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미국 대학에서 유학중인 3학년 올라가는 학생입니다. 컴퓨터공학, 뇌공학 쪽 전공중이고 저희 학교에서 학/석사 통합 프로그램 후 미국에서 박사 진학 고려중입니다. 석사 취득 후 군대를 군사과학기술병 (연구 쪽)이나 개발병 쪽으로 되도록 가려고 하는데, 박사 지원 때문에 고민이 많아서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1. 미국에서 학/석사과정 끝나고 군대 후 미국 박사과정 진학이 현실적으로 얼마나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 만약 그렇게 한다면 박사과정 합격 후 바로 leave of absence를 신청해서 군대에 가는거와 군대 끝내고 박사과정 지원 중 어떤 게 더 나을까요? 첨언하자면 지원하려는 박사과정 프로그램 대부분이 바로 연구에 투입되는 대신 로테이션이 있고, 후자의 경우 추천서 받으려는 교수님들은 어느 정도 친분이 있거나 랩 인턴 계속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3-1. 만약 전자라면 추천서를 구하거나 지원할때 leave of absence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말씀드려야 할 것 같은데, 이 경우 합격 가능성에 큰 영향이 있을까요? 3-2. 만약 후자라면 혹시 안좋은 점이나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을까요?
아직 뭣도 모르는 학부생이라서 잘 모르고 하는 소리일 수도 있지만, 조언해주시면 정말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07.15
석사취득후에왜감 학부졸업하고 바로 빨리 가세여. 석사 취득후에 군대가면 진짜 흐름(연구, 마인드, 습득지식) 포멧되고 다 끊깁니다. 가기싫겠지만, 지금.안가고 나중에 간다 생각해보세여. 그때되서 한국귀국해서 박사가려하면 엄청 후회되고 저의 댓글이.기억날거임. 같은 대학교졸업하고 해외대학원 졸업자 경험자로서 댓글담.
대댓글 3개
2024.07.15
그리고 석사연구 박사연구 연결, 연구주제및트렌드변화.. 무조건 군대 학부 졸업하고 바로가세여
2024.07.15
트렌드 변화나 연구 연결 생각했을 때 군사과학기술병이 그나마 단절을 최소화할수 있을거같아서 좋아보였는데 그걸로 가려면 석사학위 거의 필수라고 해서 그렇게 생각했습니다ㅜㅜ 학부 졸업후를 추천하시나요?
2024.07.15
연구자 박사가 목표이지 군사과학기술병이 주된 목표가아니죠... 물론 일반 군대보다는 단절이 적겠지만 제일 단절적은거는 군대갔다오고 바로 연결해서 석박사 하는거죠... 미국에서 석사까지하고 군대하러 한국에ㅜ와서 2년 시간보내고 준비하고 다시 미국에 박사하러간다? 전 진짜 비추요...교수도 바낄수도있고 그러다가 석사학교 아닌 다른 박사 학교가면 연구실 랩 연구 주제 다 바뀝니다. 그러면 석사논문에서 박사논문쓰기에 최소1.5배 2배이상 힘들어져요 저도 진짜 군대 조만간 가고싶지않은 마음아는데, 저도 같은 해외 대학원 출신으로서.. 팩폭으로ㅜ댓글 다네요.. 상상해보세요. 미국석사까지 졸업하고 군대가려고 한국와서 2~3년 보내다가 미국에 다시 박사하러 가는 심정(미국에서 학부하는중이면알거임 얼마나 해외생활이 힘들고 한국이 그러지워지는지)+ 지식 포맷또는 바뀐연구주제.. 즉 모래성 이미 파도에 다 사라지고 모래성 흔적만 남은 거기에 새로운 연구라는 모래성 쌓아올려야함
2024.07.15
한국 남자의 비애ㅠㅠ
대댓글 1개
2024.07.15
ㅜㅜ 어쩔수 없죠..
2024.07.15
유학을 계속 하시려면 석사보단 학부 때 가는 게 제일 간단하고 빠를 거고 (1.5년 vs 대체복무 3년) 실제로 주변에서는 학부 때 갔다오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박사까지 연속으로 하고 싶으시면 대신 한국에서 포닥으로 전문연 할 수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저도 미국에서 학부 나왔는데 한 한국인 형은 현재 미필로 박사 중이고 마무리하고 나면 같은 연구실 출신 교수님 랩에서 포닥할 예정이라 들었습니다.
