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65 - 근거 없는 자신감이라고 하죠.. ㅎㅎ 확실한건 2050년에는 세계 최고수준의 노인대국 돼있을겁니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44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55 - 고민한다면 지금 안친한 겁니다.
교수님이랑 친하면 놀러가도되나요?
18 - 4.42에 상위 6%? 진짜 요즘 애들 수준 얼마나 더 처참하게 만들라고 학점을 저리 퍼주냐
Skp 대학원에서 이 스펙이면 많이 딸릴까요?
9 - 문장 몇줄 안되는거로도 찐따티가 나네 신기 ㄷㄷ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6 - 근데 ㄹㅇ 그 박사님은 나를 모르지만 제가 거의 팬급으로 좋아하는 사람이 내 논문 사이테이션 해서 좋은데 쓴게 기분이 너무너무 좋습니다 ㅎㅎ 그것도 제인생 첫 citation으로요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8 - 1. 학교가 높을수록 SKP 대학원 가가기 쉬워집니다. 지거국 경북대급도 불가능한건 아닙니다만, 과에서 학점 잘 받으셔야 합니다. top급으로요.
그리고 한 3학년부터는 학부연구 인턴도 하시구요. 힘드시겠지만, 벌써부터 분야가 확고하시다면, 학부연구 인턴 1~2년 동안 낮은 저널이라도 SCI 1개는 1저자로 쓴다 생각하시고 도전하면 SKP 가느ㅇ합니다.
2. 학과가 제일 중요하죠. 기계관데 화공과 연구실 컨택하면 그 사유가 명확해야합니다. 학부 4학년때 배우는 기초 수업이 base인데, 그걸 안배우고 온다는건.... 크거든요. 핵융합 연구를 하고 싶으면 그에 맞는 과를 꼭 가세요.
3. 당연하죠. 물론 박사까지 받으면 본인 박사 연구 주제가 제일 중요해지구요, 학부과는 희석되죠. 그런데 석사까지면 학부 과가 여전히 중요합니다.. 오히려 석사가 학부를 덮지 못하죠;
4. 훌륭한 연구자가 되려면 지금 필요한 공부/연구를 집중하고 갈고 닦는 것입니다. 고등학교때는 수능을, 대학교 학부때는 전공 수업과 학점을 말이죠. 그리고 학부 때 연구 인턴을 들어가게 되면, 그 분야에 맞는 논문을 읽고 지식을 쌓는 것이구요.
대학원부터는 이러한 논문 읽고 지식 쌓는 것을 꾸준히 하면서 이제 본인의 연구를 시작해보는 단계입니다. 지도교수의 지도에 따라 본인의 연구를 찾는 기간이죠.
즉, 언제나 불평 없이 주어진 상황에 잘 적응하고 꾸준히 하시면 좋은 연구자가 될 수 있습니다. 편법을 노리지 말고, 남과 비교하지 말구요.
그렇게만 하면 비교적 낮은 대학교에 입학하더라도 이 스텐스를 유지해서 좋은 대학 교수까지도 가능합니다.
조언좀 해주세요
7 - "제가 만든거라 좀 그랬지만 프로그램을 드렸습니다." "그래서 그건 어려울거같다고 했더니".....
거기서 관련 연구를 한다는거 자체가 본인이 연구실 지원을 받고 있다는걸 언제 깨달을까
너가 그 연구실에서 연구 관련 무언가를 하면 다 연구실 소유야 제발. 니가 코드 좀 짰다고 니꺼마냥 굴지말고. 니꺼라고 쳐도 좀 공유하고 그래라 별 같잖은거로 소유욕 탐내지말고.
3.5년이나 있었으면 연구실에 하나라도 도움이 되고 그래라 좀.
아니다 넌 박사 과정 안 가는게 그 연구실에 도움 되는거니 하나는 도와줬네.
석사 졸업생인데 졸업전에 교수님과 사이가 안좋아졌습니다.
10 - 끝까지 가는놈이 이기는거임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25 - 그런 애들 친하게 지내면서 콩고물 받아 먹어야징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0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47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8
SPK가 여전히 SPK인가? (네이처인덱스로 알아보자.)
