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NEW

2025.10.06

4

115

여러분들이 대학 입결이니 사회적 인식이니 대학원 랭킹(?)에 대해 그냥 감정적으로 싸우는 모습이 많은데...
2024 CWTS Leiden Ranking 기반으로 국내 대학들의 평균 연구 성과들에 대해 생각해봄.

대부분 공학/과학 분야가 속해있는 물상 과학 분야(physical sciences and engineering)로 x축 p(10%) y축 pp(10%) 로 설정시 연구 중심 대학과 티칭 중심 대학이 어느정도 카테고리화됨.
x축은 10% 수준의 논문을 얼마나 많이 게재했나에 대한 양적 지표이고, y축은 10% 이상 논문 비율에 대한 퀄리티 지표임.

1. SPKYKSH 가 대표적인 연구 중심 대학으로 카테고리화 될 수 있음.
- 타대에서도 아웃라이어 연구실이 물론 존재하겠지만 언제까지나 집단을 대표하는 평균 관점에서는 이렇게 분류하는게 무방할 것으로 생각됨. 티칭 중심 대학에서도 훌륭한 교수님들은 좋은 연구를 하실 수 있을 것.

2. S & K의 양적 지표 p(10%) 가 압도적임
- SK의 사회에서 높은 평판을 뒷받침 해줌. 특히 K는 PP(10%) 비율도 높기 때문에 절대적인 양도 많고, 좋은 퀄리티 논문의 비율도 많은 것을 알 수 있음.

3. P는 양적지표 p(10%)를 교수 명수로 normalization시 우수성이 부각됨.
- POSTECH: 268편 / 286명 = 0.94편/명 → 교수 1명당 좋은 논문의 양이 가장 많음
- UNIST: 258/408명 = 0.63편/명
- KAIST: 434편 / 703명 = 0.62편/명
*종합대학은 타계열 단과대도 많으므로 계산 x

4. UNIST의 가장 높은 PP(10%) 지표
- UNIST는 편수는 많지 않더라도 논문 한 편을 매우 높은 퀄리티(?)로 작성하고자 목표하는 것을 알 수 있음. 종합대인 YK와 많이 비교되는데 해당 학교들과는 목표와 결을 다르게 하는 대학인 것 같음.

5. SH의 준수한 연구실적
- 종합대 중에서도 SH의 연구실적은 KY와 견줄정도로 상향 평준화 된 것 같음. 사회에서 만나는 SH 출신 박사들의 우수한 실적이 이해가 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10.06

P가 인원 자체가 적긴 하구나

2025.10.07

오 포공이랑 유니랑 교수 수가 이렇게 차이나는줄 처음 알았음

2025.10.07

수학 학계에서 쳐주지도 않는 논문들 정량적으로 왕창 써서 저런 순위 항상 높게 나오는 모 대학이 박스 바로 바깥에 있는 것부터가 신빙성이 ㅋㅋㅋ 그 옆엔 외국인 교수들 왕창 임용 시키고 교수들 쥐어짜서 순위 높게 나오기로 유명한 또 다른 대학이 ㅋㅋ 못 걸러내는 거 보니 재밌네요 물론 저 박스 안의 대학들이야 누가 뭐래도 국내 최우수 대학들이지만요

2025.10.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냥 수능점수 누가 더 높은지로 대학서열화해라. 어휴 ㅋㅋㅋㅋ 저런게 너 밥 먹여주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