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있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저는 한국 대학원 생활하다가 그냥 답도 안보여서 중간에 관두고 혼자 이메일 컨택해서 독일에서 잘 지내고 있는 경우에요...
컨택이나 생활 학위과정 등등 도움이 될 수 있음 좋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4개
2023.08.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이 연구가 더 활발한데 굳이 독일로 가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전공이 무엇입니까?
대댓글 4개
2023.08.15
저는 급하게 한국 대학원 생활을 접어서 gre나 입시를 준비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빨리 가고 싶어서 유럽내로 컨택을 제한했었습니다. 저희 분야도 당연히 미국이 활발하지만 유럽 특히 독일 내부에 그들만의 리그가 있는데, 논문 수나 퀄리티 등을 봐도 미국 연구와 비슷합니다. 심지어 분야의 중요한 학회도 미국보단 독일/유럽에서 열리고요... 한국에서 공부할때 읽었던 논문 대부분이 유럽 그룹이라 위와같은 이유로 선택했습니다. 전공은 자연계인것 까지만 말씁드리겠습니다:D
2023.08.16
뭐만 하면 미국미국ㅋㅋㅋㅋㅋㅋ 식견 좀 넓혀라 무슨 미국이 전분야 세계 1등인 줄 아나? 유학은 자기가 가고싶은 나라, 공부하고 싶은 분야에 강점이 있는 나라 등을 고려해서 가는거지, 뭐만 하면 미국미국
조용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3.08.16
아무리 유럽이 영어가 우리보다 낫다지만 언어문제가 있고 한국에 돌아오면 좀 디스카운트 되는 경향이 있고. 나라마다 학교마다 차이가 있지만 유럽학위가 좀 쉽다는 것도 사실임.
2025.07.02
사실 해볼 수 있는 질문인데 사람들이 엄청 공격적이네요. 미국이 연구수준은 탑 중에 하나라고 할수 있을지 몰라도 연구 규모나 펀드, 산학연계 규모는 넘볼 수 없는 수준입니다. 특히나 그래서 박사는 가능하면 미국으로 하는 게 좋고요..분야마다 다르지만 공대는 거의 그럴 거에요. 특히 영미권(미국 싱가폴 호주), 한국에서 자리 잡을때는 웬만해선 미국 학위가 독보적입니다. 유럽 탑스쿨이 연구수준이 낮다는게 절대 아니에요.
2023.08.15
daad 통해서 지원하신건가요?
대댓글 3개
2023.08.15
아니요. 저는 그냥 교수님한테 바로 컨택 이메일 보냈습니다. 거의 30개정도 보냈어요
2023.08.15
장학금이 아미라 바로 주정부 고용형태로 박사하게 되었습니다.
조용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3.08.16
Daad 받기 쉽지 않을 걸요. 나는 포닥만 했지만 주위에 Daad받은 경우 거의 보기 힘들었음
속편한 우장춘*
2023.08.15
박사 컨텍할때 어떤데 필요(필요한 서류)하고 어떤점을 어필하면 좋을까요? 그리고 독일어는 잘해야하나요?
대댓글 4개
2023.08.15
다 영어로 함
2023.08.15
독일어는 도시마다 다른데 큰 도시에는 영어로 살기에 무리가 없고요. 박사과정 자체, 즉 학교일은 영어가 오피셜 언어일것입니다. 필요한 서류는 cv 하고 motivation letter, 그리고 저의 경우에는 그 그룹 논문 읽고서 연구 아이디어 발표 자료를 보냈습니다.
속편한 우장춘*
2023.08.16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토플이라던가 제가 석사 시절 연구햇던 논문이나 정리자료 같이 보내면 좋을까요?
2023.08.16
연구 자료나 출판된 논문이 있으면 첨부하면 될 것 같습니다. 영어 성적은 저는 그냥 안냈어요 (그 당시엔 생각없이 그냥 토플 시험 보지도 않았습니다). 이건 랩마다 다른데, 저의 경우는 그냥 영어를 다 기본으로 하는줄 알아서 아예 물어보지도 않는 랩이었어서요. 인터뷰때 어차피 영어는 걸러지게 될거고... 만약 랩에서 영어성적을 요구하면 그때 제출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학석사 입학은 영어 성적 필수라서 당연히 제출해야하는데, 박사 과정은 교수가 알아서 인터뷰때 판단합니다. 학교 내규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가 컨택했던 학교들은 찾아보니 영어 성적을 내라는 곳도 간혹 있었지만 컨택한 교수가 알아서 판단할 사항이라고 적어둔 학교도 있었습니다.