2023.08.22

네이처인덱스 (물 화 생 지 의학 합산)
1. 서울대 206.58
2. 카이스트 169.98
3. 연세대 115.13
4. 성균관대 100.57
5. 포스텍 100.43
6. 고려대 81.17
7. 유니스트 61.73
8. 한양대 50.35
9. 부산대 28.14
10. 울산대 27.57
11. 중앙대 26.10
12. 경북대 25.11
13. 지스트 23.56
14. 디지스트 21.54
15. 이화여대 21.08
16. 경희대 20.42
17. 아주대 20.23
18. 전남대 20.10
19. 서강대 14.47
20. 카톨릭대 12.71
서울대, 카이스트는 넘사가 맞고, 연세대 성균관대 포스텍은 비슷. 울산대는 주로 의학이 기여한 것으로 보임. 전체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서열과는 많이 다름을 알 수 있음. 예를들면 ssh이라든지. 대학원 선택하는 입장에선 결국 각 대학의 논문실적이 중요하다는 것은 당연한 것임. 항상 나오는 반박에 미리 반박하자면, 네이처인덱스는 기존 물화생지 외에도 최근에 의학을 추가했는데 의학에 딴지를 거는 사람들이 항상 있음. 지학 또한 없는 대학이 많아서 그런곳은 지학점수를 손해봤는데 지학은 비중이 워낙 낮으니 그동안 아무소리 안했는데, 의학은 비중이 꽤 높으니 그런 말이 나오는 것임. 의학이 포함됨으로써 의학이 없는 본인 대학이 순위 손해를 봤나보지. 특정 대학은 의학때문이다 그런 얘기를 왜하는건지 모르겠음. 소규모 대학 (특히 ist나 P 같은 곳)은 특정 과만 집중적으로 키우기에 교수당 실적, 학생당 실적에선 우위를 보지만 과의 종류가 작고 (의학이 없고) 학생수가 적으니 그런 면에선 손해를 보는것임. 대학은 규모도 과의 종류도 교수숫자도 학생숫자도 다 그 대학의 특징이니까 그냥 나온 결과를 있는대로 받아들이면되는데 왜 그런 사족을 붙이는지 모르겠음. 예를 들어, 거기는 의대가 있어서 그런거다, 또는 거기는 규모가 작아서 그런거다 등등. 사족 붙이는건 자격지심있는것 밖에 안됨.
레이든 랭킹 (상위 10% 논문 수)
1. 서울대 1512
2. 연세대 974
3. 성균관대 747
4. 카이스트 739
5. 고려대 710
6. 한양대 566
7. 경희대 466
8. 울산대 411
9. 경북대 372
10. 포스텍 368
11. 유니스트 332
12. 부산대 312
13. 중앙대 272
14. 세종대 261
15. 건국대 260
16. 카톨릭대 258
17. 영남대 245
18. 인하대 241
19. 전북대 241
20. 전남대 239
개인적으로는 레이든이 더 일반적으로 적절한 지표가 아닐까 합니다. 네이처인덱스는 자기들이 선정한 일부의 저널만을 가지고 얘기하는건데, 레이든은 전분야 상위 10% 논문수를 가지고 얘기하니까요. 레이든은 대학을 종합적으로 평가한거고 네이처인덱스는 물화생지의에 대해서만 평가한거니 이공계에 대해선 네이처인덱스가 나은 지표일 수 있구요. 자격지심이 있는 댓글은 안보였으면 하네요 (규모가 어떻니 의학이 어떻니 등등)
저는 단지 결과를 공유할 뿐이고 서열이 어떻다 얘기하진 않겠습니다. 이보다 좋은 지표를 아시는분은 공유를 해주시면 좋구요.
-
22 88 7847
대학 랭킹 김GPT 15 14 12248-
22 29 20434
대학원 학벌랭킹을 알려준다 김GPT 6 11 12226-
23 16 11075
지방대 1등 김GPT 1 55 11817-
51 32 17286
전세계 1등급 (상위 4%) 대학교 김GPT 25 19 20144
대학원 순위 김GPT 12 13 7716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명예의전당 250 39 96603-
154 50 59008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45 39 4634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Skp 대학원에서 이 스펙이면 많이 딸릴까요?
19 - 석사 월급 다들 얼마 받으시나요?
21 - 안녕하세요. 졸업을 앞두고 매우 고민이 많은 상황입니다.
9 - 석사 졸업생인데 졸업전에 교수님과 사이가 안좋아졌습니다.
10 - 현실적으로 어떻게 해야할까요? 정신이 너무 아픕니다.
9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8 - 교수 신고
7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1 - 카이스트 떨어진 후 자대 컨택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1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0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13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21 - Skp 대학원에서 이 스펙이면 많이 딸릴까요?
19 - 석사 월급 다들 얼마 받으시나요?
21 - 안녕하세요. 졸업을 앞두고 매우 고민이 많은 상황입니다.
9 - 석사 졸업생인데 졸업전에 교수님과 사이가 안좋아졌습니다.
10 - 현실적으로 어떻게 해야할까요? 정신이 너무 아픕니다.
9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8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1 - 카이스트 떨어진 후 자대 컨택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1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0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13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1
2023.08.22
대댓글 2개
2023.08.22
대댓글 3개
2023.08.22
대댓글 8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