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전산고체물리학 이론 전망 어떨까요?

2024.07.02

19

2756

지금 물리학 석사(유럽)에서 하고 있습니다.
이제 랩실를 슬슬 골라야하는데
고체물리가 좋았고, 실험은 너무 싫어서 이론연구실을 알아보던 중간에
흥미가 가는 랩실이 있어서 컨택을 해보왔고 긍정적인 답변을 얻어서 교수님과 이야기를 해보고 프로젝트를 세개정도 주시었습니다.
고체물리이론 연구실이고 솔라셀이나 2d material 위주로 계산을 하는데
랩실 자체내의 프로그램이 있더라고요. vasp나 quantum espresso는 아니구요.
DFT를 기반으로 하는데 Beyond DFT 예를 들면 many body pertubation이나 theoritical spectroscopy 위주로 프로그램을 확장 하는 작업이 있어서 관련 method development 토픽 하나가 있고, 다른 하나는 그냥 solar cell material에 대해 계산하고 연구실 내 새로운 method 테스트하고 이런 것들이 있더라고요.
전자는 사실 포트란으로 코딩하는게 70%정도...된다고 하더라고요.
고체물리 하는 친구는 고체물리학계에서 제일 인정받고 미래가 창창한게 method development라고 무조건 해야한다고 하는데
저는 코딩도 좋긴한데 물리쪽을 좀 하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요. 너무 코딩에만 치중하면 물리학적인 능력이 좀 더 덜 개발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고요.
물론 박사도 하고 나중에 material research를 하고 싶긴한데 사실 학위 받고 건실한 직장만 가질 수 있다면 뭐든 좋은거같아요..
주변에 고체물리 관련 조언 받을 분도 많지 않고 그래서 한번 여기에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4.07.02

고체 쪽 DFT 코드 자체 개발하고 릴리즈하는 그룹이 몇 개 안되서 유럽 쪽이면 제가 아는 그룹 같은데. 그 연구실 출신 한국인한테 연락해보세요. method development는 단순히 코딩만 하는 게 아니라 물리, 수학, 코딩 다 잘 해야합니다. 문제는 코드 및 방법론 개발 쪽은 어렵고 시간도 오래걸리는데 좋은 저널 내기가 단순 계산 쪽과 비교해서 어렵습니다. 유럽 쪽에서 DFT 코드 개발한 사람들은 학계 쪽 제외하면 대부분 data science랑 IT 계통으로 빠집니다.

대댓글 1개

2024.07.02

감사합니다. 아쉽게도 랩실에 한국인이 하나도 없네요. 그렇게 어려운 분야인줄은 몰랐습니다. 교수님이 제 커리어를 위해선 좋은 선택이라고 하시네요. 사실 저는 그냥 솔라셀에 관심이 있고 이쪽으로 커리어를 하고 싶었는데 method development를 하면 좀 더 기회가 많아질듯하네요.. IT쪽 보다는 이쪽에 관심이 더 많아서요. 감사합니다.

2024.07.02

실험, 이론 고체물리 통틀어서 코드 개발 자체가 가장 물리 이론적인 연구임
옛날 이론 연구자들이 손으로 수식 계산하던게, 현대에서는 코딩하는 거라고 보면 됨
그리고 친구가 말한 건에 대해서, 고체 기초 이론 연구하면 어려운 거 한다고 인정은 해주지만 미래가 창창하진 않음

대댓글 2개

2024.07.02

아 그렇군요.. 어렵지만 할만한거같네요. 일단 고체물리이론에서 method developmet를 하면 그나마(?) 여러 길이 있을거같았는데... 아무래도 이론쪽 취업이 힘드니까요. 고견 감사합니다

2024.07.02

취업은 고체물리 이론 랩 중 AI랑 엮어서 하는 랩 가는게 가장 유망합니다

2024.07.02

나쁘지는 않은데, DFT만 하면 외국에선 거의 재료라고 생각하지 이론물리라고 생각 안함.

대댓글 3개

2024.07.02

그렇군요.. 이 랩은 dFT보다는 many body perturbation위주로 하는데 이래도 그런가요?

2024.07.02

이 댓글이 잘 모르는 것 같은데, 글쓴이가 말한 것은 DFT만 가지고 하는 연구랑은 다름
무시해도 됨

2024.07.04

Beyond DFT도 DFT기반이면 그냥 dft에 코릴레이션 조금 더한걸로 생각하지 strongly-correlated system제대로 풀었다고 생각 안하는데요. 잘 모르는게 누군지...

2024.07.02

고체전산물리에서는 코딩해야 물리 수식을 직접 다룹니다. 오히려 코딩안하면 물리 수식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학생이 개인적으로 패키지나 계산 코드 하나를 디벨롭한다면 그만큼 크래딧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코딩에 심취하면 안되고(테크닉에 너무 집착보다), 물리 현상을 설명하는데 집중하면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7.02

조언 감사합니다. 일단 최대한 열심히 해봐야겠어요.

2024.07.02

교수가 누구냐에 따라 다름

2024.07.03

코드 디벨롭은 high risk high return 입니다.

대댓글 6개

2024.07.03

high return 무슨 뜻인가요?

2024.07.03

“이전에 계산 못하는 물리를 계산하는 코드를 디벨롭“하고 해당 분야 저명한 저널에 논문 쓰면 탑스쿨 가는 것도 무리가 아닙니다. 친구 하나도 그래서 관악 갔네요. 그런데 그 친구도 참 고생 많이 했어요.

2024.07.03

그렇군요.. 그런데 그럼 hgh risk는 저널을 못쓰는 경우인가요?

2024.07.03

저 자체가 엄청나게 특출할거라고는 생각을 안해서요. 사실 교수님 명성도 엄청나시고 그룹원들도 다 실적이 대단해서 푸시만 잘받아서 졸업하는게 목표인데.. 밥벌이는 할련지...

2024.07.04

하이리스크는 논문 못쓰는 거 정도일 것 같네요.

2024.12.06

관악가셨다는분 누군지 알거 같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