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4 - 그분 어글리 코리아네
소국민 주제에... 대국에 가서 몬소리임...
조지아텍 수준이 어떤가요?
12 - 너무 유치해서 지나가는 전문직이 똑같이 유치한 글 남겨보겠습니당..다른 직업 대비 삶의 질이 너무 좋은듯
물론 금수저랑 대박CEO 논외
전문직 탑인 의사랑 비교해보면
뭐 애초에 빚없이 개원해서 오토로 병원돌리는 의사야 탑클래스라 넘사고
일반 의사 월에 세후 3000번다쳐도 그 돈 쓸시간이 있냐는거지
와이프랑 자식이 행복한거지, 매일 아픈사람 보고 진상한테 존대하면서 진찰하고...
...그래서 난 의사랑 결혼했지 ^^의사 배우자가 짜릿하긴 해 ㅎ 그래도 내가 꼴에 ky출신 전문직이라고 ky 나이 애매한 조교수들 어찌나 소개가 많이 들어 오던지 그래도 ky 교수 배우자 보다는 의사 배우자가....ㅎ
뭐 금융치료야 확실하다지만...난 시켜줘도 안할듯
당연히 개인의 차이가 있고 돈이 중요하면 의사하는게 맞고 아니면 ...의사랑 결혼하면 됨 ㅎ
전문직이 꿀인게 출퇴근 시간없고 할일만 처리하면 운동을 하든 잠을 자든 게임을 하든 누구 뭐라하는사람 없고
놀려고 마음먹으면 페이는 짜도 국가가 알아서 일주고, 연차 좀 쌓이고 대외 활동 좀 하면 여기 저기서 강연 부르면 또 일주일에 딱 강의만해도 쏠쏠하게 돈 벌리고
연구비로 세계 이곳저곳은 못가도 학회는 시간만 내면 갈수 있고 어디가서 전문 지식 좀만 털어주면 존경받고 2년차쯤 되면 연봉도 1억 넘기고
(조교수 연봉이 1억 2천쯤 이구나 ㅇ.ㅇ)
난 이거 말고 딴 사업 좀 하다 와도 어차피 라이센스로 돌아가니 딴 사업 망해도 먹고 사는데는 뭐 별 문제없어서 딴거 해볼라구
한없이 바쁘게살면 한없이 바쁘고, 놀려고 마음먹으면 끝도없이 놀다....난 돌아와서 다시 돈벌껭 ~
그렇다고 다들 너무 교수될려고 시도 너무 하지 마셈...쓰니 밥그릇 줄어등께
교수 삶이랑 월급에 부정적인 얘기 많은거같은데
9 - 바꿔말하면 그 상위 0.1%빼고 나머지 99.9%는 잘 먹고 잘 살기 어렵다는거네요. 그러니 다들 돈 얘기만 하죠.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0 - 그래도 시도할건 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엄연히 [불법] 이민자를 싫어하는것이지, [합법]적인 이민자를 반대하는건 아니니까요. 어떻게 보면 [합법적]인 절차만 누가봐도 명료하게 만들면 (힘들겠지만요) 그것만 명료하다면 유학이나 포닥은 또 명료해지는것 아닐런지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7 - 제가 생각을 너무 단도직입적으로 밝혔네요.ㅎㅎ 죄송..
큰 관점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들을 색출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박사/포닥 한테 주는 펀딩을 제어하는거같아서요 ㅎㅎ
결론은 같습니다...
불법 이민자로 전락하지 않겠다는 뉘앙스를 많이 풍기면 박사학생이나 포닥에게 주는 펀딩을 받을수 있을거라는 뜻입니다 ㅎㅎ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21 - 우리나라에서 교수가 의미 있는 연구로 돈버는 사람이 몇이나 되나? 누가누가 혈세 잘 뽑아먹고 눈먼돈 잘 주워 먹는 가에 따라 수입이 달라지는거지. 그런것 가지고 능력이 좋아 수입이 높은척(실제론 높지도 않음) 하는거 보면....ㅋㅋ 실제로 능력이 출중하면 미국처럼 인더스트리쪽으로 가는게 맞음.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라도 밥통 마저 깨트리는게 맞다고 봄.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8 - 헤르츠씨는 프로젝트와 펀딩 예산 삭감과 구조조정이 뭔지 아예 이해를 못하고 있는것 같은데, 익명커뮤에 분탕치러온 대학원과 미박과는 영 관련없는 분 같네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3 - 뭐가요?진지한데 어설프게 공감하지 말아주세요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22 - 익명커뮤에서 개차반 대댓 다는거보니 글쓴이도 남는축에 속할듯 ㅋㅋ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11
공1저자 선배ㅅㅂ롬이 계속 논문 작성을 안합니다
2024.06.01

잊고 있었는데 갑자기 욱해서 글을 쓰게 되네요
전개는 이렇습니다
처음에 선배 1명이 새로운 현상을 하나 발견(아이디어 단계, 약 4개월 진행) 했습니다
그리고 미국으로 떠났고 제가 그걸 맡아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약 1년에 걸쳐서 그 현상을 확실히 재현하고 시스템을 새로 만들었습니다.(기존에 그 선배가 쓰던 시스템은 폐기, 새로 만든 시스템이 여러 측면에서 좋은 부분이 있었음)
그래서 소자화까지 완성, 논문을 쓰고자 했는데
그 형이 계속 더 키워보자며 얘기를 했고, 그래서 알겠다 했습니다.
이 때 공1저자 앞(선배) 뒤(저)로 정해져 있었고, 워낙 독특한 현상이고 좋은 논문이 되겠다 싶어서 그때까진 납득하고 있었습니다.
그 선배가 미팅하는 건 2주-3주에 한번 한시간 내, 메시지 오간 빈도도 디스커션 횟수도 1주일에 한번정도
그렇게 또 1년이 지났습니다
그 1년동안 있었던 일은 좀 더 아이디어가 커졌고, 구현 가능성을 본 것.
슬슬 불만이 쌓이고 있었습니다. 포닥 하면서 디스커션 빈도도 더 줄고, 개인사정으로 한달씩 미팅을 못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고 9개월이 또 흘렸습니다.
(1, 피규어 초안 제작, 2, 데이터확보, 3,논문 작성 및 투고) 원래 합의한 계획이라면 3단계로 가고 있어야 될 지금 아직도 그 선배가 맡은 1단계가 끝은 커녕 제대로 나오지도 않았습니다.
그동안 참았던 빡침이 다시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이 ㅅㄲ는 뭐하는거지? 이게 코웤의 자세가 맞나?라는 생각이 또 듭니다.
하........................................
그냥 푸념좀 해봤습니다.. 일도 저와 둘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쪽 코워커랑도 엮여서 뭐가 많고 그 선배가 빠지게 되면 그쪽이랑 일하기 힘들어지니 손해일 것 같은데 가만히 있기도 ㅅㅂ단전에서 분노가 치밀어 올라서 뭐라 딱 해답이 없을 것 같긴 합니다..
그냥 선배님들 비슷한 경험 있는 분들 있으시면 위로나 듣고 싶어서 와봤습니다
원래 학계가 이렇나요 김GPT 26 14 7910-
5 7 2064
실패자같을땐 어떻게 극복할까요 김GPT 3 0 485
3년차 논문 투고가 요원합니다 김GPT 3 2 1138-
0 10 3533
논문 터트려도 될려나 김GPT 32 31 7651-
54 18 5270 -
16 16 3308
교수님 재촉하기 김GPT 0 7 752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명예의전당 84 10 8428-
87 82 50688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15 36 3233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06.01
대댓글 1개
2024.06.01
대댓글 8개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