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요즘 보면 카이 제외 과기원도 동급 아닌것 같습니다.

2024.06.05

14

8089

AI, 전기전자, 기계 랩실들 다 뒤져보면
유니하고 지스트는 차이가 대놓고 나더군요.
지스트에는 탑 티어 논문 꾸준히 내는 소수 랩 제외하고 논문이 몇년째 잘 안나오는 랩들이 간간이 보이는데 유니에는 실적 압박이 세고 젊은 교수님들이 많아서 그런가 그런 랩이 거의 없었습니다.
디지스트도 그 둘보다 살짝 낮다는 의견이 많은데 지스트보다는 학교 운영도 잘되고 공격적으로 연구하는 교수님들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도 지스트보다 앞섰고요.
종합하면 요새 실적은
유니 > 디지=지
정도의 추세인 것 같고 랩 고를 땐 걍 동급이다 생각하고 실적하고 분야보고 가는게 정배라고 생각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06.05

유니>디지>지 요즘 추세

2024.06.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당사자 아닌 입장에서는 카이 제외 과기원 수준 관심도 없고 급이 다른거 같지도 않음

대댓글 2개

2024.06.06

저도 당사자 아닌데 카이 포함 과기원 관심없음 ㅋㅋㅋ

2024.10.15

카이나 타과기원이나 개찐도찐임 ㅋㅋㅋ

2024.06.05

그냥 랩실,피아이 보고 가시면 됩니다

2024.06.05

QS니 THE니 의미가 있으면서도 의미가 없고요. 아는 사람이 보면 의미가 없는지 알거고 모르는 사람이 보면 의미있는 순위같아 보이기 때문에 학교 관계자들이 기를 쓰고 순위를 올릴려고 하는 겁니다. 그 랭킹에 유리한 분야들이 있습니다. 그 분야 교수만 뽑아서 굴리면 랭킹 오릅니다. 알다시피 몇몇 학교들은 이미 그러고 있지요. 그리고 학교 실적이라는게 생각보다는 소수 몇몇 랩에서 끌어가고 있는거라 그 랩 못 들어가면 의미없어요. 심지어 그런 대가 랩이라도 그 분야가 실적에 유리한 분야가 아니면 의미가 없고요. 대다수의 대학원생들이랑은 상관이 없다고 보면 됩니다. 그 학교간다고 여러분 실력이 그 레벨이 되는게 아닙니다. 따라서 지디유 거기서 거기고 랩바이랩으로 보던가 집 가까운 순으로 보던가 편의시설 순으로 보던가... 그게 맞습니다.

2024.06.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평균으로 생각하면 유니가 독보적입니다.

2024.06.06

QS는 평판이 30% 들어가서 실적이랑 관련성이 떨어지는 랭킹입니다.

그리고 대학원은 연구실 연구분야, 실적, 알럼나이 보면 되고 랩간 편차가 너무 커서 평균이 의미 없습니다. 꾸준히 학교 비교글 올라오는데 보기 좋진 않네요

2024.06.06

지 다니는데 솔직히 과별로 몇랩 빼고는 딱히.....
직원들도 노조놀이에 빠져있고 매번 총장도(지금은X) 노조한테 휘둘리고...

2024.06.07

연구나 관심 가져라 아해야 그거 다 뒤져보면서 비교할시간에

2024.06.07

과기원 분석하는 연구라도 하는거 아닌 이상 이런 사람이랑 일하기 싫을 것 같은데? 비교질 할 시간에 일이나 좀 해라.

2024.06.07

추세니 급이니 나누기전에 그냥 자기가 갈수있는곳에서 최선의곳을 가서 좋은 성과를 내면 그만입니다. 무슨 지잡대 대학원vs서울대, 과기원 나누는것도아니고 학부생마냥 급나누는게 아직 생각이 어려보입니다

2024.06.07

지 는 행정 돌아가는것만 쳐다봐도 왜 그 급 학생들 데려다가 성과 꼴아박고있는지 느껴짐

2024.06.08

유니가 왠지 잘하데요. 지스트는 오래된 값을 못하네 요즘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