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차전지나 태양전지는 무슨 피인용 2배 이벤트 하냐???

2021.07.25

8

1997

이쪽분야 피인용이랑 H-index ㅎㄷㄷ하네. 무슨 인덱스 40은 그냥 넘는 느낌

이쪽 분야 보정 넣어서 어느정도면 좀 잘한다고 볼 수 있음?? 보통 인덱스 50넘으면 국내에서 연구로 깔 수 없을정도의 실력자인데 배터리는 좀 많네 50넘긴사람이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1.07.25

H-index는 해당 분야에서 논문이 얼마나 쉽게나오는지에 따라도 갈리죠.. 적당한 아이디어로 실험몇개해도 논문이 나오는곳도 있는반면, 박사학위내 2편써도 잘했다는 분야도 있고요. 배터리뿐아니라 재료쪽이나 에너지 들어가는 쪽은 H-index나 impact factor나 뻥튀기가 심한듯..

대댓글 1개

2021.07.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맞음 재료쪽이 뻥튀기 엄청심함
긍정적인 프랜시스 크릭*

2021.07.25

결국 근데 저런 분야가 취업도 잘됨

2021.07.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구할게 많아서 그런거 아닐까

2021.07.25

예전에 룸메보니까 생명쪽이 장난아니더라구요. 논문하나에 레퍼런스 200개 달던데

대댓글 2개

청승맞은 마리 퀴리*

2021.07.25

? 생명박사인데 거의다 30~60개 답니다.
님은 무슨 리뷰논문 보셨나본데??
성급한 토마스 홉스*

2021.07.26

리뷰 논문 구별도 못하는 학생인가 봄

2021.07.26

어차피 보통 세부 분야 정해놓고 뽑기 때문에 별 의미 없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