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남학생과 같이 군복학한 뒤 꽤 열심히 공부했고, 학과에 멋있는 젊은 교수님을 보며 나도 spk 박사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렇게 학점부터 올리며, 좋아하는 교수님 랩실에 학연생을 한지 거의 1년이 다 되어갑니다.
문제는 4학년 1학기가 돼서도 아직까지 컨택을 했다거나 대학원을 위한 스펙이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학점은 4.03/4.5, 연구 실적은 이번 학기 말에 잘해야 KCI 한 편 정도일 것 같습니다. ( 이것도 확실하지 않습니다. ) 또한, 어떤 분야가 하고싶은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주제를 찾기 위해 논문도 많이 읽었고, 어느정도 감은 있지만 뚜렷하진 않으며 그 분야를 내가 잘할 자신도 없습니다.
그리고 제 주변에는 저보다 똑똑하고 반짝이는 학생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보다는 그 학생들이 spk에 더 잘 어울리는 것 같고, 저는 제 역할도 제대로 못하고 주변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 같아요.
spk를 가고싶은 이유는 1. 한 분야에 대한 전문가가 되기 위함 2. 더 잘먹고 잘살기 위함 3. 그냥 도전해보고 싶음 정도 입니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제가 봐도 spk 대학원에서 적응을 할 수 있을지 모를 뿐더러 애초에 진학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한 것 같습니다.
이제 더이상 컨택 시기를 늦출 수 없는데, 그 전에 제가 spk 대학원을 갈만한 사람인지 조차 스스로 판단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취업 준비하면 그럭저럭 괜찮은 대기업에는 들어갈 수 있을 것 같은데, 진로 고민이 해결이 되지 않네요.
spk 대학원을 진학하신 선배님들은 어떤 과정을 통해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신건지 궁금합니다.
그외에도 자유로운 조언, 일침 등 모두 환영입니다. 인생 후배, 아는 동생이라고 생각하고 의견 부탁 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4.21
1. KCI는 실적으로 생각도 안함. KCI 나올지말지는 등락에 아무런 영향도 없어요 2. 지거국에 그정도학점은 여태껏 합격자 학점 공개된 거 봤을 때 많이 부족함. 비인기랩 면담 잘 하면 붙을 정도 3. 자신감이 너무 떨어져 있는 것 같은데 대학원은 그냥 내 할 일만 잘 하면 되고, 내 할 일 하다가 잘 풀리면 교수 하는거고 안 풀리면 시키는 거 하다가 기업 취직하면 돼요
대댓글 3개
2025.04.21
댓글 감사합니다. 2번과 같은 자료는 혹시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25.04.21
2021년쯤?에 학교 내부 커뮤니티에서 돌았는데 지금은 자료를 찾기 어렵네요
2025.04.21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선배님.
2025.04.21
참고로 부산 경북 중 하나에 높공은 아닙니다. 석차는 대략 20%이고, 어학은 토익 800점 정도됩니다. spk 해볼만하면 확 도전해버리고 싶은데, 올인했다가 취업을 못할까봐 걱정입니다...
2025.04.22
연구 주제를 큼직하게라도 잡으셨으면 관련 랩 찾아서 하루라도 빨리 메일 돌려보는게 좋아 보입니다. CV랑 성적표 첨부해서 메일 돌리다 보면 교수님이 알아서 판단하실거예요. 학연생 경험을 잘 살려서 어필하면 알아봐주는 교수님이 있지 않을까요?
대댓글 1개
2025.04.22
조언 감사합니다. 말씀 하신대로 저는 컨택 메일을 돌리는게 최선이고, 판단은 교수님께 맡기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덕분에 빨리 행동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4.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pk는 대부분 학점이 매우 높아야 컨택도 가능하고, 컨택이 성공했더라도 서류컷 당하지 않습니다. 컨택한 교수님들도 지원자가 서류컷을 당하지 않을 정도의 스펙이면 관심을 가지는 듯하구요. 절대적인 학점도 중요한데 석차를 수석, 차석까지 올리셔야합니다. 현재 상황으로 보았을땐, 무조건 spk에 간다고해서 인생이 성공한다는게 아니니, 한등급 낮은 대학의 괜찮은 연구실을 찾아보고 컨택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오히러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어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4.22
좋은 방향 제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학점이 낮다보니 spk 합불보다는 다른 대안을 찾는 것도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2025.04.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단 skp는 입학 영어조건부터 맞추세요.
대댓글 2개
2025.04.22
조언 감사합니다. 입학 조건 자체는 맞추었는데, 토익 점수가 합불에 큰 영향이 없다고 들어서 더 준비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K - 720, P - 750, 현재 점수 - 800 입니다.
2025.04.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KP는 저게 기본 조건이기 때문에 영어 점수만 넘으면 지원 조건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젠 면접이나 다른거에 신경을 써야하죠.
S는 텝스를 보는거로 알아서 그것 때문에 말씀드린겁니다.
2025.04.22
저도 4학년때까지 확신 없었고 고민 엄청 했는데, 컨택해보고 교수님들 만나 얘기하다보니 방향이 잡히더라고요. 일단 용기내서 컨택 메일 몇 개 보내봐요!
대댓글 1개
2025.04.2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얼른 컨택부터 해야겠습니다... ㅎㅎ
2025.04.22
저도 처음엔 spk가 막연히 좋다고 생각해서 도전했어요 지금은 정말 잘 선택했다고 생각합니다 도전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5.04.22
격려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2025.04.22
와 진짜 저도 4학년 때 똑같은 고민했어요 주변 애들 다 나보다 뛰어나 보이고 내 분야도 확신 없어서 엄청 흔들렸는데 그래도 막상 대학원 와서 직접 부딪혀보니까 다들 비슷하게 고민하더라고요 너무 자책하지 말아요 충분히 잘하고 계신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2025.04.23
감사합니다, 선배님. 제가 모르는 길을 걷는 것에 대해 너무 두려웠는데, 다들 비슷하다고 하니 조금 용기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25.04.21
대댓글 3개
2025.04.21
2025.04.21
2025.04.21
2025.04.21
2025.04.22
대댓글 1개
2025.04.22
2025.04.22
대댓글 1개
2025.04.22
2025.04.22
대댓글 2개
2025.04.22
2025.04.23
2025.04.22
대댓글 1개
2025.04.22
2025.04.22
대댓글 1개
2025.04.22
2025.04.22
대댓글 1개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