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네이처 사이언스 1저자는 어느정도 위상인가요?

2025.04.22

14

410

운이 좋게 학계에서 대가이신 교수님 연구실에 들어왔습니다. (citation +70,000, 네싸 자매지 포함 20편 가량)

저는 그릇이 작아 불가능할거라 생각했는데 운이 좋게 사이언스에 1저자 섭밋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섭밋일 뿐이지만 뭔가 해낸거에 비해 엄청 큰 저널에 낸게 얼떨떨하기도하고 잘 모르다보니 이게 어느 정도인지 가늠이 안되네요.

공동 1저자이고, 이름은 후순위에 있고, 현재 통합 3년차 입니다.

공동 1저자와 그 분의 지도교수 분도 네이쳐 사이언스에 4~5편 정도 1저자나 교신저자로 퍼블리쉬 한 경험이 있는 분이라 뭔가 기대되네요...

이 논문이 무탈하게 퍼블리시 된다면 졸업 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까요?

또한 3년차에 1저자 3편이면 많이 쓴건가요? (화학공학)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4.22

엄청난 성과이고 그 자체로 향후에 분야 커뮤니티에서 지속적으로 주목받을겁니다. 그러나 그 뒤에 본인의 실력으로 꾸준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면 지도교수빨 일회성이었구나 하고 잊혀질겁니다. 아무튼 부담스럽지만 대단히 좋은 스타트입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4.22

우선 축하드립니다. 분야별로 좀 다르긴 한데, 네이처/사이언스 본지 내기 힘든 세부분야라면 프레시박사로 교수 임용도 노려볼 수 있는 실적인거 같습니다.
그런데 워낙 대가이신 분 아래 있으니, 오히려 본인 실력이 아니라 교신저자가 능력자 라는 식으로 평가절하 당하는 경우도 있겠습니다.
그리고 사실 교신저자가 사이언스 본지급 프로젝트를 진행을 하고 있어야 아래 학생이 1저자를 쓸 수 있는거니까.. 한마디로 학생 본인이 뛰어나다고 사이언스 본지를 내는건 거의 불가능하니 어느정도 교신저자 잘만나는게 중요한 것도 사실이구요.
아무튼 최소한의 경우라도 우선 대가의 밑에 들어갈 실력, 그리고 거기서 어느정도 인정받아서 사이언스 본지급 프로젝트를 1저자로 맡았고 본인이 훌륭하게 맡은 임무를 해낼 수 있는 사람이라는 인정은 받을 수 있겠네요.
어찌되었건 훌륭한 실적임은 변함없습니다. 다시한번 축하드려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4.22

공동 1저자면, 잘했긴 하지만 리드 논문의 성패에 따라서 달라지겠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대가 그룹의 공동 1저자(후순위) 본지 논문들은 실제 역할과 노력에 비해서 과대평가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