외 랩실 분들에게는
1. 데이터의 제공
2. 데이터의 가공 및 해석 방법에 대한 조언 및 피드백
3. 결과물 해석 및 학회 제출 등 일련의 과정
이거 자체가 기여로 보이는데요.
논문 자체가 SCI건 아니건을 떠나서 1저자 외에 크게 의미 없다는것은 다들 알거라고 생각하고,
생각해보면 랩실 분들이 저정도 도와준거라면 2/3저자로 넣어도 크게 문제 없을거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4.19
아 제가 잘 못읽었네요 위에 사실이 없다는 거네요 그럼 빼는게 맞죠
2022.04.19
이건 연구실분위기에 따라서 다른듯합니다. 어느연구실은 서로 공동저자를 주고받아서 하다못해 너트하나 달라고할때 줘도 넣어주는경우도 있떠라고요.
저희연구실은 무조건 확실하게 컨트리뷰션이 있어야지만 이름을 올리는데, 장단점이 있는것같아요.
전자는 본인논문이 많고 아무래도 index측면에 장점이 있기도 하고요.
어차피 나와서는 본인주저자논문만 신경쓰기때문에 공저자는 의미가 없기는 합니다.
2022.04.20
뭐 그리 빡빡하게 사시나요…
전 공용장비 레시피 친절하게 알려준 친구 이름 넣어줬었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4.20
그렇게 많이 넣으세요. 다른 사람에게 권하지는 마시고요.
2022.04.21
에고..
네.. 권한건 아니고 저는 그랬다는거지요..
여러가지 경우에 수를 많이 알면 결과를 낼때 없는것보단 나으니…
권한걸로 들리셨으면 죄송합니다.
만만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4.25
기기사용법 필요 시약 기자재 준비같은건 누가 했나요?
본인이 했다면 모르겠는데 보통 렙장들이나 석사애들이 교수가 미리 테마들 말해놓으면 필요 시약 기자재들 견적잡아오고 실험실에 셋업 다 해놓습니다. 논문에도 저자 기여도 다 썻을텐데고 궁금한건 교수님께 직접 물어봤으면 좋았을거 같네요.
허기진 유클리드*
2022.04.26
국내에서는 비일비지 합니다. 국내 중위권 대학은 특히. 학생들 유지 수단입니다. 불쌍한 교수들.
2022.04.19
2022.04.19
2022.04.19
대댓글 1개
2022.04.19
2022.04.19
대댓글 1개
2022.04.19
2022.04.19
2022.04.20
대댓글 2개
2022.04.20
2022.04.21
2022.04.25
202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