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입학예정자이며 인턴 생활 중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보통 연구실의 경우 박사님들이 무슨 연구를 하고 그 밑 석사들과 같이 팀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걸로 알고있는데요 물론, 석사 학위를 받고 졸업하려면 제 개인 주제를 알아서 찾아서 졸업해야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습니다만.. 제가 인턴 중인 랩실은 박사 님들께서 개인의 주제가 있고 팀 안에서도 각자 누가 뭘하고 있는지도 모르고 그 밑 석사에게도 공유를 안해주고 장비나 실험실 기본 사항들도 인수인계를 안해주십니다. 그래서 이런 랩실의 경우, 석사과정만 한다는 과정에서 힘들지 아니면 개인이 노력한다면 그래도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랩실인지 알고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08.03
해외라서 조금 다를 것 같지만, 제 경험 토대로 설명 드리자면..
장비 : 장비명(주로 구석에 써있습니다)유튜브 혹은 구글링하시면 메뉴얼 나옵니다. 랩에서 기록해서 팀즈같은 공용드라이브에 자체 메뉴얼 관리하는지 알아보세요 실험실 안전교육 : 실험실 출입전에 안전관리 규정 있을거에요 학교 홈페이지 구석 구석 찾아보면 나옵니다 무슨 연구 하는지 : 교수님 영문 이름으로 google scholar 검색하시면 교수님이 교신저자로(저자명 논문에서 맨 끝) 나오는게 해당 랩에서 나온 논문입니다. 논문 이해 안될 때 : 논문 맨뒤에 나온 레퍼런스 목록 찾으면 됩니다
김박사넷이나 유튜브에 대학원 신입생 팁 관련한 내용 많이 정리 되어있으니 유용한 툴, 논문 읽는법, 익혀야할 테크닉 등등 많이 알아보세요! 소프트웨어나 코딩은 직접 누가 가르쳐주는 경우 잘 없습니다ㅠ
대댓글 1개
2024.08.03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2024.08.03
인턴이시면 연구실에서 나온 논문들 읽으면 어떤 장비를 썼는지, 실험방법, 관련 키워드는 무엇인지 알 수 있어요
대댓글 1개
2024.08.03
감사합니다. 인턴동안 열심히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2024.08.03
연구하는 본인도 연구 주제나 방향이 지속해서 바뀌기 때문에 다른 랩원이 무엇을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원래 많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8.03
그렇군요.. 알겠습니다!
2024.08.04
본인이 열심히 선배들 뭐했는지 알아보고 관심분야 생기면 선배 맛잇는 식사 하나 대접하면서 도움요청해보세요 저는 그렇게 했습니다 같이 좋은 논문도 쓰고 생각보다 예의있게 먼저 다가오면 기대이상으로 잘 가르쳐 주고 잘 챙겨주는 분들 많습니다
2024.08.04
정말 가고싶으면 모르겠지만 그런 곳은 안가는걸 추천합니다..
2024.08.04
대학원 생활에 대한 개념이 아주 잘 형성되어 있으시네요. 다른 좋은 학교 연구실로 가시기 바랍니다. 잘 될 거예요.
2024.08.04
연구는혼자 하는 거라지만 최소한의 가이드도 없이 처음부터 ㄹㅇ 아무것도 안알려주고 혼자 실험하고 논문까지 써와라, 논문 봐주긴 할게. 하는 랩은 되도록이면 안가는거 추천. 본인 능력이 출중하면 가도 ㄱㅊ
2024.08.04
개인적 경험으로 이야기해보면 한 10년전만해도 선후배끼리 기브앤테이크가 잘된거 같은데 요새는 좀 개인주의 경향이 심해서 그렇지 못한 랩들이 많은거 같네요 후배들은 선배들이 인수인계해주는 것들 너무 당연하게 생각하고 선배들도 자기 시간 소중하니 노하우 안가르쳐주려고하고 보통 요런 문제들을 지도 교수가 잘 컨트롤해야하는데 교수도 그런것들 하려고 하지 않으니 랩실이 계속 정체되는게 아닌가 생각함
대댓글 1개
2024.08.04
교수님이 석사한테 관심을 안가져서 그러신거 같습니다.... 원래 석사는 학회도 못나가게 했다네요..
2024.08.04
분야가 어딘지 모르겠다만 생물, 화학처럼 실험하는 곳이면 런하길 바랍니다. 특히 생물이면 키우는데에 노하우가 굉장히 필요하고 그런걸 못배우면 실험 조건 잡는데만 한 세월입니다. 또한 Molecular work 하는 실험실에선 사소한거로도 문제가 많이 생기는데 선배들과의 트러블슈팅이 없다면 혼자 해결해나가기 쉽지 않습니다.
저희 실험실은 각자가 대강 무슨 주제를 하는지 알고 있고 일을 대충은 알고 있으니 휴가나 사정이 있으면 대신 처리해주기도 하구요. 또한 각자의 주제에 대해 얘기하면서 내 실험에 적용할걸 떠올리기도 하구요. 당연히 후배가 처음 하는 실험이면 시간되는 선배급 중 하나가 무조건 두세번은 같이 붙어서 봐줍니다. 이 정도는 안되도 인수인계 없이 실험하라는건 너무 각박하네요. 런치시는게..
대댓글 1개
2024.08.04
저희는 두세번 같이 안붙어서 봐주시고 딱 한번 알려주시고 알려줬으니까 할 줄 알지? 이런식입니다ㅠㅠ 실험하는거 알려주는 거 동영상 찍었으니까 다 알지 않냐 ㅠ 이런식이셔서...
2024.08.03
대댓글 1개
2024.08.03
2024.08.03
대댓글 1개
2024.08.03
2024.08.03
대댓글 1개
2024.08.03
2024.08.04
2024.08.04
2024.08.04
2024.08.04
2024.08.04
대댓글 1개
2024.08.04
2024.08.04
대댓글 1개
2024.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