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5.22

59

9357

만약, 1년짜리 연구 프로젝트 주면
누가 더 좋은 결과를 낼까요?
여기서 연구 주제는 학부 전공 베이스인데, 본인이 한 번도 해본적 없는 분야.
연구 목표는 산자부 과제 수준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9개

2025.05.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참고로 지거국 아니고 지방 사립대, 박사학위 취득자 기준입니더

대댓글 1개

2025.06.05

지방대 박사는 설 유치원 보다 못합니다

2025.05.22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대댓글 1개

2025.05.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가 지방대 학연생이라 무지몽매해서요…
순수한 궁금증의 발로라고 생각하십쇼 ㅠㅠ

2025.05.22

지방대 박사는 고스톱으로 따나요?

대댓글 2개

2025.05.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방대에서 인생 쓴맛 다느낀 노력파 vs 재능을 타고난 영재과의 대결이라고 생각하시나요?

2025.05.28

지방대는 서울초등 보다 못한 시대에 살고 잇음
졸린 버트런드 러셀*

2025.05.22

디씨출신?

대댓글 1개

2025.05.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디씨 출신들은 무조건 노무현 짤 쓰던데…
그 커뮤는 저랑 안 맞습니다

2025.05.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무리 그래도 박사가 조스로 보이나..

대댓글 1개

2025.05.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럼 궁금한게 있는데, 저는 지잡대 학연생인데, 열심히 정진하면 조스로 안 보이겠죠?

2025.05.22

spk 박사랑 mit 비교한 사람인가보네 불쌍해라참

대댓글 2개

2025.05.22

저도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거기서 비슷하게 질타를 받은거 같은데 아직도 같은 질문을 하시는거 보면 많이 미래 불안하신가 봅니다. 그땐 타인의 말들이 참 수용이 안되죠...

2025.05.23

다음 시리즈엔 수능 1등급 고3하고 지방대 학사 예상합니다.

2025.05.22

이건 마치... 키 160 몸무게 55인 경력 10년 골프선수와 키 180 몸무게 90인 스무살 체대 학생중에 누가 더 골프 잘할까 묻는 것 같네요. 당연히 타고난 천재가 더 똑똑하고 특정 업무에서 더 잘할수도 있지만 생각보다 연구라는 건 영재성 하나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아무리 신체 조건이 좋아도 골프 한번도 안 쳐 본 사람이 공 맞추기도 힘든 것처럼, 연구가 어떤 목적과 절차로 이루어지는지 체감하지 못하면 잘할거라고 생각되지 않네요. 이건 연구 주제가 둘 모두에게 처음 수행하는 거라 해도 뭐가 변할거 같진 않네요. 밸런스를 맞추려면 spk 석졸과 지방대 박졸정도로 해야할거 같은데 여기서 말하는 지방대가 어디인지 제가 잘 몰라서... 아마 지거국 박졸이면 지거국 쪽이 더 잘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개인차도 워낙 클수 있다 보니...

2025.05.22

질문 수준 처참하네요..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방대 생이라
능지가
처참해서 그래요 ㅠㅠ ㅈㅎ송하비낟.

2025.05.22

당연히 spk 학부생이 더 잘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PK가 확실히 나라를 이끌어 나가는 것은 사실이쥬

2025.05.22

진짜 웃기네. 글쓴이는 저 두부류에 미치지 못할꺼니까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기요! 뼈가 아픕니다. 좀 살살 해주십쇼 ㅠ

2025.05.22

무슨 초등학생들이 디지몬이 쎄냐 포켓몬이 쎄냐 비교하는거같음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후.. 그건 좀 비유가 아닌 것 같네요 ㅎㅎ

2025.05.22

이렇게 쓸데없이 사소한 비교에 목메는 사람치고 정작 중요한 학문적 궁금증이 풍부한사람은 못봄.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 뼈 너무 아픈데요...
이거 너무 쎄잖아요!

2025.05.22

내가 별별 글도 그냥 참고 넘어가는데 이건 좀 긁히네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다른 분들은 저를 긁는데, 오히려 긁히셨다니.
죄송합니다.

