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박사유학 질문

2023.10.15

11

969

안녕하세요 현재 ky대 다니는 학부생 4학년 막학기 학생입니다. 제가 미국박사유학 분야는 BME 또는 재료인데 질문이 있어서 올립니다. 현재 GPA는 미국환산으로 3.58/4.0이 될 것 같아요. 미국 TOP20대학 박사유학을 원하는데 아직 연구실적이 없어서 한국에서 석사하려고 가고자 합니다. 보통 어느정도의 연구실적을 가져야 하는지(제1저자 논문1개로도 괜찮은지,지금은 학부연구생 경험만 있고 실적은 없어요.)
그리고 미국유학 가면 펀딩으로 수익은 얻지만 돈을 모으기에는 힘들것 같다는 말이 있어서 석졸이후 1년정도 석사후연구원으로 돈모으면서 연구실적 더 올리고 토플 GRE 준비해 더 좋은대학을 가는게 맞는건지 아니면 석사과정에서 영어 다 준비하고(보통이런분들은 언제 토플 GRE 따는지 궁금해요) 바로 졸업후에 미박을 신청하는게 맞는건지 고민이 되네요. 제가 석졸하면 29세여서 가거나 1년 늦추면 30에 갈 거 같은데 너무 나이가 늦게 미국유학가는건지 궁금합니다.

즉 질문은

1. 이쪽분야 지금같은 GPA에서 TOP20대학가려면 필요한 연구실적 정도
2.석졸후 바로 미박(29세에 가기+토플gre는 언제 준비?) VS 1년 석사후연구원으로 돈모으고 영어시험보고 연구실적 더 올려서 가기(30에 가기) 어떤게 더 추천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3.10.15

안녕하세요 저는 내년가을 입학 목표로 Phd 유학지원 예정인 석사생입니다. 물론 이미 나가계신 분들 정보가 더 정확하겠지만, 제가 이번에 준비하면서 알게된 점, 주위에 이미 나간 사람들 본 결과 공유해드립니다.

1. 미국 대학원 입시는 한국처럼 스펙으로 딱 자르지 않는것 같습니다. GPA 랑 연구실적은 고고익선 인것같은데, 연구실적이 얼마나 필요한지는 분야마다 정말 다른것 같습니다. 심지어 세부 분야마다도 달라요. 제가 있는 컴퓨터싸이언스 쪽은 AI, CV 이쪽은 1저자 여러편 쓰고도 떨어지는 것도 봤고, 하드웨어 시스템 이쪽은 논문 없이도 가는 사람 봤습니다. (이 부분은 BME 쪽 잘 아시는 분이 답글 달아주세요) 그런데 MIT 급 대학들 phd student 들 보면 분야 막론하고 논문 없이 나오는 경우는 없는것 같습니다. 다들 1저자는 아니더라도 다 publication 은 있더라구요. 그리고 아직 막학기 시니까 GPA 를 조금 더 올리는게 안전해보이네요.

2. 토플은 유효기간이 2년, gre는 5년이라 gre 는 지금 해놓으시면 좋습니다. 하지만 gre 는 요즘 대부분의 대학들이 안받거나 optional 로 바뀌어서 토플을 우선적으로 준비하는게 나아보이네요. 저는 이번에 지원할 학교들이 전부 GRE를 안받아서 응시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보통 이공계 토플 phd 컷은 100점 정도입니다. (학교에따라서 section 별 minimum 을 걸어놓기도 합니다.) 그리고 30살에 유학가는게 늦는건가요? 남성분이시면 군대+석사하면 아무리 빨라도 28살 아닌가요.. 재수 or 휴학 하신 경우도 많아서 30살넘어서 나가는게 평균인것같아요. 여성분이시라도 30에 나가는게 그렇게 늦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석사 후 연구원으로 돈 모아봤자 뭐 얼마나 큰 돈을 모으겠습니까 그냥 석사 졸업시즌에 바로 지원하는게 나아보입니다.

2023.10.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기본적으로 정말 확고하게 가고자 하고 석사 입학전부터 마음써서 준비하는 사람들은 어디던 결국 나가더라고요

대댓글 1개

2023.10.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나이는 정말 상관없고,
연구실적도 뭐라도(강한 추천서?) 연구능력 입증할 정도면 되고, 당연히 1저자 있으면 좋겠습니다만 공저자라도 챙기시고,
석사 끝나고 바로 가시는게 낫지 뭐 석사급 연구원(결국 엔지니어) 이런거 아카데미아에서는 오히려 들어가기 힘들어져요.

2023.10.17

박사과정에 혼자가는 경우시라면 지역마다 차이는 조금있지만, 다들 돈은 넉넉하진 못해도 충분히 먹고살정도는 줍니다. 본인이 1B1B에서 꼭 살아야겠고, 외식해야되고, 1만달러에 중고차사야겟다 등 이상한짓만 안하신다면요..
특히 캠퍼스타운이 있는곳들은 1B1B도 1000불이면 살아요. 최근 코로나이후에는 조금오른듯하지만 엄청난차이는 없을겁니다.
꼭 금전적인것때문이 아니라해도 석사과정때 한번에 준비하기 어려우면, 1년정도 시간투자해서 좀더 다듬고 가는것도 충분히 좋은 선택지라 생각합니다. 저는 spk박사에 해외포닥이였지만, 주변에 한국에서 석사하고 박사왓던애들중 1년갭은 상당히 흔했습니다.

대댓글 7개

2023.10.18

엄청난 차이 있어요. 보스턴은 학교근처면 1B1B 3000불 합니다

2023.10.18

보스턴이나 뉴욕은 그만큼 로컬물가 고려해서 샐러리가 높던데요..?

2023.10.18

보스턴 지역 학교 박사인데 샐러리 세금떼면 한달 2900불정도 돼요. 저정도 비싼 집은 못살아요.

2023.10.18

그쵸.. 저는 보스턴에서 멀지않은 CMU에 있었는데, 여기에서도 박사과정생들은 1B에 많이 살지는 않았습니다. 여기는 1200불정도수준이였는데도요.. 잘 보시면 위에서 말씀드린것도 본인이 1B에 살거나 중고차 사는등 사치 안부리면 어떻게든 혼자가서 먹고살수있다고 말씀드린거고요.
보스턴은 MRS학회때문에 매년 겨울 방문했고, MIT와 공동연구때문에 보스턴에 2달정도 있을때는 친한 박사과정중인 친구집(브라이튼 에비뉴근방)에서 얹혀살았는데, 거주비가 확실히 비싸긴 하더라고요.

2023.10.18

말하다보니 보스턴이랑 멀지않다고하기에는 거리가 꽤나 되긴하겟네요.. ㅋㅋ

2023.10.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MIT는 학생노조 있어서 월급 많이 준다더ㄴ데

2023.10.18

위에 적은게 mit 월급입니다.학생노조생기고 난 이후로 물가인상률 따라 매년 조금 오르는 정도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