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닥을 해외로가서 1년만하고 온다고요?? 대부분 2년은 채우고오고, 1년/1년 다른기관에서 하시거나 1년반정도를 한기관에서 하시는 케이스들이 대부분이였습니다. 단순히 1년갔다가 오신 케이스는 거의 못봤습니다.. 국내 포닥이면 1년만 하는건 말이되네요.
Mark Twain*
2021.02.05
가서 적응하는데 1년 결과내려면 3년은 해야지
1년하고 온거는 가서 바로 교수지원해서 된 케이스일테고
Virginia Woolf*
2021.02.05
3년내내 국내길래.. 약간놀랬 학석박다 국내고
Mark Twain*
2021.02.05
국내포닥은 그냥 커리어 좆망한거고
Virginia Woolf*
2021.02.05
근데 교수됬으니 뭐 결과적으론 성공이지않나?? 지잡까진아님
Alessandro Volta*
2021.02.05
ㄴ 이건 주제넘은 일반화임. 여기 학생들의 특징이 오프라인이라고 뇌피셜대로 남의 인생 판단하는것 같긴 하다만.. 국내 포닥으로 실적을 월등하게 좋게내면 어느 누가 국내에서 포닥했다고 무시겠음? 3년 포닥이야 확실히 길긴하지만, 결과적으로 교수 자리 기다렸다가 받은거면 누가 뭐라하겠음.
실적도 다 검색래봤는데, 막 엄청난 저널에 실적낸건아니던데. 걍 신임교수 스펙정도였음. 학부학벌도 spk라인아니었고
Virginia Woolf*
2021.02.05
외국경험도 한번도 없었고
Thomas Jefferson
IF : 1
2021.02.05
어차피 교수임용이라는건 일반화는 의미 없어. 포닥 3년이 긴건 아니라는게 내 요지고.
Alessandro Volta*
2021.02.05
교수임용은 원래 될놈될 느낌이라서 실적이 좋다고 되는것도 아니고 시기가 의외로 많이 중요한듯. 학부는 당연히 spk출신을 선호하겠지만, 최근 임용된 분들/ 특히 과기원 보면/ 학부보다는 실적을 훨씬 중요하게 봄. pk에 교수들 한번 봐보면 학부가 인하대나 심지어 충남대 정도의 분들도 꽤계심.
외국경험도 있으면 좋겠지만, 필수는 아닌것같습니다. 다만 메이저대학 교수될때는 최소 해외메이저기관 포닥경험은 필수인듯. 여튼 선배들이나 주변보면 교수임용은 정말 될놈될인것 같아요. 물론 실적좋은사람들끼리 경쟁하는거긴하고요. 추가로 그냥 신임교수 스펙이면 실적은 부족함 없는것 아닌가요.
2021.02.05
5년하고 교수된 사람 본적있음
Virginia Woolf*
2021.02.05
ㅇㅎ? 대부분 experience보면 해외포닥 1년 많이보이던데 아닌사람도 많나보군
Ptolemy*
2021.02.05
우리분야는 5년-10년정도 포닥하는데 어느과길래 1년만에 교수가 됨?
Mark Twain*
2021.02.05
다시 정리해준다
1. 미국포닥은 보통 2-3년으로 계약함.
2. 3년 이상이면 시니어포닥이라 일반적으로 research scientist등으로 직함을 바꿔줌
3. 포닥은 사실 잡 구할때까지 논문찍어내는 임시직이기 때문에 짧으면 짧을수록 좋음.
포닥을 오래 했다는건 그만큼 계속 임용에 실패했다는 뜻이기에 너무 긴 포닥은 금물임
물론 전공에 따라 5년 이상씩 포닥하는게 보통인 경우가 없지는 않음.
4. 국내포닥이나 연구교수는 (학교 정출연 공통) 일반적으로 커리어 막다른 길임.
해외포닥도 못나가고 정출연, 학교에도 못가고 갈데없어서 간다는 인식이 강함
물론 해외에서 대단한 실적을 내고 와서 자리나는걸 기다리는 일부의 예외는 존재함
Mark Twain*
2021.02.05
그리고 포닥 아무리 오래해봐야 임용시에는 최근 3년실적등만 보기때문에 전혀 의미 없음
2021.02.06
분야 전공 마다 다른게 포닥 기간.
짧으면 짧을수록 좋은게 포닥 기간.
전 포닥 8개월만에 모두가 원하는 그런 자리로 갔어요.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5
2021.02.06
2021.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