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제발 오르비로 가주면 안되나...
근데 디지유도 아니고 지거국은 왜 인기가 많은거임?
72
- ㅋㅋㅋㅋ 사실이라 믿지는 않지만, 너무 웃기네ㅋㅋ
학위와 연구에 평생을 갈아 넣은 수천 수만의 과학 기술인이 돌팔이 도사 한 마디에 합죽이가 되는 현실이 ㅋㅋ 참으로 세상은 요지경이구나
R&D 예산 깎는게 천공때문이라 카더라
37
- 재미없는 결과라는 걸 새로운 발견의 여지가 없어보이는 뻔한 결과라는 것이라 정의한다면 그것을 재미있게 만드는 것은 새로운 측면으로 접근한다거나 하는 등 인사이트를 발휘하는 능력이겠죠. 사과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건 누구나 아는 재미없는 결과지만 그걸 중력의 관점에서 보는 순간부터 엄청 재미있어지니까요
좋은 연구자의 기준중 하나는 재미없는 결과도 재밌게 만드는 능력이다. 동의하십니까?
23
- ㄴ 손바닥에 왕자 쓰고 나온거 보고도 증거하나도 없다고 말하는 정신력. 아직 2뽑은거 자위하고 있나보네
R&D 예산 깎는게 천공때문이라 카더라
30
- NONE OF MY BUSINESS
<가해자 실명언급> 학교폭력 및 성폭력을 일삼고 피해자를 고소한 카이스트 대학원생 고발
37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2022.07.29
49
47755

학부인턴부터 포닥까지 국내외에서 4곳의 연구실을 겪어봤는데요... 지금은 제 연구실 운영하고 있구요.
장시간 근무가 강요되는 곳에서는 하나같이 효율이 떨어졌어요.
반대로 근무시간은 완전 자율이었던 유럽의 연구소 학생들이 실력도 좋고 실적도 가장 좋았습니다.
아무래도 우리는 어려서부터 장시간 앉아있는게 열심히 하는것이고, 잘 못하면 열심히라도 하는게 미덕이라고 배웠죠.
그래서 근무 시간이 짧으면 일을 잘하고 실적을 잘내는데도 손가락질 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현장에서는 그런 분위기가 점점 사라지고 있는데, 대학원에서는 여전히 그런분위기가 있는듯해 참 아쉽습니다.
제 추측으로는 학생들을 근무시간을 가지고 평가하는 PI의 나태한 태도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입니다.
짧은 시간동안 높은 집중력으로 좋은 성과 내도록 트레이닝하고, 장시간의 공부와 연구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는게 지도교수의 역할이라고봅니다.
그런데 많은 교수들이, 디테일하게 지도하기 귀찮고 힘드니 일단 오래 앉아 있는지만 체크합니다. 그러다보니 학생들도 오래 앉아있는게 제일 중요한 거라고 착각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연구에 필요한 공부를 하고 좋은 연구를 하는거지 얼마나 오랜 시간을 투자했느냐가 아닙니다.
한국 학생들은 굉장히 성실하기 때문에, 동기부여만 잘 된다면 장시간 근무 강요하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오래 앉아있습니다.
그러니 PI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강제로 하는 긴 근무가 안좋은 이유에 대해서 좀 더 써보자면...
일단 개인 생활과 연구 업무 시간이 분리 안되는 문제가 크구요. 공사 구분도 잘 안되기도 하고...
경험상 근무시간 길게 공요하는곳에서는 어차피 늦게까지 있어야 되니, 퇴근시간까지 아직 시간 많다며 느긋하게 일하는 경향이 매우 강했습니다.
그날 할 업무량이 10으로 정해져있으면, 반나절이면 끝날 일도 하루종일 붙잡고 12시간동안 합니다.
그러면서 일과시간에 웹서핑, 게임, 영상시청 등등 하면서 노는 시간이 많더라구요.
대학원은 회사처럼 일과시간에 뭐하는지 관리는 잘 안되기 때문에 그런것 같습니다.
이러다보면 노는게 습관화되면서 연구실을 노는곳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생깁니다.
본업인 연구는 뒷전이고 학생들끼리 하루종일 뭐하고 놀지만 작당하는 사람들이 깁니다.
당연히 업무 효율도 떨어지고, 더 안좋은건 열심히 하는 다른 학생들이 안좋은 영향을 매우 많이 받더라구요.
그리고 열심히 하지도 않으면서 자기는 오래 앉아있었으니 열심히하는 사람이라는 자기 세뇌가 걸리기도 합니다.
앉아 있는 시간중 실제로 공부하고 연구하는 시간은 몇시간 안되는데, 나는 매일 12시간씩 근무하고 주말에도 연구하는 성실한 사람이라고 스스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생기더군요.
사실은 연구 집중력이 안좋아 시간대비 성과가 안나오는건데, 자기는 열심히하는데 운이 나쁘거나 지도교수가 지도를 잘 못해서 실적이 안나온다면서 부정적인 사람으로 변해갑니다.
또 개인 일상이 사라져서, 대학원 생활이 불행해집니다.
이런게 누적되면 학생 개인에게도 안좋고, 연구실 전체에게도 참 안좋은것 같습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대학원 훌리짓 할 시간에 연구나 하셈4
3
4647
김GPT
학부연구생 고민..1
6
785
김GPT
대학원 입시 봉사시간7
14
4584
김GPT
잡대생 대학원 진학5
7
3071
김GPT
학부연구생 경험0
2
1661
김GPT
대학원진학하면 시간 낭비일까요0
3
1447
-
3
6
938
김GPT
대학원생 통학0
1
5623
김GPT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39
34
18511
명예의전당
학계를 떠나며110
21
51947
명예의전당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159
6
29480
명예의전당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78
18
1535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7.29
2022.07.29
대댓글 1개
2022.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