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2025.08.02

26

25602

대학원 다니며 관찰한 폐급 특징임.
반박시 니말이 맞음.

1. 코스웍을 필요이상으로 열심히 임한다.
2. 국책 연구과제 토픽과 본인 연구 주제를 동일시 한다.
3. A라는 주제에 흥미가 생겨 파보다가 실험이 잘 안 되면 쉽사리 포기 후 다른 주제로 전환한다.
4. 모든 논문을 겉핡기 식으로 읽는다. 디테일 생략.
5. 기존 논문의 강점 및 기여는 외면하며 까내리기 바쁘다.
6. 논문 써본 경험이 없는 상황에서 임팩트 높은 논문 작성만 추구한다.
7. 서베이-가설수립-실험수행의 과학연구 프로토콜을 생략하고 무근본으로 실험부터 시작한다.
8. 충분한 서베이 없이 연구를 속행하다가 동일/유사한 아이디어를 가진 논문을 뒤늦게 발견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한다.
9. 항상 손보다 입이 앞선다.
10. 쉽게 논문 쓰는 방법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한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5.08.02

감사합니다

2025.08.02

국책과제를 절대 맡겨서는 안됨...

2025.08.03

폐급이라서 ㅈㅅ

2025.08.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부분 공감하며 특히 2,3,4,6,7,8. 지거국 교수로서 학생 1/3은 폐급으로 느껴짐. 도피성 진학자가 절반을 넘어섬.

대댓글 3개

2025.08.03

교수님께서 신고를 많이 당하셨네요...

2025.08.03

교수님 혹시 코스웍 열심히 하면 욕먹나요..?
연구하기 전에, 그리고 연구하면서 주제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데 그래도 조금 열심히 해야하지 않을까요
아직 학부생인데 대학원은 완전히 다르네요..

2025.08.03

저희 교수님은 코스웍도 열심히 수강하라고 하십니다.
당연히 과제와 연구가 우선이지만요.
솔직히 하다 보면 둘 다 잘할 수 있어요. 갈려나갈 뿐이지...

2025.08.03

교수님 죄송합니다
무식한 초짜라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가르침 받으려고 진학했습니다

대댓글 3개

2025.08.03

대학원은 배우는 곳이 아니라 스스로 깨우치는 곳임

2025.08.03

배워서 깨우치라고 교수가 있는 거 아님? ㅋㅋㅋ 깨우치기만 하는 곳이면 교수는 왜 있음? 애들 실적 빨아먹으려고?

2025.08.03

스스로 깨우치려면 진짜 왜 감? ㅋㅋㅋㅋ 그럼 교수가 필요없지 않음? 연구실은 왜있고?ㅋㅋㅋ

2025.08.03

몇개는 인정하는데 몇개는 랩바랩일듯

2025.08.03

11. 본인이 정해놓은 기준에 안맞으면 그 사람은 폐급이라생각하고 커뮤니티에 그 기준들을 올려서 공감받고 싶어한다

2025.08.03

교수가 저러면 어떡하죠 시부럴

2025.08.03

디테일 챙기며 논문 읽는다는 뜻이 정확히 어떤 건지 궁금... 어떤 식으로 논문을 읽어야 하나요?

2025.08.03

폐급까지는 아니고 그냥 멍청한 정도임..

2025.08.03

케바케. 인생에 정답은 없고 스타일도 사람마다 다릅니다.

전 현직교수이고 대학원 생활도 나름 잘했습니다만 저기서 7-8개쯤 해당되는 것 같네요

2025.08.03

코스웍은 연구에 도움되는 거면 모르겠는데 거의 학부 교양수준 수업을 4.5 맞겠다고 염병하는 꼴 보면 왜 저러지 싶음.
3. A라는 주제에 흥미가 생겨 파보다가 실험이 잘 안 되면 쉽사리 포기 후 다른 주제로 전환한다. 근데 이건 경우에 따라 빠르게 포기하는게 나을수 도 있어서 모르겠네

2025.08.03

연구는 관심없고 적당히 어떻게 학위만 받아서 학벌세탁하고 나가고 싶은 인간이 대부분인듯. 이래서 진짜 연구하려면 미국 가야돼

2025.08.04

커뮤니티 남욕 절대법칙
속으로 생각한다 -> 정상
겉으로 표현한다 -> 비정상

여기에 공감할거를 생각해서 올린거라면 걍 닉값수준.
불편하면 자세를 고쳐앉고 앞으로 할 일에 집중합시다.

2025.08.04

나 포닥인데 하나도공감 안됨
코스웍도 이해못하는데 무슨 논문이야
늙어서 취집한다고 감투쓰러 타과전공이 진학했으면서
기초 전공도 모르면서 논문쓴다고 깝치는데?
폐급은 이정도야

2025.08.05

현직 교수로써 4번은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요 논문들은 자세히 디테일을 알아야 하나,
대부분의 논문들은 빠르게 훑고 넘어가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내 분야에서 무수히 쏟아지는 논문의 흐름을 파악하고 놓치지 않을 수 있지요.

2025.08.05

정상적인말 몇개 껴놓고 본인 약점 합리화하려는 꼬라지 ㅋㅋ
일단 작성자 학점 낮은건 딱봐도 알듯 ㅇㅇ

2025.08.06

1. 코스웍 중요합니다.
2. 무근본 실험이 인사이트 얻을 때 도움이 되곤 합니다. 더군다나 비슷한 접근이 최근에 논문으로 나왔다면 그건 연구를 잘하는 사람입니다.
3. 논문 써봤으면 알겠지만 모든 파트에 힘 꽉 줘서 쓰진 않습니다. 스킴하며 핵심적인 부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단계적으로 임팩트 높은 저널/학회 가는 것보다 오히려 첫삽에 뒷걸음치다가 임팩트 높은 곳에 써보는 것이 개인적으로 더 좋다고 봅니다. 리버털하며 빠르게 성장 가능합니다.

저런거 다 떠나서 연구 좋아하고 수행능력만 좋으면 된다고 봅니다. 연구에 정도가 있던가요

2025.08.07

겉핡기부터 본인 폐..읍읍

2025.08.08

그래도 뭘 하긴 한다는 점에서 폐급은 아닌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