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 댓글: ETRI 관련 서람이 빽빽하게 5줄 이상. 과재 기획이랑 산업채에 연구 적용은 우라가 다한다. 우리 없으면 개판된다… 꿍시렁 꿍시렁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5개
2024.03.22
대학원생은 더뽑고 갈 직장은 줄여 버리면....
대댓글 5개
2024.03.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요즘 대학원 생들 ETRI 안가는데 ㅋㅋㅋㅋ
2024.03.24
작성자분은 정출연 프로세스부터 통과해보시고 말씀하시길.. spk 인기랩 출신인데 최근 후배도 졸업하자마자 운좋게 etri 바로 입사했는데, 지도교수 포함해서 그 누구도 작성자분처럼 폄하발언하는 경우없습니다. 다들 좋은곳에 간걸 축하해주죠. 본인이 그 자리에도 못가보셨으면서 함부로 폄하하면서 자존감 회복하시려고 노력하는것같은데 좀 안쓰럽네요.. ETRI 실장님도 친한분 있는데, 최근 입사자들중 CS쪽에서는 네이버/카카오 등 좋은 CS기업들이 ETRI보다 우선순위인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학교는 당연하고요) 그래서 실제로 작년에는 붙고도 이직한 경우가 많았다고 해요. 하지만 그건 극소수의 기업일 경우고, 그 기업은 최근 채용도 거의 안열어서 경쟁률이 기본으로 2-30:1이라고 했습니다. 저도 지금 미국 탑대학에 포닥으로 있는데, 박사졸업생들은 네셔널랩이나 아카대믹쪽 보다는 빅테크 가려고 합니다. 그렇다해서 네셔널랩이나 아카대믹쪽으로 간사람을 폄하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사기업과 아카대믹은 목표하는것 자체가 달라서 서로 존중해주죠. 오히려 작성자분처럼 애매한 수준의 분들이 '온라인상에서' 더 그러는것같네요. 여튼.. 뭐 작성자분 인생 파이팅입니다.
없애는데 동의하는건 아니고, 쇄신이 필요하다 봄. 나는 이미 떠났지만 젊은 학생/포닥/선임들에게 일 몰아주고 성과는 공유하는 연구소는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본다. 물론 모든 에트리 연구원들에게 해당 사항 아님. 내가 직접 보고 들은거.
2024.03.22
에트리만 그런게 아니라 대부분의 국책연구소가... 50세 이상 철밥통들 진짜 많음.
대댓글 2개
2024.03.22
근데 교수님들도 테뉴어 달고 정년 다가오시면 연구 거의 안하는거 똑같지 않음??
2024.03.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강의 하자나. 연구비 따오면 +알파로 버는 거고. 에트리는 앉아서 밑에 선임한테 과제 따오라고 시키고. 인맥 써서 기획 및 과제 수주 하고 그걸로 자기들 수당 챙기닌깐 문제임. 차라리 월급 공무원 처럼 받고, 특허랑 기술이전 도움만했으면 함.