2025.05.22

spk 학부생이 시간만주면 더 좋은 성과낼 확률 높음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PK 합격생이 20년 동안 하루 평균 10시간 공부했고,
지방대 박사가 30년 동안 후루 평균 1시간 공부했다고 치면
200 vs 30
개인의 능력 제외하고 단순 인풋만 봐도 SPK가 이겼네요

2025.05.23

아이디어 차원인건 SKY 학부생이 더 획기적인걸로 output 할 수 있다고 봅니다만, 보고서, PPT, 논문 작성 등은 박사가 잘하지 싶네요.
순수 아무 도움/조언 없이 혼자 스스로 다 한다면요;
아직 학부생인거 같은데 아직 인생 얼마 안살아보셔서 수능 잘치고 SKY간 사람이 만능처럼 보이나 본데, 그 사람들의 노력을 폄하하는건 절대 아니고 인정하지만, 연구랑 수능은 다릅니다...
그리고 내가 볼 때 글쓴이는 훗날 박사과정하다 포기하거나 빌런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보임; 생각 수준하고 정신연령이 딱 사춘기 온 중2~3정도네요;

대댓글 2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 지방대인데 나름 자대 학부연구생 중에는 에이스라고 자부합니다.
박사가 그렇게 힘드려나요 ㅠㅠ

2025.05.26

박사받고 박사 대접을 받으면서 취업하는 경우, 학부때처럼 출신학교를 보는게 아니라 실적을 봄. 출신학교는 실적이 비슷할 때 따지는 2순위 옵션같은 개념입니다.
즉, 박사과정 학생 때 노력해야하는건 학위취득 자체가 아니라 논문을 쓰는거구요. 이공계같아서 말하는데 SCI를 얼마나 쓰고, 박사받고도 포닥 기간에 얼마나 SCI를 쓰냐가 제일 중요합니다.
박사따는게 힘드냐는 질문의 답은 본인이 하기 나름이라는겁니다. 지방대로 갈수록 아마 최소한의 졸업조건도 낮을꺼고, 아마 심사도 덜 빡셀꺼고 하니 학위 자체는 받기 쉬운데, 통계적으로 지방대 출신 박사의 실력(실적)이 현저히 낮으니 좋은 곳을 못가고 취급도 낮게 받습니다.

그냥 박사 타이틀만 가지고 그저그런 석사급으로 갈 수 있는 직장에 들어가는것이 목표라면(=박사 타이틀만 받는게 목표) 그냥 지방대에서 박사 받으면 크게 힘들지 않을꺼고, 실제로 지방대 대학원은 대부분 타이틀만 받기위해 직장다니면서 오는 파트타임 박사가 대부분입니다. 학계 사람들은 파트타임 박사를 풀타임 박사과 동급으로 취급해주지 않고요.
지금 그쪽이 지방대이든 학부연구생 에이스든 아무런 관심도 상관도 없고요, 고학력 SPK 사람들에게 무시받는게 싫거나 동등해지고 싶으면 학점 높혀서 최대한 좋은 대학원가고 박사가서 논문만 많이 쓰면 됩니다. 실적만 좋으면 MIT 박사 할아버지가 와도 대우해줍니다. 학계에서는 논문이 그 사람의 모든것을 말합니다.

2025.05.23

Spk를 능지로 간 애들은 같은 커리큘럼주고 3개월이면 지방대 박사수준 잡들이 할 수 있음 깝치지 마셈 학창시절에 기하29번 머리속에서 돌리면서 암산으로 푸는애들 못봄?
진심 성장기 고릴라랑 헬창이랑 맞짱뜨면 누가 이기냐같은 ㅂㅅ같은 질문을 하고있네

대댓글 2개

2025.05.23

아웃라이어는 니넨 해당안되니깐 연구머리랑 공부 머리랑 다르다는 개소리좀 하지마라 ㅋㅋ 똑같이 주어진 고등학교 3년동안 놀았든 공부를 햇든 얼마나 능지가 좋은지 얼마나 시간을 효율적으로 썻는지 이런 역량이 학부로 직결되는건데 연구뿐만 아니라 어떤 분야든 누가 더 잘하겟냐? 공부는 안했는데 대학교와서 천재성이 어쩌고 하는 말은 제발 ㄴㄴ 그런 특수케이스는 반박하는 너넨 해당안되니깐

2025.05.23

ㅋㅋ 님말도 많이 공감하는데 3개월은 짧음. 프로젝트가 괜히 최소 연단위겠나. 3개월 커리큘럼으로 실험/결과/보고서작성/논문작성까지 씨바 그게 가능하면 한국에 SKP출신이 몇명인데 미국 압살하지
SKP가 대학원 들어와서 석사나 통합 신입 1~2년만에 지방 박사 고년차 따라잡는건 충분히 일어나는 상황이라 보는데, 당장 학부 3학년한테 프로젝트 맡기면 뭘 할줄암? ㅋㅋ
나름 논문이나 보고서 자기 틀대로 깔끔하게 쓰긴하겠지만 논문 투고 불가능 수준임. 왜냐 아예 경험을 안해보고 안배웠으니까;
근데 지방 박사라도 누워있다 학위를 주는게 아님. Q2, Q3급 수준의 논문급은 쓰겠지. 고딩 3년 시간 효율적으로 관리한것도 중요하지만 박사과정 5~6년은 조스가 아님.

