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과기원도 결국엔 지방대학교라고 생각하시고 오면 될 듯

2024.10.15

48

10854

입시철이라서 고민하는 분들이 보여 드리는 말씀
후배들한테도 자주 하는 말인데
과기원의 연구 인프라 정말 좋습니다

반대로 말해서 놀거리가 그리 많지 않아요

이게 장점이자 단점이고 과기원의 정체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석사만 빠르게 받고 가실분, 아직은 사회와 단절되어도 미래보다 현재에 집중해서 박사 받으실분 적극 추천합니다

근데 수도권 사립대에서 하는 기업과제 같은건 여기서 잘 못해요
국가과제 위주이기도 하고, 기업과제 해봤자 지역 중소기업입니다

출신 대학 학벌은 SKP에 연고대 아닌이상 입시할때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반대로 주변사람 학벌때문에 놀랄순 있겠네요

서성한 다니는 친구들은 수도권 하위 사립대도 좀 보인다는데
영남권 과기원에서 자대생인지 확인 안된다면
높은 확률로 부경대, 동아대 라인이고
부산대, 경북대 정도 학벌 좋은 사람들이나
계명대, 영남대, 금오공대 정도도 많습니다
듣도 보도 못한 사립대학 출신 사람들도 다 들어올수 있고 다 열심히 해요 학부인턴 경험 있고 학점 4점 넘고 그렇긴 하지만요

입시는 자신감이니까 더 높은 대학도 써보시고 과기원 입학은 안전빵으로 생각하고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화이팅~!!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8개

2024.10.15

저도 동아대에서 카이스트입니다...

대댓글 9개

2024.10.15

ㅁㅊ 동아대 카이스트 처음 봄

2024.10.15

동아대 출신들은 좀 없나?? 선배님들 다 어디간겨

2024.10.15

동아대 출신 카이스트생도 많겟죠 굳이 여기에 안나타날뿐

2024.10.16

혹시 나중에라도 동아대생이 이거 본다면 동아대에서도 우리학교 종종 온다는 거 알고 자신감 가지시길 바랍니다! 동아대생 아니라도 지방대 모두가 희망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면 원하는 곳 진학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ㅎㅎ

2024.10.16

동아대 출신 카이스트 교수님도 있습니다. 심지어 엄청 잘나가시죠..

2024.10.17

다들 자부심 가지세요 동아대면 충분히 카이스트 갑니다

2024.10.17

동아대에서 카이스트 갔다는 건 좀 놀랍긴 하더만,
연고대 랩실만 봐도 평균적인 랩들은 정말 듣도보도 못한 학교들에서 많이 오더만

내가 아는 성균관대 랩실들도 한국 학생들 못 채워서, 외국 학생들로 채우고

2024.11.22

저도 동아대에서 카이스트입니다 반갑네요

2024.11.23

역시 있을 줄 알았습니다
도도한 아인슈타인*

2024.10.15

ugd도 요즘은 셋 중에서는 u가 g,d랑 차이 많이 난다고 생각함. 본인 u 학생 아님.

대댓글 11개

2024.10.15

이게 맞는 말인데 g랑 d가 반대 오지게 넣나보네ㅋㅋ
네이처인덱스 또는 레이든 랭킹 보면 (질좋은 논문실적의 양으로 랭킹 매긴다고 보면됨) U는 성한이랑 비비는데, D랑 G는 중앙대~부산대랑 비비고 있다. ist훌리들은 정신좀 차려라

2024.10.16

그 놈의 랭킹.. 징하네.. 그거 어떻게 매기는지 알면 그런 말 못하지 않아? 특정대학 언급해서 미안하다만, 세종대를 보면서도 드는 생각이 없어? 랭킹 중요하지. 근데 고딩도 아니고 연구 머리 있는 대학원생이면 그 정도 사리분별은 할 수 있어야지. 대다수 대학원생이 쓰는 논문은 그런 분야랑 거의 상관없어. 그니까 그딴 랭킹 볼 바엔 너네가 가고싶은 연구실에서 나오는 실질적인 논문 실적을 보라고. 그게 진짜 너네의 미래니까.