2024.03.22
저도 카이스트 졸업후 선임으로 2년근무하고, 학교로 옮긴경우입니다. 저또한 ETRI에 실망 많이했고, 평균연령 50대(특히 정말 쉽게 뽑혔던 특정 기수들..ㅎ)인 연구소다보니 일안하는 사람들 정말 많았고, 무조건 쇄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책연들중 많은분들 박사타이틀 달고 앳햄거리면서 아는척하는데, 과제기여도는 UST학생이 훨씬 높은게 웃픈거죠. 하지만 글쓴이분처럼 정확하지도 않은 정보로 없이 특정 기관을 까는건 문제가 있습니다. 확실해야할건 ETRI뿐 아니라 대다수의 정출연은 학교와 다르게 좋은 논문을 쓰는게 목적이 아니라, 기술이전을 통해서 사회기여하는것이긴 합니다. ETRI가 규모가 커서 못난사람들도 많아보이는거지(실제로도 많다고 생각하기도하고), 정부출연보조금의 비율이 워낙 낮은데 규모는 커서 외부에서 과제를 미친듯이 따와야지만 운영이 되는 구조에요. 그러다보니 위탁과제등도 많이 주는것도 있고요. 심지어 ETRI는 기술이전으로 버는돈의 규모도 커서, 기술이전 측면에서만 보면 꽤나 할일을 잘 하고있는 겁니다. 여튼 ETRI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정출연의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쇄신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윗세대들 정말 일 안하고, 일떠넘기는데 돈은 많이 받아가고.. 좀 짜증나는게 많긴해요. 근데 뭐 어느 정출연이나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KIST 이직도 생각했는데, KIST도 사실상 포닥/학생들로 논문실적뽑아내는건 동일한것같아요. 애초에 정출연에 온 사람들중 연구욕심이 큰사람들은 저처럼 학교로 떠나게되는듯해요. 정말 극소수의 연구열심히 하시는 선배님들이 원에 남아서 원바꾸려고 노력하고계시고있죠. 이런분들이 정말 대단해보입니다.
대댓글 4개
2024.03.22
KIST에 있는데 그래도 여기는 연구 환경은 탑스쿨 수준으로 좋습니다. 학생은 더 없는데 포닥은 더 많이 뽑을 수 있고 수준도 높아서요. 그리고 사실 학교에서도 교수들이 아니라 포닥/학생들이 실무를 하는건 똑같으니까요. 각각의 역할이 있는거죠 다만 다른 정출연들은 말씀하신대로 연구가 제1목적이 아닌 것 같습니다
2024.03.22
선연인가요? KIST에 대해서 안그래도 궁금한게있었는데, 카이스트출신이다보니 주변에 대전 정출연은 정말 많이 아는데 친한지인중 kist에 있는사람은 없어서 궁금했네요. kist는 선연들에게 논문실적 요구정도가 어떻고, 과제수주등의 굴러가는 환경이 어떤가요? 스타트업 펀딩을 제공해주나요? 아니면 소액 내부과제들이 많은편이라서 본인이 원하는 연구를 외부에서 과제수주안해도 어느정도 할수있는건가요? kist는 입사한 사람의 말들을 들어보면 해외포닥+포닥경력을 2-3년정도 요구한다던데, 웬만한 학교교수 임용급을 요구하면서 어느정도의 대우인지는 명확하게 와닿지 않네요.
IF : 2
2024.03.22
지나가던 kist 선임입니다. - 일단 소본부마다 분위기는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는 어렵고 제 경험 기준입니다. - 논문실적 요구량 자체는 적습니다. 근데 수탁과제만 하고 연구안하고 논문 잘 못쓰는 분들은 무시?당하는 분위기입니다. - 원에서는 수탁과제 너무 많이 하지 마라는 방침입니다. 근데 내부펀딩은 한계가 있어서 수탁과제 한두개씩은 더 합니다. - 연구자율성 높습니다. 탑다운 업무가 있기는하나 학교교수님들 학과업무보다는 적습니다. - 선책임은 단독 pi취급이라, 개인 연구실을 학연 대학원생 뽑고 포닥 뽑아서 학교 연구실처럼 운영합니다. - 스타트업 지원은 있는거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 논문성과가 날 수 밖에 없는 구조라, 학교 이직 많이들 하시고 대부분 ssh급 이상만 고려합니다. 연구만 생각하면 그 아래로 갈 이유가 없다는 인식입니다. (교수 되는게 꿈이거나 조직생활 자체가 안맞는 분들은 물론 더 아래급 학교도 갑니다.)
2024.03.22
정보 감사드립니다. 저도 빠른나이에 박사학위 - ETRI - 퇴사후 탑대학 포닥(포닥 컨택확정 후 퇴사) - 포닥2년차후 귀국 이 루트인데, 해외포닥당시 KIST에 상당히 궁금했습니다. 뭔가 굳이 정출연을 그만두고 정출연을 가는것도 의미가 없어보이기도 했고, 운좋게 좋은학교 임용이 됐는데 아직까지 KIST인식이 상당히 좋아요. 저도 제가 원하는 리스트들 학교에 임용안됐으면, 그 밑 대학은 뭔가 20년뒤 미래가 너무 불안해서 kist가는게 낫겟다 생각했었어요.
