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연구경험 없이 ai 대학원 진학

2025.04.22

11

199

안녕하세요. 우선 시간 내서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지거국 컴퓨터 공학과 4.24 / 4.5 정도로 어느 정도 학점을 관리했습니다.

학부연구생 같은 경험은 없지만

제 나름대로 블로그에 인공지능 관련 개념
(PyTorch, MLP, autograd, fcn, loss_function, optimizer, cnn, normalization, googlenet,
resnet, rnn, lstm, autoencoder, attention, transforemr, word_vector 등)들을

정리해오면서 현재는 multimodal 쪽에 관심이 생겨 survery 논문을 읽고 지식을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요는, 방학에 인턴 후 가고 싶은 대학원이 어느 정도 정리되서 교수님께 컨택 메일을 드려보려고 하는데

혹시 저같은 케이스의 경우, 교수님들이 보통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가능성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5.04.22

말씀하신건 기본중 기본이여서 저 정도로는 별로 관심있을 교수가 있을지 싶네요. 연구 경력 쌓으실순 없나요?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4.22

블로그 포스팅 같은 걸 연구의 적극성으로보고 좋아하시는 분들도 분명 계십니다.

사실 지금은 분야가 레드 오션이여서 그런 기본적인 개념을 알고 있다는게 가산점이 아니라고 생각 할 수도 있겠네요. 솔직히 최신 머신러닝 책에 나오는 기본인 내용들이니까요. (수학과 진학하는데 미적분 안다고 하면 그려려니하지 않을까요?)

그래도 안하는 것 보다는 나은 것 같아요. 아무 성과없이 독서실처럼 인턴 몇 개월 하는 것 보다도 배우는기 많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Survey에서 더 나아가서 좀 더 트렌드 최전선 논문들도 리뷰해보려고 하세요. (최신 탑티어 저널 oral 등)

대댓글 4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4.22

좋게보죠.
성실하고 관심이 많은친구로 볼거 같아요.
좋은학교들 컨택해도 무리없이 잘 가실거 같아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