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아직 교수를 시작한지 2년정도 밖에 되지 않았고, 나이도 많지 않고 (만 30세), 결혼을 아직 하지 않은 비교적 자유로운 상태 (?) 에 큰 고민이 하나 있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우선 제 큰 고민은 한국에 교수로 지원해야 하는지 입니다.
미국에서는 항상 고민이 grant더 라구요 ㅜ 제 연구가 사실 grant가 딱히 필요 없는 분야 (?) 입니다. 저는 보통 health researcher 와 statistician 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고 있고, 보통 빅 데이터 analysis로 유명 저널에 재밌는 주제를 많이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학교에서는 grant 압박으로 연구 성과가 productive 해지는게 좀 어렵더라구요. 예를 들어 2020 년에 sci 논문을 1저자로 8개를 냈는데, 2021년에는 grant 압박으로 grant 쓰느라 2개밖에 내지 못하였고, 또 grant가 되리라는 보장도 없어서 힘이 드네요 ㅜ
우선 한국에서는 저희 분야는 grant 보다도 "논문 수" 더라구요 [물론 저는 논문 quality도 당연히 중시합니다]. 우선 제 강점을 보일 수 있을 것 같아서 한국에 지원하고 싶은데
우선 제가 나온 한국의 모교는, 해외의 젊은 교수보다는 오히려 한국/미국 상관없이 교수로 더 경력이 많으신 분들을 많이 뽑더라구요. 자리도 언제 나는지 모르겠고, 모교에 자리가 나는 것을 계속 기다리다가 계속 오도가도 못하는 처지가 되는 것도 걱정입니다.
또한 저희 학교와 더불어 다른 서울의 상위권 학교들은 가르치는 과목수가 많고, 교수님들이 행정일을 많이 한다 들어, 이것또한 걱정이네요.. 혹시 경험담을 공유해주실 수 있는 분 계실까요? (물론 미국 학교는 가르치는 과목수는 한학기에 최대 2개가 넘지 않고 행정일은 거의 없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IF : 1
2022.01.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교수 장점 :
그랜트 따기가 훨씬 쉬움 (컨소시움으로만 따도 어느 정도는 가능)
학생 몸값이 훨씬 쌈 (100% 줘도 BK 감안하면 2천정도면 가능. 미국 1/5정도)
월급과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음
단점: 잡일 행정일 강의부담 높음
미국에서 부부가 안정적으로 같은 동네에서 직업을 구할 수 있으면 모르겠지만 아니라면 국내 교수가 낫다고 봄
한국에 가고 싶으신 이유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grant 압박 안 받고 연구를 더 하고 싶은 것이 목적이시라면 한국에서 그 뜻을 펼치기 쉽지 않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기본적으로 강의 수와 행정일로 인한 압박이 훨씬 심해지겠죠.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 grant 로 인한 압박과 비교를 할 수는 없겠습니다만, 개인적으로 한국 들어가서 미국에서처럼 productive하게 연구하시는 분은 거의 본 적이 없습니다.
연구가 목적이 아니라 개인적인 이유시라면, 가령 한국에서 살고 싶다거나, 한국 학교에 지원하는 게 맞지 않을까요?
대댓글 2개
2022.01.14
아쿠,, 그렇군요 ㅜㅜ 저도 사실 한국에서 교수된 제 동료 친구들을 보면 어떤 친구들은 학교 홈페이지를 자기가 꾸몄다고 하고.. 별말이 다있더라구요 ㅜ~ grant vs. 강의수+행정일+잡일... ㅎㅎㅎ 어렵네요
그 이유 외엔 사실 미국에 혼자 살면서 나이가 차니까 (제가 여자라서) 결혼 걱정도 있고 부모님이 그리운 그런 개인적인 이유도 있답니다.. ㅎㅎ 답변 너무 감사드려요~ :)
열정적인 찰스 배비지*
2022.01.14
미국에 계신 한인 교수님들 많이 아는데.. 그 분들을 주변에서 본 결과..
결혼이 인생에서 중요한 요소중 하나라면 미국보다 한국이 더 나아 보입니다.
2022.01.14
저 같으면 그냥 미국에 있겠습니다.
미국은 좀 심심하지만 여유가 있고 한국은 재미있지만 바쁘죠.
미국에서 심심하시니 한국이 그리울 수 있지만 그 재미가 정말 재미가 아니라 다른 것과 얽혀서 괴로울 수 있습니다.
특히 결혼을 하면 인간관계가 매우 복잡해집니다.
대댓글 3개
2022.01.14
이 댓글도 참 ㅜ 공감이 가요 ㅜ ㅎㅎ 미국에서 심심하니까 한국이 그리운게 정말 fact이긴 해요 ㅜ!
주말에 아무것도 안하고 일만하는 세월이 거의 5년째 되다보니까 참 한국의 다이나믹이 그리운데 또 막상 제가 생각하는게 아니라면 돌아오기 어렵고ㅜ 참 어려운 결정이네요 ㅜ ㅎㅎ 댓글 감사드려요~
2022.01.14
저도 공감. 한국에선 쓸데는 인간관계가 너무 많아서 ... 거기서 벗어나기도 쉽지 않고. 조용히 연구하기 좋아하는 사람에겐 미국 대학이 더 낫다고 봐요. 정년도 없어서 연구를 하고 싶을 때까지도 할 수 있고.