2024.10.16

ist는 yk랑묶이죠 성한은 좀...

IF : 2

2024.10.16

u가 더 잘 나가는 건 인정하는데 ㅋㅋ 잘 나가서 성한과 비빈다라 ㅋㅋ 웃고갑니다

2024.10.16

최신 입결이 메디컬몰빵 되면서
yk가 서성한이랑 같이 묶이는데 뭘
ykssk ist 모두 같은 티어되고있음
s >> yk>=ssk

2024.10.16

성대랑 한양대 랩들 몇 랩들 빼곤 절반 정도의 랩이 대학원생 충원 힘들어서, 외국학생들로 채우던데..

2024.10.16

UDU는 지방 사립대의 폐교를 가속 시키는 존재 이며 위정자(정치인)들에 의에 억지로 만들어진 학교들입니다. 최근에는 가만있는 한국전력까지 끌여들여 에너지 대학교지를 개교하였지요.
기존 지거국을 통해서 이룰 수 있는 것을 정치적 구호나 상징을 통해 표를 얻기위한 위정자의 놀음에 지방 사립대의 재정적 위기 및 폐교의 가속화.. ... 특히 지거국의 위상이 현저히 감소되고 있는 것이 이를 반증합니다.
그렇다고 SSH정도의 위상 이상으로는 절대적으로 보이지 않으며 지방대라는 한계 또한 보이소 있음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앞으로는 양심은 똥두간에 버리고 있는 정치인들의 술수에 놀아나지 맙시다.

2024.10.16

요즘에 갑자기 서성한 훌리들이 많이 생긴 듯

2024.10.16

ㅋㅋ 거기서 거기지 ㅋㅋㅋㅋㅋ

2024.10.17

나도 u는 dg랑 다르다고 생각하긴함 거의 모든면에서 압도적이더만

2024.10.17

근데 웃긴게 yk도 아니고 서성한이 ist에게 대학원가지고 시비거는거야?? ㅋㅋㅋ
서성한은 정말 듣도모도 못한 학교에서 대학원 진학 오는 경우도 많고, 외국인으로 대학원생 채우는 랩도 많은데?

2024.10.15

미국 쪼그만 도시 대학교에서 박사과정 중인데 저도 공감합니다.

2024.10.15

D 다니는 중이고 D는 학교에서 조금만 나가면 백화점, 대학병원 말고는 다 있어요. 글 작성자님께서 말씀하신것 처럼 연구장비는 굉장히 좋아요. 기업과제 하기 힘들다고 하시는데 저희 연구실 같은 경우는 중소기업 과제는 구경 못해봤고 삼슥현 과제만 여러개 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대학원생 입장에서는 일 많은 기업 과제보다는 여유롭게 연구할수 있는 국가 과제가 더 좋다고 생각.. 대학원생은 자대생과 부산대 경북대 학생이 가장 많고 기타 거점 국립대 및 중경시~건동홍 학생이 그 다음으로 많아요. 동아대 출신은 본적없고 과에서 부경,영남이 제일 낮은 학벌이네요. 연구하기에는 정말 좋은 환경.

대댓글 5개

2024.10.15

현풍을 무슨 인프라 좋은 곳으로 포장하십니까..
그냥 시골에서 시내느낌이고
동대구에서 대중교통으로 한시간반을 가야 나오는 곳입니다.

2024.10.15

옛날에는 시골이였습니다. 디지스트가 들어오고 조 단위의 돈이 풀리면서 많이 달라졌지요

2024.10.15

디지스트가 제일 먼것 같아요….

2024.10.16

제일 먼 건 u죠...

