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철학자A에 대한 단상

2025.10.27

3

1452

누구나 자기 스스로를 특별하다 생각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그것이 과하게 작용할 때가 있습니다. 저는 일개 평범한 공학자일 뿐, 인문사회 계열이나 교육학을 전공하지 않았기에 이러한 현상을 이론적으로 풀어내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아동기 스스로 특별하다 느끼던 것에서 실패하고 좌절감을 느끼고,
그 실패에서 일어나 노력해서 성취감을 맛보며 성장합니다.

근데 종종 이 과정을 제대로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무조건적인 긍정과 칭찬 뿐인 가정교육이 아동기의 환상을 강하게 고정시켰을 수도 있고, 스스로 메타인지를 할만큼 자기 객관화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재밌는 것은 주변에서 이런 모습을 보이는 사람을 꽤나 자주 보게 됩니다. 유심히 관찰하면 몇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1) 노력과 성취를 경험하지 못했습니다.
2) 때문에 노력의 가치를 모릅니다
3) 그렇기 때문에 타인의 노력과 성취를 폄훼하고 깎아내립니다.
4) 정작 자신은 성취한 것이 없기에, 이를 감추기 위해 모호한 궤변으로 무지를 은닉합니다.
5) 누군가 이를 파고 들려고 하면 굉장한 적개심과 공격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아마도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방어기재로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자신이 특별하다는 환상이 깨어지려 할 때 스스로를 좌절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타인을 깎아내리는 겁니다. "하나"의 이론도 제대로 만들지 못했기에, GPT로 생성한 수백 가지를 내세우며 타인을 "내가 수백가지 이론을 만들 동안 너희들은 뭐했냐?"란 식으로 깎아내리고 스스로 천재라는 환상을 강화시키는 거죠.

여기서 제가 하고 싶은 말은...AI가 기폭제로 작용하는 겁니다. 과거 AI가 없던 시절 조현병은 스스로의 환각이나 환청에만 영향을 받았습니다. 바꿔 말해 환각이나 환청이 없는 경우라면 비교적 경증일 겁니다. 문제는 사용자에게 듣기 좋은 말만 하는 AI가 환각과 환청처럼 작용할 때가 많다는 겁니다.

비뚫어진 신념을 가지고 있을 때, AI가 마치 그것을 진실인 것처럼 속삭인다면, 그 달콤한 환상에서 벗어날 수 없겠죠. 그 환상에 갇히면 조현병이 아니더라도 조현병 같은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섬뜩한 사실은 AI가 내놓는 답변을 비판적으로 객관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사람의 비율이 얼마나 될까 하는 점입니다. IQ는 100이 평균인 지수입니다. 그 말은 인류의 50%는 IQ가 100이 안된다는 겁니다. 지능이란 것은 문제해결능력을 의미하고, 문제해결능력은 문제 상황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합니다. 즉 IQ가 낮으면 메타인지가 낮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AI가 내놓는 답변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할 수 없는 지능의 사람들은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많을 겁니다.

철학자A는 지금껏 겪지 못했던 새로운 사회문제의 전조 증상일 수 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5.10.27

진짜 좀 심각하게 보이는게 Ai가 조현병 만들기 되게 좋은 툴임
최근에 만화 랑데뷰 작가도 검색해보면 나올건데
gpt를 가지고 이것저것 쓰면서 gpt는 자아가 있다. 나는 gpt가 인정한 상위 0.1% 지능 보유한 사람이며 gpt 해킹에 성공했다 이런 글을 작성함.

검색해보면 알겠지만 저 철학자 A라는 사람과 소름 돋을 정도로 비슷해서 걱정이 됨.

Gpt 초기 논문보면 알겠지만 사람 preference를 가지고 강화학습을 진행한거라 사람의 입맛에 맞는 답변을 하도록 학습됨.
이 과정에서 조현병 초기나 낌새가 있는 사람들은 GPT를 쓰면서 점점 더 자신의 생각이 맞다고 생각하고 의존하게 되면서 악순환에 빠지는 상황이라고 생각함.

그래서 나는 웃으면서 보지 않고 되게 심각해보여서 걱정됨

2025.10.27

날카로운 척하는 사람을 향한 날카로운 지적이군요. 메타인지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듯 합니다.

2025.10.27

좋은 지적이며 앞으로 정말 사회문제가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다만, 철학자 A가 단순히 잘난척으로 끝난게 아니라 오픈 채팅방, SNS등을 통해 홍보활동을 잘한걸 보면 이건 지능적으로 어그로를 끌면서 자신을 어필하고 돈을 벌려고 하는 전략적 스탠스일 가능성이 높게 보입니다. 단순히 천재라고 조현병 스럽게 스스로를 여긴다면 그렇게 카카오톡 chat을 링크로 남겨가며 마케팅까지 하는 전략을 생각해내기는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암튼 많은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사건임에는 분명한것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