2023.08.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독일 원탑 박사과정은 그냥 막스플랑크로 보면 되나요???
대댓글 10개
2023.08.15
MPI는 박사든 포닥이든 괜찮죠.. 다만 MPI 출신들 좀 아는데 어떤사람은 MPI근처대학에서 학위나오고, 어떤사람은 ETHZ에서 학위나오는등.. 같은 MPI여도 우리나라 학연처럼 졸업장찍히는 곳에 따라서 경쟁률이 차이가 크다 하더라고요~ 주변에 MPI포닥간 경우는 많이 봤습니다.
2023.08.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MPI인데 ETH에서 나오는곳이 잇나요??? 독일대학 말고요? 그 연계 프로그램 말씀하시는건가
2023.08.15
MPI 가 확실히 좋습니다. 그치만 좋은 학교를 찾아보시면 학교 내에 학과에 좋은 교수님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학교가 크면 학교내 독립 연구소도 있기에 잘 선택하시면 됩니다. 아시다시피 결국 논문 실적이 중요하니까요. 독일도 요즘은 대도시에 있는 학교를 선호하는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큰 학교에 학생이나 연구비가 몰리는 것도 사실입니다. 예로 소도시에 있는 MPI 보단 베를린 뮌헨을 선호 하는 경우도 많이 있구요. 물론 지도교수 보고 가는 거겠지만요. 그러다 유학생 입장에선 도시 분위기 무시 못합니다.
2023.08.15
제가 아는 경우에 한에서는 MPI 자체는 학위를 줄 수 없다고 하네요. 그래서 MPI 근처?나 해당 교수님들이 속한 학교의 학위로 나오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예로 스튜트가르트에 있는 MPI면 스튜트가르트 대학 학위가 나오고 뮌헨에 있는 MPI 면 소속에 따라 다르겠지만, 뮌헨공대나 뮌헨대학 학위가 나옵니다. ETH의 경우도 아마 MPI 교수가 eth 와 연결되어있다면 학위가 eth학위로 나올 것입니다. 자세한건 직접 알아봐야하지만 위의 것들은 제가 주변에서 mpi 출신들에게 들은 것 들입니다.
2023.08.16
MPI 박사과정중인데, 해주신 말씀 다 맞는것같습니다 제휴 대학에서 학위 나와요. 다만 단순히 그 대학의 네임벨류 때문에 어느 지부에 갈지 선택한다기보단.. 아무래도 제휴 대학과는 긴밀한 코웤이 되다보니까 좋은 그룹이 많은(혹은 코웤하고자 하는 그룹이 있는) 대학과 제휴되어있는 지부를 가는 게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저 같은 경우도 유명한 그룹이 제휴 대학에 있다는 점이 선택하는 데에 고려사항이었습니다. 제휴 대학 쪽 그룹이랑 원래 알고지내면 졸업 후 그쪽으로 포닥이나 자리 구하는 괜찮은 옵션도 상당한 메리트라고 생각합니다. 독일은 막스플랑크, 헬름홀츠처럼 비대학연구기관 좋은데 많으니까 그쪽으로도 살펴보셔도 좋아요.
2023.08.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 현재 유럽에서 로봇쪽 석사중인데 박사과정 고민이 많네요. 친절하신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3.08.16
저는 spk박사-미국탑대학 포닥 으로 로봇관련 연구하는데, 국내리턴 하실거면.. 웬만하면 유럽권에서 이름잇는곳으로 가세요. 독일에서 잡구하실게 아닌이상에는요.. 한국은 유럽대학과 친숙하지 않아서 캠브릿지 옥스퍼드 말고는 잘 모르는경우도 많아요. 저도 ethz와 미국 탑5대학 포닥 둘다 인터뷰보고 고민햇는데, 주변에서 많이들 미국가라고 뜯어말렸습니다. ethz epfl 뮌헨공대 델프트공대 icl ucl iit 다 좋지만.. 국내리턴할때는 많이 애매할수도 잇습니다. 로봇관련이면 ethz도 잘하고 좋은 선택이에요. 해당지역 취업생각하시면 좋고요.
2023.08.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받아만 준다면 ETHZ 절해서라도 가고싶은데 워낙 교수님들이 다 대가시라 열심히 준비중입니다...
