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는 용역을 학교/기업에 주면 자기네가 지적 재산권 100% 가져가서 기술료 수입이 많은 거임.
SPK 3책5공 없는 교수님들 랩에 용역 1억 주고 논문이랑 특허 실적 내고 자기내가 100% 지적 재산권 가져가서,
그걸로 기술료 많이 번다고 자랑하는데.. 실질적으로 자체 연구개발 특허해서 기술료 수입하는거 거의 전무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덤덤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3.11.09
일리 있음. 내가 네이처 자매지에 쓴 논문이 있는데 (미박시절), 특허를 아무 관련 없는 ETRI에서 냈더라고? ㅋ 특허가 그게 가능하다네
대댓글 1개
2023.11.09
ㅇㅇ 원래 가능함
온화한 윌리엄 켈빈
IF : 1
2023.11.09
틀린 말은 아닌데.. 이것도 분야마다 좀 다르겠지만 좀 오래 같이 해본 바로써 기술사업화 과제 총대 매고 조별과제 이끌어나가는 담당, 뒤치다꺼리는 결국 ETRI가 다 함. 학교는 학교대로 논문 써내는 거 말고는 관심 없고, 기업은 기업대로 그냥 자기네들 있는 기술로 가져다 용역비 받고 때울려고 해서 (학교는 사업화란 말을 제일 싫어하고, 기업은 신기술이란 말을 제일 싫어함). 결국 책임자에게 공로가 돌아가듯이 그렇게 부산물들을 ETRI 이름으로 받는듯 한데, 그래도 가끔 보면 참 이게 연구기관인가 운영기관인가 생각이 들 때도.
2023.11.09
누적 신고가 10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사실 하는 일은 특허법인이랑 다를게 없긴 함
2023.11.0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주랑 농노네 ㅋㅋ
2023.11.09
ETRI가 규모가 커서 별의별 사람들이 많은거지, 본인이 연구한거로 특허내고 기술료받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자체 연구개발후 특허내서 기술료 수입이 전무하다했는데, 저도 퇴사후 학교왔지만 선임으로있을때 s등급 특허 3편썼는데, 우리 본부에서 좋은특허쓰고 기술이전하신 분들은 다 자체기술 개발한 거였습니다. 제가썼던 특허중 하나도 적은금액이지만 기술이전 됐고요. ETRI에 별의별사람 많고, 특히 한때 갑작스럽게 많이 채용된 책임급(박사x, 혹은 파트타임박사)들중 40후반~50중후반인 사람들이 지금 보직에 많이 있어서 그렇지, 그 이전 혹은 이후 사번들은 능력있고 열심히 하는 박사들도 꽤 많습니다.
2023.11.09
기술료는 특허만 있으면 나오는줄 아는건가? 다들 학위 거친사람들이고 논문쓸줄모르면 애초에 들어오지도 못하는곳입니다. 논문용 데이터 기술이아니라 사업화가능한 연구를 해서 ip활용하는 곳인데 논문보다 빡세면 빡셌지 쉽지 않아요 - 현직 선임
2023.11.10
교수들이 얼마나 약았는데 돈되는 특허를 용역 몇푼에 준다고? 만약에 줬으면 그 교수가 바보지..
2023.11.09
대댓글 1개
2023.11.09
2023.11.09
2023.11.09
2023.11.09
2023.11.09
2023.11.09
2023.11.10
2023.11.10
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