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박사 과정을 위해 미국 교수님들과 contact 중에 있는데, 그 중 MSE faculty에 뜨는 화학과 교수님에게 메일 답장이 왔습니다. (Courtesy Appointment in Materials Engineering)
답장 중에 이렇게 왔는데,
Normally I would recommend applying to either the Chemistry or Materials Engineering program, but our current situation does not allow me to offer an RA position in Y1 which is the expectation of the MSE program. Thus, if you would be willing to submit your application to the Chemistry department and specify your interest in Materials, I believe that would be best. Chemistry does offer a summer RA program so it is possible to work in a sponsoring lab prior to the Fall semester.
그 중에 specify your interest in Materials이 무슨 뜻인가요? 화학과로 apply를 하라는건 이해가 됩니다. 그러면 MSE 전공을 할 순 없다는 뜻인걸까요? 해당 교수님의 랩실에는 MSE 전공자도 있긴 합니다.
그리고 summer RA program 을 언급한 이유도 궁금합니다. 저는 2025 Fall admission 내용만 언급하였는데, 이 부분이 어떤 뜻인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11.22
저정도 이해못하면 그냥 한국에 있는게
대댓글 2개
2024.11.22
이런 사람보면 김박사넷 뿐만 아니라 최근 많은 사람들이 삐딱선을 타고 있다는게 느껴집니다. 메일 내용 보면 충분히 자문을 구할만한 내용입니다. 화학과로 지원을 하되 재료에 관심 표현하라는게 RA 상황으로 인해 학생 배려를 위한 일종의 조언인데, 학위에 찍히는게 화학인지 재료인지 언급도 없는 상태입니다. 다만 해당 랩실에 MSE 전공자가 있는걸보면 유동적으로 지도교수 재량에 따라 학위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어보입니다. 같은 연구자인데 이 정도 조언도 못구할 각박한 삶을 살아야할까요? 제가 박사과정 준비할 시절에도 탑스쿨에 재학중이신 선배들 자문을 많이 얻고 고마움을 크게 느꼈던 기억이 있습니다.
2024.11.22
정말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교수님께 여쭤보니 말씀하신 방향이 맞는듯 합니다. MSE로 진학할 경우 funding이 risky 하다고 하네요. 화학과 track을 가는게 좋을 것이라고 유도하시는 것을 보아하니, 학위도 그렇게 될 가능성이 클 것 같습니다. 물론 합격하고 나서 고민해도 늦지않지만, 일단 지원해서 다른 학교들의 상황과 같이 고민 예정입니다. 위의 댓글 때문에 약간 심란했는데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ㅎㅎ
2024.11.22
Summer RA sponsoring은 지원기한이 여름 한정인지 여름부터 시작인지 확인해보세요. 어떻게든 RA를 끌어다줄 수 있는 방향 고민중이신 것 같은데 지원해보십시오. 학위 선택은 교수님이 joint faculty면 제 경험상 어렵지 않아보이고, 입학때만 화학과로 선택하라는 것 같네요.
2024.11.22
화학과로 원서를 넣을때 세부 연구 분야를 선택하는게 아닐까 싶네요. 그때 재료로 선택하시면 될것 같구요. 그치만 나중에 재료과로 전과 하라는건지는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글구 그렇게 들어가면 연구는 비슷해도 수업 커리큘럼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건 직접 확인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4.11.22
Summer RA 는 여름학기 시작할 때 와서 연구하고 배우라는 의미 같습니다. 정식 RA 계약은 다른 신입생들과 같이 가을에 하게 될테니 그 전에는 저거로 계약하지 않을까합니다. 합격하게 되면 자세한 계약서가 올테니 확인해보세요.
2024.12.01
대개 화학과는 TA 수요가 이공계 전분야에서 가장 많은 곳이라, 교수가 펀드가 없어도 TA 계속하면서 졸업도 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교수입장에서는 학생이 화학과 학생일때 선택의 유연성이 있는거지요. RA를 당장 못줘도 학생을 받을수 있으니
2024.11.22
대댓글 2개
2024.11.22
2024.11.22
2024.11.22
2024.11.22
대댓글 1개
2024.11.22
202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