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야 말 참 예쁘게 한다
인턴 지원자가 우리 연구실 논문을 싹 읽어왔네요
50
- 그 어떤 학과던지 한국은 spk/yk가 압도적이죠. 아주 마이너한 학과나 분야 빼면.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ist 중 하나인데 저 숫자는 아닌거 같은데 가까운데만 봐도 저 숫자 보다는 많음.
개인적으로는 생각 하는 이유는 비전 하는 사람 인원수가 아예 다를거임.
ai 신생랩이 더 많은거 같아서 인원수가 적은 느낌임
ai에서 비전이 메이저 같아 보이지만 nlp랑 vision 합쳐도 전체 파이의 20프로임. 비전 외에 다른 류의 ai를 연구 하는 연구실이 많은거 같음. 다학제학문에 응용하는 연구나 코어 한 연구를 할수도 있음.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학생들에게 일부러 받을 돈 보다 많이 주고 그걸 다시 돌려 받아서.. 공금으로 쓴거면 다들 그러지 않나?? 특히 공식 처리 어려운 공금이 필요할 때도 있으니.. 그냥 운영의 묘 아닌가? 개인 착복도 아니고
KAIST 교수가 직전 근무 대학서 학생에게 연구실 운영비 걷어
18
- 성한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는 건, 학교 구조와 인식 상 어쩔 수 없고 약간... 학풍 (?) 비슷합니다.
일단 학교가 사립인데, 포공처럼 대학원생들에 대한 지원이 쩌는 것도 아니고~
수도권에서는 서연고에 굵직굵직한 연구비 수주에 있어 밀리다 보니,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하게되죠.
교수 입장에서도 학교 차원에서 지원이 약하니, 대학원생들 먹여살리려면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할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프로젝트 따라 다르지만, 목적이 논문인 학술 연구와는 달리 프로젝트는 그 목적이 좋은 논문이 아닌 경우가 많기에... 논문 쓰기에는 불안정한 환경일 수 있습니다.
(이건 프로젝트 by 프로젝트 이긴 합니다...)
성한 대학원 가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나요??
16
지방대 교수의 단상
2021.09.23
49
72237

추가로 몇가지 더 넣어 봤습니다. (SKP, 연구중심대학 교수님들의 단상을 듣고 싶습니다.)
관심에 감사드리며 응원 받아 다시 달려보겠습니다. 피ㅡ쓰
------------------------------------------------------------------------------------------------
지역 국립대 조교수 재직 5년차
5년간 교수 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점 (feat. 지역 거점 국립대 아님)
1. 실험실이 없네?
- 임용되고 1년간 실험실 없음. 1년뒤 봉인되어있던 귀신 나올것 같은 공간을 얻음
- 요즘 젊은 교순 연구를 안해... 라떼는 말이야 연구실 없어도 SCI를 ...
2.나보다 나이 많은 장비님이 계시네?
- 올해 43살이 넘으신 고가 장비께서 실험실에 계시고...
3. 정착비가 있긴 하네
- < 500만원 (3년차에 소급해서 100만원대 한번 받았음... ㅠㅠ)
4. 입결
- 평균 5등급 초반 (21학번)
- 물리/화학/수학 안하고 싶어요 (... 그러게)
- 평균 학기당 수업 12학점 (강의 준비를 많이 하면 점점 줄어드는 논문 수)
5. 학부생/대학원생 모집 상담
- 공기업 갈 수 있나요? (학점은? 영어는?)
- 공무원 시험 준비할래요 (그래... 잘 가렴)
- 영어 성적 없어요 (feat. 4학년 졸업반)
- 석사하면 삼성 가나요? (갈 수는 있지... 갔다와 수원에 있어)
- 은연 중 풍기는 자신감 (저 학과 탑 티어 에이슨데요? feat.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뭐에요?, 나도 SPK 에이스였다)
6. 학생이 있긴한데..
- 3년차 되고 처음 석사 받음 (우수 학생에 대한 선택의 여지는 없음, 그냥 오면 됨)
- 아주 작은 난관 (실험하다 뭐가 안됨)이 있으면 멈추어 지켜보고 있음 (님.. 랩미팅 때 보고라도 해주세요)
이건 하위레벨 학교 학생들의 특성인 듯 (처음에는 이해가 안되었는데, 이제는 그러려니함)
- 실험실 고차년도 박사과정 또는 포닥, 능력 부족 (소규모 팀/후배를 리딩하기에는 ...)
- 실험실 행정 업무와 잡무는 모두 괴수가 함 (차마 제자들 능력 부족이라고 이야기 할 수는 없어서)
- 제안서도 괴수가 씀, 학생은 실험만 함 (어쩌겠어 ㅜ)
- 출퇴근은 9 TO 6 (나는 9 TO 12, 대학원생이 된 기분, 8살 아들 왈: 아빠는 왜 맨날 학교에서 늦게 와? 선생님한테 혼났어?)
