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님과 안맞는 걸까요?

2025.08.28

5

514

석사 1학기를 보냈지만 여전히 적응이 안되고 막막해서 글 올려봅니다.

저희 지도교수님께서는 구체적인 조언을 주시거나 대략적인 방향을 잡아주시는 스타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매번 랩미팅을 할 때마다 기대하는 부분이 있으시고, 그게 충족되지 않으면 벼락같은 말들이 돌아옵니다.

당연히 당근을 주는 스타일도 아니십니다. 채찍, 채찍, 채찍! 그러다보니 랩미팅은 연구에 대한 지도를 받는 자리라기 보다는 심리적 고문을 당하러 가는 자리, 혹은 교수님께서 스트레스를 푸는 자리처럼 느껴집니다.

채찍만 주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기대가 많지만 기다려 주시지 않는 것도 다 괜찮습니다.
그런데 명료한 피드백이 없는게 정말 힘이 듭니다.

채찍질을 당하며 ‘이 부분을 바꿔야 하는구나’, ‘이게 잘못됐구나’라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그래서 뭘 어떻게 해야하는거지??‘ 이 생각만이 제 머릿속을 지배합니다. 궁금한걸 여쭤봐도 돌아오는 말은 “그건 네가 알아서 해야지”입니다.

랩미팅을 하고 나면 늘 갑갑하고 길을 잃은 기분입니다.
비유를 하자면 지도를 볼 줄 모르는 어린아이가 길을 잃었는데, 동서남북 중 어디로 가야할지 조차도 안알려주시고 ”쓰레기같이 서있기만 하네“라고 하시는 상황이랄까요.

저는 교수님께서 뛰어나시다 생각하고 정말로 존경합니다. 학생 지도에 관심이 없으신것도 아니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런 상황이 당연한건데 제가 연구와 안맞는건지, 제가 교수님과 안맞는건지….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게 최선일까요? 선배님들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8.28

음... 저도 겪는 부분인데 선배 말로는 그냥 버티고 졸업하는 게 답이라고 하더라구여

2025.08.28

그런 교수님은 당신 올챙이 적 생각 못 하는 겁니다.
개구리 눈높이로 올챙이들 실적 뽑아내라고 갈구는
거죠. 걍 석사만 하시고 옮기세요.

IF : 1

2025.08.28

여러 경우가 있어서 답글 남기는 것을 망설이다 적습니다. 극단적인 경우이니, 감안하고 보세요.
만일, 현 랩에서 이탈하는 사람 (중도 퇴학, 박사급 이라면 이른 계약 종료 등등 포함)이 많은 경우면
생각을 좀 많이 하셔야 할 것입니다.

글에서 모든 것을 볼 수는 없지만, 정상적인 랩미팅이라면, 그리고 정상적인 교수자의 지도 시간이라면
학생의 성향에 따라 지도 방식은 차이가 있을 것이지만, "어쩌라는 거냐?"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학생은 당연히 교수보다 갈피를 못 잡는 상태이고, 그 부분을 교수가 이끌어 나가야 합니다.
특히 대학원의 경우는 도제식이기 때문에, 학생의 특성에 맞는 지도를 받는 게 전제가 되어야죠.
정말로 학생이 갈피를 못잡아서 지도 방식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것으로 (본문처럼 교수님과 성향이 맞지 않는다는 그런 부분)
생각되지만, 첫 단락의 경우를 고려해서 생각 해 보세요.
지금 있는 멤버들 말고도 이전에 있었던 사람들 포함해서 사람이 자주 갈리고, 뜨내기(인턴 포함)들이 많이 오가는 랩은 분명 이유가 있습니다.

대댓글 1개

IF : 1

2025.08.28

교수가 지도하는 시늉을 하지만, 실제로 지도를 안 하는 경우는
포닥은 본인이 잘 하던 것도 아웃풋이 안 나오고, (학생들 보다 더 아웃풋이 나와야 하는데, 안 나옴)
손이 무르익은 박사급은 논문 생산이 다른 랩보다 덜 나오고 (나오긴 나옴. 몇 년을 그 지도방식에서 살아남으려고 바둥거렸을 것이므로)
석사급은 견디지 못하고 탈락하는 인력들이 있을 것입니다.

방향성도 정해주지 않고, 기대만 보이며 채찍만 휘두르는 경우는 본인이 지도 할 수 없는 분야를 아는 척 할 뿐입니다.
그러고 나서 학생들이 주워오는 걸로 밖에 나가서 전문가인 양 행세하고 다니겠죠. 그러니 학생들은 제대로 지도 받는 것 없이, 공부 한 지식과 노동력을 착취 당하고도 칭찬이 아닌 윽박만 듣다 미팅이 끝나는 겁니다.
정상적인 교수자라면 같은 상황에서도(본인이 직접 경험해보지 못한 분야 입문) "지도"가 이루어집니다. 직접 연구 해 보지 않은 걸 학생들과 같이 파고 나갈 때도요. 그걸 학생들이 못 느낄리 없습니다.
냉정하게 상황 분석을 해 보세요.

2025.08.29

교수도 몰라서 그러는거야. 통찰이 부족한 교수 있음. 아니면 분야가 다르거나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