2025.05.23

SPK는 학부 3학년중에 탑티어 1저자 논문 내는 아웃라이어들도 있음
지방대 박사 중에도 능력이 천지차이인데 이딴 비교 아무 의미 없다.
그냥 그 둘 중 더 잘하는 사람이 더 잘함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각 집단의 평균으로는요?

2025.05.23

문제가 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음.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 매우 어려운 문제면, 지능지수의 한계도 있으니 지방대 박사는 버로우 타긴 하겠네요

2025.05.23

SPK 학부생 ㄹㅇ 별거없음 심지어 SPK 학석박 풀코스로 탄 박사들이 100% 실적이랑 능력이 압도적인것도 아님

2025.05.24

지방대 박사는 인생 막장 중 막장인데 비교가 되나요? 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방대 학사보다는 낫겟죠 ㅎㅎㅎ

2025.05.24

얼마전에 셀트리온 연구원 중 한분이 취업강연 왔는데 그분 왈 학부수준은 하버드나 서울대나 지방대나 본인눈엔 다 똑같다 하셨음. 그 분은 서울대 나오심

대댓글 3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오... 아주 귀중한 경험 공유 감사드립니다.
학계의 첨병들의 강연 저도 듣고 싶은데, 저는 지잡대생이라 ㅠㅠ

2025.05.25

시야가 좁으니 셀트리온에 있구나
끄덕끄덕

2025.05.28

라기엔 피펫도 못잡는게 지방대 석사임.
카톨릭대 같은 데는 물론 경희대도 석사 2년차에 실험 제대로 배움.
근데 서카포는 영과고면 빠를경우 1학년때 잡음.
이론도 마찬가지

2025.05.24

이런 머저리 글은 삭제 못하나? 두뇌가 저렴한 사람이 작성한 글은 삭제가 가능했으면 좋겠다.

대댓글 1개

2025.05.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죄송합니다. 지잡대라서 죄송합닏.

2025.05.25

그냥 지방대 혐오 글 같은데. 작성자 본인 지방대도 아닌 것 같고. 먹이 주고 사람들이 반응 해주니까 도파민 나와서 좋아서 히득거리는 것 같은데

대댓글 2개

2025.05.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방 사립대 입니다. 인증 가능합니다 ㅎㅎ

2025.05.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혐오라니 너무 하시네요…
제가 언제 혐오를 했습니까?
혐오의 정의는 아십니까?

2025.05.27

수준이 너무 한심해서 한마디 남깁니다.
학벌은 단순히 그사람이 그시기에 얼마나 성실히
살았나는 것을 보여주는 단편입니다.

20대 후반, 30대 심지어 40대에도 포텐이 터져서 엄청난 업적을 달성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신입 직원 면접에 학벌보다는 연구에 대한 간절함을 가진 직원들이 후에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더군요.
학벌에 기대지말고 스스로 증명하세요. 가진게 학벌 뿐인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한마디 남겨봅니다.

-지나가는 40대 후반 정출연 보직자-

대댓글 1개

2025.05.29

확률적으로 생각해야죠
포텐이 누가 더 빨리 더 많이 터질까요?

조직과 기관은 보육원이 아닙니다

2025.05.27

엄마한테 물어봐

2025.05.28

박사가 어떤 과정으로 학위가 수여되는지 무지한 사람의글임.박사 심사를 학교에서 하는줄 알고 있는 병신글임

2025.05.28

지방대vs서울 초등학교 어디가세냐

2025.05.28

지방대 석사 VS SPK 학부 고학년은 후자가 압도적이긴 함 경험담.

2025.05.30

다 걸고 후자. 애초에 절대적 지능차이가 나서 극복이 안돼요.

2025.06.06

해외 지방국립대 인문사회과학계열 박사과정 학생으로서 살~짝 자존심에 금이가네요 ㅋㅋㅋ
저도 한때는 저런인식 같은거 신겅쓰였는데 본인의 연구에 대한 확신과 전망이 보인다면 내면적인 자신감이 생기더라거요 ㅋㅋㅋ
지방이던 수도권이던...ㅎ
힘내세요 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