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재혁신특별법 시행은 현 교수님들 탓도 있는 거 같음

2024.07.22

6

1313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가진 석박사들이 잘 안나와서 산업계에서 도움이 안되니 그냥 국가가 산업체한테 니네 필요한 인력 직접 양성하라고 권리를 준 느낌.
솔직히 많은 교수님들이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분야와 동떨어진 연구를 하고 계심.
물론 그런 순수과학 추구도 중요하지만, 어느정도 산업계와 어우러져 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은데
석박사들 새로들어오면 처음부터 다시 가르쳐야됨. 기업이 하는 거에 맞춰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07.22

이게맞다

2024.07.22

이게 맞는게 아니라, 삼성에서 반도체를 연구한다 그러면 몇천억짜리 장비로하는데 이게 교수가 할 수 있는 규모로 보임...?
TRL 1-4단계는 연구실에서 하는게 유리하고 TRL 4-7 정도까지가 정부출연연구소에서 한다면 TRL 6-10은 기업에서 밖에 못하는 규모를 가지고 있음.

대댓글 1개

2024.07.22

나라가 완숙기에 접어드니까 잘하는 분야로 특화하는거지. 애초에 산업체에서 필요한 역량을 기를 수 있을 정도의 연구비가 학계로 가지를 않음.

2024.07.22

특히 한국은 더 그럴수 있겠네

난 미국에서 일하는 중인데 박사급 연구원 대다수가 본인 전공분야와 다른 걸로 커리어 시작하는 경우가 태반.

기초가 탄탄하고 배움의 의지가 강한 이들은 처음 6개월에서 1년간은 헤매다가도 결국 큰성과를 내더라구.

재밌는게 우리 회사 한국R&D지사의 경우 문화가 좀 달라서 전공적합성도 꽤 보고 기다려주는거 좀 적음.

대댓글 1개

2024.07.22

이게 맞지.
해외 대학들은 우리보다 더 기초에 집중하는데 거긴 원래 대학은 그런 거라고 생각하고 회사 연구는 다시 시작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함.
오히려 학교에서 기초를 탄탄히 한 이후에 어떤 프로젝트가 맡겨져도 배워서 뚤어갈 수 있는 능력있는 인재를 원하는 느낌.
우리 나라는 기초를 탄탄히 하고 능력이고 자시고 간에 즉시 회사 프로젝트에 어떻게 써먹을 수 있느냐에 집중하고, 그럴 사람 없다고 학교에 불평함. 삼성 등 몇명은 그래도 기초와 능력을 어느 정도 보는데 그 아래는 죄다 바로 그 기술을 써먹으려고 하니 시간 지나서 그 기술 메리트 없어지면 기술 위주로 뽑았으니 기초와 능력이 부족할테고 그럼 적응 못하니 자를 생각 함.
반도체 뜬다고 반도체 학과 왕창 만드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음.
반도체 학과 없어서 반도체 못 만들었나.. 물리 화학 화공 전자 재료 과 출신들이 잘 만들어 왔음.
오히려 기초가 부족하면 그걸 취직 이후 회사에서 채워주기가 더 힘들지..

2024.07.22

이젠 이런것마저 교수탓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