- 학생들이 업무시간에 게임 안하고 잘있는것 만으로 만족하고 있음
- 인건비는 180 + 알파 (포닥이 신임조교수보다 월급 많을 수 있음.. ㅜ)
- 가끔 훌륭하신 석사과정생들이 지도교수보다 우수한 연구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함 (feat. 본인피셜)
건방.... 아니 뛰어난 제자님아... 칼리브레이션은 하고 실험하냐 ... ㅜ
7. 지역국립대의 장점
- 교육부 예산: 실험실 안전 장비 구매 (실험복, 폐시약통, 흄후드, 공기정화기, 생물/화학실험대, 소화기, 안전함 ,,, )
- 여유로운 승진 실적 (대략 6년간 SCI(E) 12편정도쓰면 됨)
- 실적 압박 없음 (일말의 양심은 있어서 네이쳐쓰라고는 안함)
- 편안한 정교수 생활 (수업만 해도 됨)
- 월급 잘 나옴/ 국립대 교수라 대출도 잘 나옴
- 학교 안와도 아무도 뭐라안함
- 학교 너무 자주와도 뭐라 함 (방학인데 학교 왜 와? 읭? <O_O??)
- 한미한 교수라 김박사넷 오각형 별점은 없음 (건수 부족, 내가 괴수인걸 안들킴)
8. 이상하다.. 내가 PI 이긴한데.. 세상은 참 다양한 대학원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깨닫는 중 그리고 내가 다닌 대학원과 너무 달라서 적응이 잘 안된다 (지금은 내가 괴수구나).
*9. 학교/학과 잡일
- 임용되고 1년 후 학과장 당첨 (이건 회의 회의 회의 연속임.. 사실 회의 내용은 잘 모르겠음, 별로 관심이 없음... 그저 조교 선생님만 바라보고있음, 학사, 졸업, 전공 시수, 수업, 회의 개최, 등등..)
- 기타 학과 사업 참여 제안서 및 잡일은 학과 바이 학과 (막내담당, 자율담당, 공동담당 등)
*10. 공동연구 (살기 위한 방편)
- 포닥처럼 자소서 들고 학회 여기 저기 기웃 기웃하면서 자소서 같은 연구 발표
(선생.. 아니 교수.. 아니 형, 누나, 동생, 박사님들 함 도와주십쇼...)
- 현실은 잘 안껴줌 (재밌는 연구하시네요? 뭐야 이 듣보는)
- 그래서 해외로도 눈을 돌림 (베리 인터레스팅~~ 생각보다 긍정적으로 같이 하자고 함, 진짜지?)
- 마지막 희망(보험)은 역시 하청 (간단한 실험 추가 해주고 공저자 줍줍)과 흘린 먼지 주워담아쓴 논문 (국내지)
*11. 건강상태
- 아직은 괜찮지만 열심히 하는 주변 교수님들 보면 대상포진, 몸살, 잔/중병치레, 골골골....
- 생각보다 지역대에서 정치 말고 연구로 하드 캐리하는 교수의 생물학적 수명이 길지 않은것 같음 (ㅜ)
- 살기위해 틈틈히 운동 중
*12. 학생들 진로
- 대학원 석사 졸업후 괴수의 목표는 중소기업도 못가는 애들 중견 기업은 보내는것
- 이마저도 쉽지는 않음 (안갈래요, 영어 성적 없어요, 급여가 작아요, 또는 회사에서 "그 건방.. 우수한 " 친구를 거부할 때)
- 가끔 잘가는 학생도 있음 (확률은 1/5, 무려 대기업 연구원, 본인이 부단히 노력했음, 괴수도 매일 불을 뿜었지)
마무리...
- 정교수되고 편하게 놀아야 하나... 연구하고 싶은데...
- 일하다 찾아온 현타에 쓰는 넋두리 입니다 ㅎ. 다들 재밌게 연구하세요 ~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명예의전당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12
74
8043
명예의전당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168
20
29307
명예의전당
우리 지도교수님..92
28
29492
-
178
27
51652
명예의전당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74
19
28352
-
84
40
29377
고전인기
인력난에 허덕이는 교수님들께168
54
52337
-
153
23
56590
고전인기
공식 박사학위 받고 회사생활 소감95
26
56905
-
30
8
21595
고전인기
아니다 싶으면 주저하지 마세요122
26
43945
고전인기
좋았던 교수님이 변하셨다157
42
6726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3
27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17
- 인생을 돌아보며...
9
23
-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6
18
- 제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을 구합니다.
1
17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9.23
대댓글 1개
2021.09.23
2021.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