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컨셉인가? 니들이 뽑지 말든가. 정출연이 뭐라고 분야맞고 실적 좋음 뽑는거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41
- 그쪽 조직에 지방대 박사 들어왔다고 생각해봐 안짜증나는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40
- 님이 실적 더 쌓아서 교수 이런 쪽으로 빠지셨어야죠. 님이 고만고만하니까 같은 조직에서 일하는 거죠.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52
- 너 같은 애도 뽑은거 보면….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54
- 근데 내가 포공 출신이라 좀 긁혀서 이거 좀 알아봄. 물론 요즘 포공이 좀 얘기도 많고 위기다 위기다 하는 거 인정하고
서울대 카이스트가 많이 잘하고 있는 것도 인정함. 우리도 좀 위기 극복하고 세계 대학순위도 높히는게 필요해보임.
근데 내가 이거 기자랑 통화해서 1인당 논문 개재 건수 레퍼 알려달라 했는데, 이거 논조가 진짜 악질임.
대학알리미에서 공시자료 찾아보면 수치 확인할 수 있는데, 저 기자가 쓴 1인당 논문 개재건수는 "국내논문" 기준임. 이게 진짜 개 악질임.
어느 탑스쿨에서 국내논문 개제로 순위 매김? 이거 수치는 거의 랜덤 샘플링 해도 비슷할텐데. 그냥 기자가 아무거나 포스텍이 꼴찌하는거 가져온거라고 밖에는...
그래서 1인당 국제 논문 개재 / 1인당 sci급 논문 개재를 확인해봄. 해당 지표를 보면
포스텍: 1.09, 1.08
카이스트:1.08, 1.07
서울대: 1.02 / 0.95
이 순서임. 결과적으로 포스텍은 1인당으로는 아직 잘하고 있음. 앞으로 어떻게 되느냐가 문제지만, 그건 학교에 남은 분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린거고. 어쨌든 기자는 지금 자기 입맛에 맞게 수치를 가지고 장난치고 있음.
내가 이걸로 기자님한테 수정이 필요하다고 전화 넣었는데, 그래서 수정된게 아래임ㅋㅋㅋㅋㅋㅋ 아무튼 각자의 생각을 존중함.
"이처럼 우수한 학생들이 포스텍을 외면하면서 연구 품질도 떨어지고 있다. 포스텍의 지난해 국제 기준 논문 실적은 310.45편으로 KAIST(723.55편)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국내 기준 교원 1인당 논문 실적을 봐도 0.0689편으로 KAIST의 0.0886편에 비하면 한참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포스텍보다 뒤에 문을 연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도 각각 0.1077편과 0.0872편, 0.0977편임을 고려하면 국내 과학기술특성화대 중 최하위라는 의미다."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0
심심해서 써보는 ㄱㅅ 장점
2023.03.24
11
23937

랩비가 그냥 기본이었던 시절을 잠깐 겪었는데, 없애라고 과에서 지시 내려오니 바로 칼같이 없앴음
대빵 형님이 연구과제 늘었으니 인건비 10만원씩이라도 올려달라 하면 꽤 잘 먹혔음(석/박에만 차등 있는 정액제였음). 물론 내려갈 땐 시원하게 내려가서 힘들때도 있었음
옆방은 분석하나 맡기려면 PI 설득하는게 일이었는데 우리는 납득 가능하면 쿨하게 넘어감
근데 여느 ㄱㅅ들처럼 사비는 1도 안쓰고 다니긴 했음
2. 저자 문제 칼같음
일단 연구실 내 공1저자는 아예 불허. 다른 누군가 하겠지 하는 모럴 해저드를 방지하기 위함이라는 방치였는데, 반대로 좀더 열심히 해서 공1을 먹을만한 상황에서 '에라이 해봤자 최대 2저자인데 거기까지 도와주긴 과하지 않나' 하며 눕는 해저드는 과연 없을까 싶긴 함.
외부랑 코웍할때가 사실 좀 편했는데 저자 문제는 좀 정해놓고 가는 편이었음. 저자 정리에 학생보다 더 관심있었음. 논문 섭밋 전엔 1저자 교신 말고 외부기관 공저자들도 하나하나 짚으면서 얘의 기여가 뭐냐고 상대 교신한테 물어볼 정도였으니...
여기까지 최근 게시물 보다 생각난 장점이었고
3. 그 외 전부는...ㅎㅎ............
개인 일: 경조사 무료봉사는 기본이고(당사자보다 먼저 가서 나중에 퇴근했다지) 가족(ㄱㅅ 본인 아님) 사교모임에 들러리로 동원까지 돼봤음. 진짜 말을 마
회식 추태에 학생한테는 그렇게 갑질하면서 과 사무실 공식 인증 호구라(과 직원들끼리 ㄱㅅ를 호구라고 불렀음) 온갖 과 잡일 알아서 다 물어다가 우리한테 뿌리고
보고서 제안서 쓰는게 우리는 잡일의 끝이 아니었다지
일단 랩미팅이 토요일이었고 그래서 지인 결혼식을 많이 못갔음. 뭐 별 수 없었고 이거 자체는 그렇다 치더라도 심지어 사촌 결혼식가느라 토요일 랩미팅 빠져야 한다니까 사촌 결혼식에 왜 가냐고 성질냄(네?)
걍 일하기 싫어서 써봤으니 저런저런 하고 넘어가줘
그럼 거기 왜갔냐. 아무리 그래도 이렇게까지 알긴 힘들더라
뭐 그땐 이런 플랫폼이 없기도 했고
예를 들어 내가 경험하기 전까진 선배들이 동원될 경조사나 사교모임같은 일이 아예 없었어 이럼 아무도 알 수가 없지
그니까 예비 원생 입장에선 너무 랩에 대해 완벽하게 알고 가려고 하지는 마시길. 실패할 가능성을 낮추고 싶은 마음은 알겠지만 애초에 완벽하게 알 수가 없는거고 그냥 진짜 이상한걸 할 수 있는 데까지는 걸러본다는 식으로 접근했으면 해
참고로 퇴직했으니 걱정하진말고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183
37
47433
-
79
63
92144
김GPT
연구실 사람들 원래 이정도인가요17
24
7796
김GPT
심심해서 써보는 개발과 현장의 차이8
12
3068
김GPT
실험실 생활0
1
1119
-
42
15
8752
김GPT
자유로운 연구실1
17
7621
김GPT
대학원 생활 너무 좋다13
7
3872
김GPT
싱가폴 국립연구소6
8
3358
명예의전당
나의 선생님 (자랑 포함..)116
18
13225
명예의전당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93
19
37833
명예의전당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183
37
4743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 김박사넷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new!)
773
-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활동하는 분중에 성추행문제 있는 분이 있네요.
20
-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1
- 서울대나 카이스트 AI 대학원 갈 수 있을까요?
20
-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3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3.25
대댓글 3개
2023.03.26
2023.03.26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