석사를 하고 싶으시다면 스타트업 등에서 하는 전문연도 있는데 직장생활도 할겸 돈도 어느정도 받으면서 할 수 있고 제가 군대는 잘 몰라서 개발병이나 기술병에 대한 건 잘 모르겠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7.15
너무 감사합니다!! 전문연 조금 더 알아봐야겠네요. 군사과학기술병이 군대에서 석사 이상 취득자 한정으로 1.5년간 특정 분야 연구를 할수 있는 보직이어서 고려하고 있었습니다. 석사과정의 경우 저희 학교가 석사를 1년 줄여서 할 수 있는 학/석사 통합 프로그램이라서 아마 학교에서 할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주변에서도 학부 중 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서 저도 고민이 많이 되네요ㅜㅜ
말씀하신 부분 자세히 알아보겠지만, 혹시 대학원 지원의 경우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만약 군대를 석사 후 간다면 박사 지원 후 leave of absence를 신청하는게 나을지, 군대 끝무렵에 박사를 지원하는게 나을지 고민인데 1.5년짜리 leave of absence를 얼마나 이해해줄지, 아니면 후자의 경우 주의사항이 있을지 궁금하네요ㅜㅜ
2024.07.15
이건 교수마다 그리고 학교마다 다를 것 같아서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일단 학교 시스템 상 박사과정으로 등록하자마자 휴학이 가능한지부터 알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한국인 유학생이 많은 학교는 징병제로 인해 휴학하는 경우가 많은 걸 알아서 편의를 봐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시스템 상 무조건 어느정도 다니고 나서 휴학이 가능할 수도 있기에 그걸 확인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게 시스템으론 된다 해도 교수 입장에서는 막 입학한 사람이 휴학하는 걸 안 좋아할 수도 있기에 꺼려할 수도 있고 펀딩이나 인건비는 어떻게 돌아갈진 잘 모르겠으나 거기에도 영향이 갈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거는 컨택하시면서 상황 설명을 하시고 교수가 이렇게 해도 된다 혹은 이러이러한 방법이 나을 것 같다 제시를 할 건데 그때 선택하셔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4.07.15
우문현답이었네요ㅎㅎ 말씀하신 대로 확실히 케바케라서 먼저 연락해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2024.07.16
비슷한 분야네요, 반갑습니다. 차라리 지금 군대를 가세요. 졸업하고 가는건 언제 가도 손해입니다. 박사 합격하자마자 휴학을 낼수있는지도 희박하고, Direct match 되는 경우엔 더욱 어렵습니다. 윗댓 말대로 군대다녀오면 지식/경험 등이 다 포맷된다 봐야하고, 이를 다시 회복시킨데에 큰 노력이 들어가니 대부분 저학년때 가는겁니다. 지금은 뒤쳐지는듯 해도, 군대에서 준비하고 알아볼수 있는 시간이 되기도 하니 더 추진력을 얻을수 있을겁니다. 그 외엔 그나마 군대에서 입시를 진행하는게 나을수도 있어요. 학부 졸업 후 입대해 시기 맞춰 박사 지원하고 기다리는 후임이 있었는데, 준비만 탄탄히 해뒀으면 현역으로 입대해서 군에서 입시를 진행하는게 시간적 손실이 덜합니다.
그래도 뭐가됐든 빨리 갈수있을때 가는게 좋습니다. 저도 해외학부 나왔고, 3학년 올라가기전에 다녀와서 졸업한뒤 지금 미박중인데 군문제를 일찍 해결하니 목줄이 풀린 느낌입니다.
2025.01.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군대는 빨리 해결하는게 나음. 학부 끝내고 가는것도 솔직히 늦은거긴한데 더 늦는거보다 군대 먼저 끝내는게 최고임.
2024.07.15
대댓글 3개
2024.07.15
2024.07.15
2024.07.15
2024.07.15
대댓글 1개
2024.07.15
2024.07.15
대댓글 3개
2024.07.15
2024.07.15
2024.07.15
2024.07.16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