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연구하고 있고 괜찮은 논문들이 자주나오는 분야입니다. 그런데 막상 저는 6년차까지 애매한 논문 하나뿐입니다. 좋은 선후배동기들을 만나 좋은 논문들 공저자는 꽤 있습니다. 2-3번째 논문도 1년안엔 나올 것 같지만 탑논문은 아닐 것같습니다. 다 Q1이지만 보고되는 논문들 대비 수준은 낮다보니 이러다 물박사가되는 것은 아닐까싶습니다. 분야 상관없이 공대박사 q1 3편이면 괜찮은건지 아니면 객관적으로 어떤 수준인지 의견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8.03
아마 탑급은 아니겠지만 그럭저럭 나쁘지 않은 실적이 될 것 같습니다.
2025.08.03
자기 수준도 모르는걸 물박사라고 함
2025.08.04
반도체 메로리 교수입니다. 학계로 갈거면 실적은 많이 부족한 수준입니다. Q1 얘기하시는거 보면 탑티어 논문은 아닐것 같은데, 그런 상황이면 논문의 질은 정량적으로 구별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 이야기 하자면, 글쓴 분의 분야가 산업의 핵심 연구를 다루는데 학계의 관심이 적은 경우에는 좋은 성과일 수 있지만, 반대로 산업의 관심이 적은 분야에서 얻은 실적이면 나쁜 성과겠지요. 박사란 자고로 이런 부분에 대한 판단은 스스로 할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편협한 연구를 했다면 지금이라도 업계의 흐름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를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5.08.04
우문현답 논문은 잘 안나오나 산업계에서 좋아하는 방법론이 탄탄하다면 ok
교수가 되려면 논문이 일단 받쳐줘야하는것도 맞음
둘중 하나라도 성취 못했으면 물박사
2025.08.04
좋은 선후배동기들을 만나 좋은 논문들 공저자는 꽤 있습니다. > 인성이 됐네. 6년 헛되지 않았다. 비꼬는거 아니고 정말 인성이 중요.
2025.08.04
네이처나 그 자매지, 사이언스 급이면 개추드립니다.
2025.08.04
응원합니다. 졸업후 포닥을 잘 잡아보세요
2025.08.04
일단 물박은 아닌듯. 물박은 교수가 이상하다, 내 주변이 다 등신같다 이딴 소리만해요
2025.08.04
논문만 1개일 뿐, 열심히 실험하시고 과제하신거 같은데, 아마 결과는 많으실 겁니다. 아직 논문 쓰는 방법을 못 깨우쳐서 그렇지 이게 한번 두가 딱 트이면 속도가 엄청 붙습니다. 포닥까지 열심히 하시면(해외 포닥 진출 예정이시라면), 아마 포닥 2~3년 내에 박사과정때 결과2~3개+포닥 결과1~2개해서 4~5개씩 나올겁니다. 그러다보면 탑티어 저널 쓰는 법도 좀 깨우치게 될거고, 조금 더 힘내셔서 임용 노려보시면 됩니다! 오히려 뒤에 한번에 나오는게 실적상 유리한게 많습니다 ㅎㅎ
2025.08.03
2025.08.03
2025.08.04
대댓글 1개
2025.08.04
2025.08.04
2025.08.04
2025.08.04
2025.08.04
2025.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