2022.01.14
쓸데없는*
열정적인 찰스 배비지*
2022.01.14
한국서 교수해야 교수라는 직업의 메리트도 더 있는 것 같고..
미국서 교수하다 한국 가면 더욱 전문가 대접 받는 것 같고.. 그렇네요..
대댓글 1개
2022.01.14
그러게요..! 진짜 그런 듯 해요 ㅜ ㅎㅎ 정말 공감가는 댓글입니당 ㅎㅎ :)
2022.01.14
혹시 전공이 어떻게 되시는지요?
한국에서 많이 필요한 분야 하시는 것 같네요.
대부분 교수님들은 한국 와서 만족 하시는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1.15
제 전공은 보건학입니다.:)
댓글 감사드려요!
정직한 알프레드 노벨*
2022.01.15
'정해진 미래'를 저술 하신 서울대 조영태 교수님도 보건학이신데 인구보건학이라 빅데이터를 다루시는 것 같던데 비슷한 분야인가요? 한국에서도 미국에서도 재밌는 연구 하실 것 같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1.15
감사해요! 조영태 교수님 미국 박사 오기 전에 여러번 프로젝트에서 뵜었습니다.:) ㅎㅎ encouragement 감사해요! ㅎㅎ
정직한 알프레드 노벨*
2022.01.17
그러셨군요. 전 보건학이라고 해서 간호학과 비슷한건 줄 알았는데 조영태 교수님 책들 읽고 보건학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됐습니다. Public health라고 미국에서 하더군요, 보건 정책도 세우고 바이오스탯 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여튼 조영태 교수님의 저서들은 흥미로웠습니다.
2022.01.16
보건학이면 논문이 많이 나오는 분야라서 한국 와서 되게 바쁘게 사셔야 될 것으로 생각 됩니다. 대신에 그랜트 수주에 대한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여러모로 과제 수주할 수 있는 통로가 많은 분야에요. 그랜트 따는 것 되게 스트레스인데 잘 따져보시길 바랍니다. 제 경험상 미국에 남는 것으로 결정했더라도 40대에 한국 돌아갈껄 이라고 후회하는 분 많이 봤습니다. 물론 가족이 있으면 또 다른 이야기 구요.
2022.05.27
몇 달 지나서 보실지 모르겠지만 같은 고민을 하고 있어서 답글 올려봅니다. 저는 사회과학분야 3년차입니다. 주변 교수님들께 묻기도 하고 가족들과도 늘 이야기하지만 결국 미국에 있으면서 미국이냐 한국이냐 끊임없이 검색하는 제 안에 이미 답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여기가 시골이라 더 그럴 수도 있겠지만 pro con 다 덮어놓고.. 연구실 앉아서 너무 평화롭기만한 풍경을 보고 있으면 아직 젊은데 이렇게 미지근하게 살아도 되나.. 싶고 함께 연구하는 한국 교수가 죽네 사네 하는 학교 얘기들을 하면 이상하게 부럽고 설레기도 합니다. 부모님 생각도 크고요. 그래서 결과는 모르지만 전 무조건 도전해보기로 막 어제 밤에 혼자 결심했습니다ㅎㅎ 제 분야는 한국에 자리가 많이 없고 아직 교수님처럼 논문이 많지도 않아서 더 화이팅이 필요하지만 도전은 해보려고 합니다. 삼년차 지났으니 몇 년 기다렸다 tenure 받고 가라는 분도 있지만 그건 더 제맘대로 되는 일이 아니겠죠ㅎ
답글과 무관하게 하나 질문드리고 싶은 부분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보건학이 아니라 Public health를 (epidemiology, health promo..) 공부할 수 있는 한국대학에 많은 편인가요? field experience나 medical background가 없어도 학생들이 진입하기 괜찮은 전공인지 궁금합니다. 이 분야에 대해서 너무 몰라서 우문이 될 지 모르겠네요. 가족 중에 MPH를 가서 public health promotion을 하고 싶다는 아이가 있어서 알아봐 주고 있는데 멀리봐서 한국에 포지션이 잘 나오는 분야인지 또 미국의 경우 보통 3년 이상 필드경험을 요구하던데 PhD까지 고려했을때 그런 부분이 후에 걸림돌이 되는 분야는 아닌지 궁금합니다. 사정상 미국에서 MPH까지만 하고 한국으로 박사를 가고 싶어하는 것 같은데 검색을 해도 정보가 그렇게 많지 않네요. 서울대나 시립대 등에 있다는 것 정도… 잘 몰라서 조언하기가 어렵지만 참 앞으로 중요한 학문이라는 생각이 들
대댓글 1개
2022.05.27
어서요. 이 외에도 먼 미래에 한국에서 이 분야 교수를 꿈꾸는 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조언이 있다면 감사하겠습니다.
2022.01.14
대댓글 1개
2022.01.14
2022.01.14
대댓글 2개
2022.01.14
2022.01.14
2022.01.14
대댓글 3개
2022.01.14
2022.01.14
2022.01.14
2022.01.14
대댓글 1개
2022.01.14
2022.01.14
대댓글 1개
2022.01.15
2022.01.15
대댓글 2개
2022.01.15
2022.01.17
2022.01.16
2022.05.27
대댓글 1개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