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박사넷에서 눈팅하면서 정보 얻어가는 학부 3학년 (3-2 재학 중)입니다. 주야불철 연구하시느라 고생 많으십니다. 고민이 있어 글 작성하고자 합니다. 2학년 후반부터 대학원 진학에 관한 생각은 있었고, 분야는 반도체 소자를 염두하고 있습니다.
spk도 노려볼까 했지만, 지금 상황으로는 진학에 대해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학점은 p기준 서류 컷 - 0.2~0.3 (학부에서 보편적으로 이야기 하는 서류 컷 기준입니다.) 구간인데, 편입학을 하여서 학점의 등락이 심합니다. 편입 전 학교 성적으로는 태클 걸리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사실 지금 학점만 보면, 택도 없는 상황인 것이 자명하지만, 사람 일은 어찌 될 지 몰라 포기는 하지 않은 상태인 점을 감안하고 글 읽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불확실성에 대한 스트레스가 큰 상태입니다. 그에 대한 방안으로, 자대와 ist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ist 연구원 분께서 정량적인 스펙을 듣고는 교수님께 관심을 보여준다면 충분히 진학 가능한 상황이라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다만, 교수님께서 21년에 부임하셔서 랩 세팅이 거의 완료 되었지만 (Detail한 부분 수정 중이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본격적으로 논문이 나온 것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질문하니 1주일에 한 번씩 랩 미팅은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제가 진학을 하게 되면 25년 봄학기 또는 가을학기가 될 전망으로, 연구실의 3~4기수가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몇몇 글에서 신생랩 3~4기가 괜찮다는 글을 본 기억이 있어 제목을 그렇게 지었습니다. (신생랩 3~4기수가 좋은 이유를 어렴풋이 알고 있어 정확한 이유를 아는 석박사 선배님들 지나가시면서 글 남겨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자대 연구실을 고려하는 이유는, 빠르게 연구실에 들어가서 실적을 쌓고, 석졸 후 취업이나 해외 박사로 나가는 케이스를 봤습니다. 다만, 자대 연구실을 가게 된다면 해외 박사보다는 석졸 후 취업에 마음이 더 갑니다. (환경 변화에 대한 멘탈이 약함, 특히 외국)
어느 연구실을 진학하든 개인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딘가에는 진학을 해야 하는 결정의 시기가 다가오니 고민이 깊어집니다. 저와 비슷한 고민을 하셨던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야심한 밤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학부는 상위 지거국 전자공학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11.1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신생가서 고생하느니 자대감
대댓글 1개
2023.11.11
왜죠?ㅋ
2023.11.10
상위 지거국이면 부산,경북인가? 서카포는 컨택 먼저 하고 지원 생각해도 될거 같음 ist냐 자대냐는 갠적으로 자대가 더 좋다고 보이네요
2023.11.11
누적 신고가 10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벨붕 닥 자대임
2023.11.11
부임후 4년이면 신생랩 딱지 벗어가는 시기네요. 셋업은 끝나고 데이터뽑고 논문 한창쓰실 것 같네요. 상황지켜보시면서 ist 가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2023.11.11
시간 내셔서 답변 달아주신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상위 지거국 <- 부산/경북 맞습니다
2023.11.11
4년차면 세팅은 끝났을거에요 윗분말처럼 이제 데이터 뽑아내면서 논문나오기 시작할것이고
저도 ist 추천드리고싶네요
2023.11.11
ist가 나아보이네요. 요즘 ist 신임교수들 실적압박이 심해서 논문 빨리 뽑아내거든요.
가면 좀 힘드시겠지만 좋은 결과얻으실 확률이 큽니다.
2023.11.12
시간 내셔서 답변 주신 분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아직 시간이 있어 겨울까지 고민해보고, 2학기 성적 나오는대로 spk 각 안보이면 심사숙고하여 최종 결정해 보겠습니다
2023.11.10
대댓글 1개
2023.11.11
2023.11.10
2023.11.11
2023.11.11
2023.11.11
2023.11.11
2023.11.11
2023.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