2023.08.16
맞아요ㅠ 물론 정말 하고 싶은 연구가 있다면 그것이 최우선이겠지만... 이름값을 무시할 수 있는건 아닌것 같습니다. 독일 대학은 평준화 되어있다곤 하지만 독일인들도 유명한 대학을 찾아 오기도 하고, 사람들 인식이란게 있습니다. 학계 내에서도 mpi나 베를린 뮌헨 대도시권 대학에 대한 이미지가 좋은게 사실이에요. 독일에서도 이러한데 당연히 미국의 소위 말하는 메이저 대학들에 대한 인식이 좋은것도 맞는것 같습니다. 물론 본인의 실적이 충분하다고 할때지만요.
2023.08.16
주변 보니까, 유럽은 마리퀴리 장학재단으로 많이가던데 최근에 영국도 애매해지고, 스위스는 당연히 안되다보니 갈수있는 학교가 적더라고요. 뮌헨공대나 델프트 공대도 훌륭하니 잘 알아보세요~ 영국/스위스 제외하면 뮌헨공대와 델프트공대는 그래도 어느나라든 알아줄겁니다. 저또한 ETH는 대가라서 고민했던건데,, 인터뷰때 웬만하면 잘하는사람들이 다 미국으로 가서 사람구하는게 쉽지 않다는 말도 하신게 기억나네요~ 당시 거의 한화로 1억 맞춰주신다해서 놀랐던 기억도.. ㅎㅎ
2023.08.15
컨택메일의 구성은 어떻게 해서 보내셨는지요?? 답장은 보통 어떤식으로 받으셨고 실제로 인터뷰까지 진행하신건가요?
대댓글 4개
2023.08.15
컨택 메일을 꽤 길게 썼습니다. 내가 어떠한 철학적 배경으로 이 분야를 하고 싶은지 기술 했고, 교수님 그룹의 논문을 읽고 이러이러한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라고 썼어요. 주로 저희 분야에서 이름있는 분들께 이메일을 보냈고요. 한 5할은 답장 조차 없었고, 3할 정도는 펀딩이 없는데 다음에 따게되면 연락주겠다 답이 왔습니다. 일종의 거절 방식이라고 봐요... 그리고 두 그룹에서는 인터뷰 진행하자고 연락와서 당시는 코로나 전이라 zoom 보다는 스카이프로 온라인 면접 했습니다. 답장을 보낼때 제가 연구 관련하여 아이디어 발표를 30분 하겠다고 했고 인터뷰때도 그렇게 발표하고 질문 받고 그 이외는 스몰 토크였습니다. 독일어 가능여부(물론 아무 상관 없다 하셨고, 그치만 이게 티칭이랑 연결된 경우가 있을땐 중요합니다. 석사 과정 티칭을 하게되면 영어지만 학사 티칭은 독일어여서...), 해외 살아본 경험 등등
2023.08.15
그리고 장학금 관련해서 daad 를 따올 수 있냐? 라고 물으셔서. 그거 오래걸려서 난 당장 나가고 싶다고 하니까 몇 주만 시간을 달라고 하신 다음에, 교수님께서 펀딩을 따다주셨어요.
2023.08.15
상세한 답글 감사드립니다! 굉장히 자세히 쓰셨군요 저도 최근에 보내는중이긴 한데 많은 교수님들께 보낼려니 시간이 굉장히 오래걸려서 논문 읽는게 소홀해 지네요 ㅠㅠ 좀 더 꼼꼼히 성의를 다해서 작성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시 한번 답글 감사드립니다
2023.08.16
개인 쪽지 기능이 있다면 더 자세히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들에 관하여 이야기 해드릴 수 있는데, 눌러보니 아직 기능에 없는것 같네요...ㅠ 어쨋든 건승하시고 좋은 소식 들리길 기원하겠습니다.
2023.08.15
혹시 월급이나 이런 부분이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없으신가요? 그리고 제가 관심 있는 그룹들이 다 소도시 (주로 대학도시)에 위치해있던데 그런경우 사는게 많이 심심할지도 궁금합니다!!
대댓글 2개
2023.08.16
월급은 세후로 50%는 1500유로 75%는 2000유로 100% 는 2500유로로 같습니다. 호봉이나 상황에따라 여기서 ₩pm75유로 정도에요. 근데 이게 급여가 같다보니 비싼 지역에 살면 굉장히 쪼들립니다. 예로 뮌헨같은 경우는 방값 거의 900유로 나가신다고 보면 되는데 동독지역은 400유로 정도이니 차이가 나죠(자세한 부동산 가격은 모르지만 그냥 제 체감입니다.) 따라서 도시마다 생활비 차이가 많이 나고 나머진 소비패턴에 따라 조절하시면 될것 같아요.
