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런 고민은 진지한 관계가 된 다음에나 시작하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6 - 보통 동양인 남자는 다른 인종에게 인기가 정말 없습니다. 이성으로 볼 확률은 희박하니 (우리가 흑인 여자 보는것과 비슷하려나요) 괜히 상처주지 마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6 - 걍 이미 김박사넷에서 연애상담하는 행위자체가 이성으로써 Red flag임다.....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9 - 외국인들과 많이 연애해본 입장에서 인종이 문제가 아니라 그냥 한국에서 유학 나가는 남자 얼굴 평균이 문제임 ㅋㅋㅋ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0 - 음.. T20 밑이더라도 충분히 괜찮은 수준이라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히 경쟁이 심하다고 꿈꾸지 말라는 거면 공감이 안가네요.
대학원이 과거보다 경쟁이 심해졌다한들 여전히 T20에 한해 많은 한국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습니다. 고우해커스에만 열명 넘고 그 모두가 수석차석도 아니요 spk만 있지도 않죠. 저는 학점 3초반으로 T10, 20 받았는걸요. 그 누구에게든 꿈꿔서도 안될 높은 목표는 아닙니다.
만약 T50이라도 좋은 곳이라고 얘기하고 싶은거면 이해가갑니다. T50은 대부분 이미 서울대 카이스트보다 수준이 낫고, 종종 각 나라 최상위 학교 뿐 아니라 심지어 미국의 최상위 학부도 박사학위하러오니까요. 그렇다고 “이렇게 뛰어난 애들이 있으니 너에게 그 위는 언감생심이다“라는 식으로 말하면 안되죠.
기본적으로 한국사회는 철저히 랭킹위주의 생각을 하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남들따라서 T10이니 T20을 읊는 학생이 많을 뿐입니다. 그렇다고 그 목표를 바라고 물어봐서도 안되나요?
CS T10 T20 질문은 그만 했으면 좋겠습니다.
9 - 외국인도 시켜라 행정일 다 짬맞고 개인 연구도 못하는데 랩실 외국인들 장학금 신청은 첫 번째로 제출하더라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23 - 무줙건 전자
전자는 ㅈㄴ 꿀빨고 박사땀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8 - 남한테 피해에요 욕심있고 열정 있는거 알겠는데 본인 열정때문에 다른사람한테도 피해주면서까지 할필요는 없다고봅니다
연구실 숙식 꿀팁 알려주세요, [옷 관련]
7 - 우리 연구실은 개 ㅂㅅ이라서 연구실 과제계획서, 중간보고서, 결과보고서 전부 학생한테 떠넘김 학생은 그걸로 인건비 받는것도 아니고 통장 가져가서 달에 60받음(교수는 한달 60받으면 충분하지 않냐고함)
심지어 교수 개인과제도 학생한테 떠넘기고 지가 창업한 기업 과제까지 다 떠넘김 ㅋㅋㅋㅋ 그래놓고 선심쓰듯이 하는말이 너 이런경험 어디가서 해보겠냐 ㅇㅈㄹ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10 - 무조건 후자
석박통합은 학생 입장에서 장점이 없는 제도임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7 - 선긋는 정상적인 어른이라 님이 좋아할 가치가 있는 사람인거죠. 그거 사제지간인데, 헤벌쭉 하고 받아주는 천지분간 못하는 인간이면 님이 눈알을 빼서 씻고 다시 넣고 봐야되여. 좋아할 가치가 없는 종자임.
맘껏 좋아하세여. 어릴 땐 그래두 되여~ 어른이 알아서 단도리 해야 함.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9 - 영어는 잘 할 수록 좋습니다.
학생이 준비를 하지 않고 본 토익이 900을 못 넘으면 영어 실력이 박사 진학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할 것 같습니다.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7 - 다 지랄이네
지피티한테 번역해줘 하면 얼마나 편한데
언제 영어로 읽고 자빠짐?
영어는 따로 시간내서 공부보다는
영어가 뇌에서 언어적 자동화가 되게
훈련하세요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8
수도권 사립대 교수의 단상
2021.10.01

경기권 중위권 (최근 중앙일보 평가 30위권 이내) 대학 공대 조교수 입니다. 이번 학기가 3학기째네요. 3학기 하면서 느끼는 것들 두서없이 써봅니다.
-. 연봉은 깜짝 놀람.. 사립대라 그런지 post-doc때 받던 것 보다 줄었음. 나름 의대도 있는 대학이 이럴줄이야... 최근 삼성전자 대졸초임(4800만)보다 조금 많은 수준 (15년째 동결). 아이키우면서 수도권에 거주중인데 이걸로는 거의 불가능.
문제는 주변에선 교수 되면 몇 억씩 벌어가는줄 안다는거... 모자르는 것은 용역과제, 연구수당 등 기타소득으로 어찌어찌 충당해 가고 있음...