2024.10.16

디지스트 연구소 몇년 재직하다가 이직했는데

조금만 나가면 백화점, 대학병원 말고는 다 있다
-> 이정도 인프라로 다 있다고 말씀하실꺼 같으면 앵간한 시골가도 있을건 다 있습니다
-> 디지스트 기숙사부터 자차 없이 대구시내로 나가보시면 교통쪽으로 인프라가 얼마나 안좋은지 알껀데

어디 연구실인지는 모르겠지만 그 학교의 TOP수준의 연구실에 있었나봅니다.
저희쪽이랑 같이 일했던 랩실 3개는 모두 대기업과제는 없고 이상할정도로 자대생이 부족해 보였고 언급안하신 대구대, 계명대 출신 학생들 정말 많이 봤는데... 흠....

2024.10.16

뭐 공부 못하면 지방살이 감수해야하는건 어쩔수 없지

대댓글 7개

2024.10.17

포항공대 갈 수 있는데 안 가신 거 맞죠? 그쵸?

2024.10.17

고등학생때 공부 못해서 서울대 떨어지고 카이스트 왔으니까.. 서울대 떨어져서 카이스트 포스텍 오거나 연고대 떨어져서 지방과기원 오거나 둘다 공부 못해서 지방살이 감수해야하는거지 뭐..

2024.10.18

아, 이 분 논리 넘 웃김.
이 분 말을 그대로 다시 보면 공부 못해서 지방에 있는 카이스트랑 포항공대 못 가고 서울에 있는 연고대 간거네 ㅋㅋ

2024.10.18

수도권에 서울대라는 더 좋은 선택지가 있는데 차선에 해당하는 카이스트 포스텍 ist 간건 그만큼 공부 못해서 간게 맞지. 서울대 붙여주면 다들 서울대 갈거잖어 ㅋㅋ
내가 카이스트 나왔지만 고등학교때 그렇게 공부를 썩 잘하지 못했고, 그래서 서울대를 못갔지만, 카이스트 포스텍 가는것도 그렇게 공부 잘해서 가는게 아니라고 생각하거든.

이 게시판에는 카이스트 포스텍 대학원 간게 무슨 인생의 업적인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이런 말하면 긁히는 애들이 많더라. 하지만 정작 잘하는 애들 입장에서는 개고생해서 카이스트 포스텍 들어간게 아니라 그냥 갈만해서 간 것임.

2024.10.19

그럼 그 쪽 논리라면, 서울대 빼고는 다 공부못해서 간 대학이네요? ㅋㅋ

2024.10.20

ㅇㅇ 내가 하려는 말이 딱 그 말임.

2024.12.18

P나 K에 우수학생 장학제도 있어서 S 우선합격으로 붙고도 간 사람 꽤 되는데..

IF : 2

2024.10.16

과기원 중에는 g가 마을 안에 있고 핫플도 걸어갈 수 있어서 생활권이랑 상권이 서울에서 상권 안 좋은 곳에 있는 대학교들보단 낫던데
d는 학교에서 상권까지 걸어나가는 게 힘들고, u는 애초에 학교가 산에 있어서...

2024.10.16

난 관악에 있다가 미박 유학왔는데, 학부생도 아니고 그런 걸 왜 따져?

관악도 산에 갇혀있긴 했지만,
미국의 대부분 명문대학교는 우리 나라 광역시 만도 못 한 곳에 있어.

dgu? 내가 다 가보지는 못하고 g만 출장땜에 가봤었는데
이런데 생활권이 코넬대학교같은 왠만한 미국 대학교들보다 훨씬 좋아.

연구하러 온 대학원 온 건데,
먹고자고 가끔 술먹는 데 문제없으면 쓸데없는 데 신경쓰지말고 논문이나 한 자 더 써

대댓글 4개

2024.10.16

관악이 무슨 산에 갇혀있음 ㅋㅋㅋ 그냥 서울이지...
그리고 케바케 신경쓰는 사람도 있고, 생활여건 신경 안쓰는 사람도 있는거지...
연구자도 사람이니 여가나 주변 인프라가 중요하지...