심심함의 기준을 잘 모르겠지만...근데 바빠서 심심하실 틈이 없으실듯?.... 역시 대도시가 놀기 편하죠. 근데 오히려 소도시에도 한인들 많고(특히 음대 있는 곳), 정 심심하시면 기차타고 다른데 주말에 다녀오셔도 되고요. 생활적인 면에선 제 기준으로 한국보다는 더 잘 살고 있는것 같아요 독일에서ㅋㅋ
2023.08.20
상세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08.16
문화콘텐츠학과 다니고 있는데, 다닐 수 있는 연관된 석사과정이 있을까요?
대댓글 1개
2023.08.16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죄송해요ㅠ 아마 독일유학생들 페이스북 페이지나 오픈채팅같은데에서 물어보시면 굉장히 다양한 전공자들이 있기에 도움 받으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2023.08.16
분야 및 컨택 시 제공하셨던 것 들이 있을까요? (언어 성적 <영어, 독일어>등등)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8.16
독일어는 인문계나 이공계학사 입학이 아닌이상 대부분 필요없습니다. 영어 성적은 랩마다 전공마다 다른데, 제가 컨택한 학교는 영어는 지도교수 재량 판단이어서, 다들 영어는 물어보지 않았습니다. 컨택시에 cv, motivation letter, 성적표 그리고 연구관련 자료(논문, 연구계획서, 몇가지 아이디어 발표 등등)를 보냈습니다.
2023.08.16
혹시 개인 이메일 보낼수있을까요?
대댓글 1개
2023.08.16
arxiv1642@gmail.com 입니다. 제가 아는 부분에서만 제 경험이나 지인들로부터 들은 내용에 한에서 도움이 될만한 부분이 있으면 알려드리겠습니다.
2023.08.16
혹시 phychem 쪽이신가요?
2023.08.16
댓글을 보다보니, 많은 컨택 메일을 돌리시고 해당 그룹 관심 논문과 그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용에 넣었다고 하셨는데. 사실 논문 하나 읽고 괜찮은 아이디어 생각하는 게 오래 걸리고 쉽지 않을 텐데, 많은 랩실에 대해 어떻게 다 준비하셨나요? 혹시 대학원 입학을 앞듄 학부생에게 조언 주실만한 부분이 있을까요
2023.08.17
이번에 마리퀴리로 포닥을 가게 됐는데 월급실수령액이 어느정도 될까요? 배우자와 아이 한명 기준으로...
2025.06.28
출연연 근무 중인 연구원인데 곧 박사 과정 입학합니다 박사 수료 직전이나 직후에 MPI-IS 나 튀빙겐 대학에 계신 대가 교수님 밑으로 포닥 가서 연구하는게 꿈인데 여기 관련해서 아는 정보가 전무 합니다 ㅠ 분야는 로보틱스 + AI 입니다
혹시 이와 관련해서 정보 공유해주실 수 있다면 정말 감사드립니다 ㅠㅠㅠ
대댓글 1개
2025.06.28
구체적인 질문을 드리자면,
1. 교수님들께서 포닥을 선발하실 때 고려하는 공통 요소 (논문 실적이라고 하면, 투고한 논문 개수 vs 학술적인 임펙트)
2. 연구 분위기 (독일은 정량적인 실적보다는 근원을 탐구하고 이를 좇는 분위기…라고 들었는데 이게 정말 그런 것인지 아니면 단순 일반화인지)
3. 독일로 포닥 진학을 꿈꾸는 박사 과정에게 해주고 싶으신 말씀…?
석사 학위 받은지 반년도 안된지라 마땅한 실적도 없어서, 앞으로 어떤걸 준비하면 좋을지를 조언 받고 싶습니다…!
2023.08.15
대댓글 4개
2023.08.15
2023.08.16
2023.08.16
2025.07.02
2023.08.15
대댓글 3개
2023.08.15
2023.08.15
2023.08.16
2023.08.15
대댓글 4개
2023.08.15
2023.08.15
2023.08.16
2023.08.16
2023.08.15
대댓글 10개
2023.08.15
2023.08.15
2023.08.15
2023.08.15
2023.08.16
2023.08.16
2023.08.16
2023.08.16
2023.08.16
2023.08.16
2023.08.15
대댓글 4개
2023.08.15
2023.08.15
2023.08.15
2023.08.16
2023.08.15
대댓글 2개
2023.08.16
2023.08.20
2023.08.16
대댓글 1개
2023.08.16
2023.08.16
대댓글 1개
2023.08.16
2023.08.16
대댓글 1개
2023.08.16
2023.08.16
2023.08.16
2023.08.17
2025.06.28
대댓글 1개
2025.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