-. 학교 시스템에 한번 더 놀람. 되는 것도 없고 안되는 것도 없는.. 떼쓰면 들어주고, 진상 피우면 더 잘 들어줌. 가만히 있는 놈이 바보 되는 이상한 시스템..
-. 연구실 공간은 대부분 그렇겠지만, 최근에 배정 받았음. 정말 "배정"만 받았고, 기존에 있던 기자재 청소, 페인트칠 등은 아직..
-. 개인 공간이 있다는 것은 정말 최고, 일하기도 좋고 듣고 싶은 음악도 듣고
-. 수도권 중위권이라고는 하지만 수업을 하다보니 학생들의 수준 차이가 조금 남. 이건 어느 대학이나 마찬가지 일듯.
-. 학과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매우 착함. 대면 수업도 잠깐 하고 했는데, 참여도도 높은 편임.
-. 학생들 취업은 최상위권 몇 명만 대기업가는 듯하고, 나머진 공기업 아니면 공무원 준비를 많이 함.
-. 공대인데 대학원이 활성화 안되어 있음. 학과 교수님들이 대부분 나이가 많으셔서.. 다들 연구 안하심. 학과 실적 압박은 모두 나에게로.. 데리고 같이 할만한 학부인턴들은 모두 상위 대학으로 떠나버림.
-. 포닥때 참여하던 연구랑 개인연구 등 연구과제 몇개 하는데 대학원 생이 없어서 다른 교수님들과 강제 코웍중.
-. 초기 정착비는 연구비+장비비+학과 재료비 합쳐서 2500정도 받은듯.
-. 논문 인센티브 매우 적음.
-. 수업은 1년 4과목만 하면됨, 이건 매우 만족,
-. 논문 실적도 최근 임용된 사람들에게 좀 더 요구하긴 하는데, 그렇게 어렵진 않음. 1년에 1~2편정도 SCI 주저자 쓰면 무난하게 승진될듯.
-. 위에까진 넋두리고, 결국 교수란 직업이 내가 하고 싶은거 할 수 있다는건 정말 좋음. 시간도 내맘대로 쓸수 있고. 학교에서도 그다지 터치하지 않음.
시간을 내맘대로 쓸수 있지만, 아직 수업준비, 과제진행, 보고서, 논문 등으로 매일 11시 퇴근, 주말 출근 하는건 비밀..
지방대 교수의 단상 김GPT 211 51 102424
교수가 버는 돈 대충 이정도임 김GPT 40 31 165086
지방사립대 교수의 단상 김GPT 22 21 10864
지방대 교수도 나름 괜찮은 직업인듯 김GPT 10 8 11457-
73 41 18135
한국교수의 단상 김GPT 76 56 16465
'한국교수의 단상' 글에 대한 아쉬움 김GPT 18 31 7846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김GPT 79 40 33716
교수를 목표로 하는 분들께 김GPT 20 29 9636-
219 30 79735 -
66 18 22495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63 21 4721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27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38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9 - 돈은 벌고싶고 책임은 지기 싫은 지도교수님
12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석박통합은 누가만든건지...
37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2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3 - 노벨상 구글 허사비스 "아인슈타인급지능 10년내등장“
10 - 연구실 숙식 꿀팁 알려주세요, [옷 관련]
13 - 경북대 와 디지스트
8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6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18 - 일본 대학원 진학 질문
19 - 안녕하세요. 포항공대 하계 인턴 관련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17 - 고체물리가 다음 AI가 정복할 영역같음
21 - 인아 라인에서 대학원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20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3 - 교수님이 절 싫어하시는 것 같아요
12 - 미국 박사 진학 희망자, 현재 랩 교수님께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까요?
15 -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23 - 적성 및 spk 진학 가능성 고민입니다.
16 - ㅈ소 신입사원의 고민
15 - 연구경험 없이 ai 대학원 진학
13 - 네이처 사이언스 1저자는 어느정도 위상인가요?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27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38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9 - 돈은 벌고싶고 책임은 지기 싫은 지도교수님
12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석박통합은 누가만든건지...
37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2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3 - 노벨상 구글 허사비스 "아인슈타인급지능 10년내등장“
10 - 연구실 숙식 꿀팁 알려주세요, [옷 관련]
13 - 경북대 와 디지스트
8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6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석박통합 vs 석사 후 박사
18 - 일본 대학원 진학 질문
19 - 안녕하세요. 포항공대 하계 인턴 관련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17 - 고체물리가 다음 AI가 정복할 영역같음
21 - 인아 라인에서 대학원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20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3 - 교수님이 절 싫어하시는 것 같아요
12 - 미국 박사 진학 희망자, 현재 랩 교수님께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까요?
15 -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23 - 적성 및 spk 진학 가능성 고민입니다.
16 - ㅈ소 신입사원의 고민
15 - 연구경험 없이 ai 대학원 진학
13 - 네이처 사이언스 1저자는 어느정도 위상인가요?
13
2021.10.01
대댓글 1개
2021.10.01
2021.10.01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