2024.10.17

하긴 서울대도 관악산에 갇혀있긴해

2024.10.17

미국을 그대로 한국으로 대입해서는 문제가 있죠. 분위기 자체가 다르고, 미국은 그래도 전반적인 지역에 퍼져서 사는게 조금더 자유롭지만, 한국은 서울공화국이니까요. 또한 미국은 대도시일경우 월세/자동차보험료등 생활물가차이가 극심히 큰것도뿐 아니라 안전문제 (극단적으로 예시를들면 시카고대학, 존스홉킨스, USC) 등도 겹치기도 하고요.
미국에서도 그러니 한국도 당연한거아니냐라는건 조금 문제가 생길수있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샴페인에도 있었고, 지금은 보스턴에 있지만 샴페인에 있을때는 그래도 일찍결혼해서 와이프랑 있어서 덜했지, 사실 라이프자체는 엄청 심심했던걸요. 저야 연구실에 있어도되지만 와이프등 가족들 생각은 또 다르기도 하고요. 특히나 가족없는 학부생이나 문과대학원생의 경우에는 방학만되면 캠퍼스 떠나버리기도하죠. 한인은 샴페인도 엄청많았지만, 저뿐아니라 특히 와이프는 집은 가라지있는 2B에서 지금은 스튜디오로 훨씬좁아졌어도 보스턴 라이프를 훨씬 좋아해요.
그리고 관악도 산에 갇혀있다는말은 좀.. 공감이 많이 어렵네요 ㅎㅎ 산근처에 있는 UCLA가 본인들이 갇혀있다고 말하는것과 유사하다고 해야할까요 ㅎㅎㅎ

IF : 2

2024.10.17

글쎄요... 관악에서 석사 하던 때,
학교에만 있었고 자주 갔던 곳은 낙성대에 술먹으러 갔던 기억입니다.
사실 거기도 상권이 좋다고 말하기는 어렵죠.

서울의 라이프를 즐긴 적은 별로 없었어요.
학교-집-낙성대 말고는 잘 안 갔으니까요.
제 연구실 동기들도 대부분 그랬습니다.
물론 안 그런 사람들도 있겠지만, 생각보다 대중교통타고 학교 밖을 빠져나가 (공대 301동이라 심지어 꼭대기에 있어서) 서울에서 다른 곳으로 놀러가기에 시간 및 공간적 진입장벽이 느껴지더라고요.
그래서 결국 낙성대 정도나 자주 가게 되더라고요.

말씀 주신 대로 한국은 서울 공화국이고, 저는 이 부분에 있어서는 미국이 되게 좋은 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고 생각을 합니다.
보스턴은 완전 도시인 거고, 대부분의 미국 사람들은 countryside에 사는 데 ( 우리나라로 치면 시골이지만 시골이라기에는 훨씬 깨끗하고 좋은... 심심한 건 우리나라보다 더함...)
우리나라 사람들과는 달리 무조건 도시에 살아야 된다라는 그런 인식이 없더라고요.
제가 보기에는 우리나라 광역시보다도 인프라가 딸리고 재미없어 보이는데도 말이죠.

2024.10.16

이게 정답이 아닐까 싶어요.

그 와중에 공부 못하니 지방생활이라니, 한참 웃었습니다. 관악을 예로 들면 공부 잘 할 수록 ‘서울’(=유흥/문화) 생활과는 거리가 먼 게 맞는 것 같습니다만.

2024.10.16

어휴 연구하러가지 무슨 학벌 업그레이드하러가냐? 찌질이들

2024.10.16

사실 틀어박혀 연구만 하기에 좋은 환경에서 P를 빼놓을 수 없음. 나는 틀어박혀있는걸 좋아해서 어느곳이든 연구인프라, 지원환경 좋은곳이 제일 이라고 생각함.

2024.10.16

부경대 경북대 동아대 뭐 이런 대학교 진짜 많긴 함 ㅋㅋ..

2024.10.16

본인 ist 로봇랩인데, 우리 랩은 대부분 서울이나 수도권 대학 출신이 대부분인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