2024.03.22
ETRI 돈 그냥 줄이자는 이야기는 그냥 전체 파이 줄이자는 이야기랑 같다. 그 돈 줄인다고 그게 spk로 갈 것 같아? 높은 사람들 눈에는 그거 논문 2배 더 나온다고 별 신경도 안쓰고, 실제로 별 파급 효과도 없잖아.
대댓글 4개
2024.03.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 뭔소리 그냥 ETRI 만 없애거나 줄이고, 남은 돈을 학겨 주라는 건데
2024.03.22
그니까 그 돈이 학교로 갈 것 같냐고. 안 간다니까.
2024.03.22
다시 말하면, 정부 입장에서는 학교에 투자해서 논문 늘어난다고 당장에 큰 의미가 없고 학교가 ETRI가 하는 역할을 상당 부분 대체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ETRI 줄 돈을 빼서 학교에 줄 일 자체가 없다는 거임.
그러니 무슨 ETRI 돈 빼서 학교에 줘라 같은 소리 하지 말라고.
2024.03.23
ETRI 근무한지 10년 다되어가는 선임인데 SPK에서 좋은 논문 나오는게 ETRI에서 되도 않는 과제 하는 것 보다 훨씬 실질적인 파급효과가 클 것 같은데. 말도 안되는 과제들 포장해서 하는 것 보면 10년이 다되가도 여전히 기가참.
2024.03.22
에트리는 진짜... 이런데서 기획하는거 부터가 잘못
대댓글 1개
2024.03.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논문도 못 쓰는 집단이, IITP, KOCCA 등등 에서 과제 기획하는데에 입김 넣는거 자체가 기가 참.
2024.03.22
대학교수들을 줄이는게 어때? 연구 안하는 공대교수들 사방천지던데.... 익명이라고 이 딴글 싸지르지말고 연구해라. 에트리가 논문만 쓰는 곳은 아니지 않나? 뭐 특정기관 특정세대 저격하면서 배설하는 글들은 제발 그만 써라
대댓글 4개
2024.03.22
그 테뉴어 받은 교수들은 연구는 옵션이고 교육만 하면 됩니다. 연구원들은 연구가 의무인것처럼요.
IF : 1
2024.03.22
ㅋㅋㅋㅋㅋㅋ 이거 참 웃기네요. 제가 예전에 쓴 글에는 교수님은 본업인 연구하느라 바쁜 사람이니 수업 퀄리티 좀 떨어져도 참으라는게 대세 의견이던데. 우리나라 교수님들은 그러면 의무가 없군요? 딱히 코페르니쿠스님을 집어서 반박하는거라기보다는 이 사회가 교수님들에 대해서 가지는 관대함이 부럽네요.
2024.03.22
말씀하신 교수님들은 정식으로 테뉴어를 받은 교수님들이라 적절한 비교가 아닌 것 같네요. 익명이 아니라도 저런 불만을 가지는 분들이 많아서 글 종종 봅니다.
2024.03.24
이상한 예를 들이미시네요. 테뉴어 받은 교수들은 교육은 안하면 잘리지만 연구는 안해도 안잘립니다. 이건 계약의 문제입니다. 뭐가 의무인지 이해가 안되세요?
2024.03.22
진짜 박사때 실적 거의 없는분들 보고 놀랐다 물박사 워터파크인줄
대댓글 4개
2024.03.22
애초에 ETRI는 특정기수때(현재 50대초반정도?) 상당히 많은 사람들을 대책없이 뽑았어서, 그때 쉽게 입사하신 분들은 실적도 많이 부족하고 정말 다양한 학교출신분들이 파벌만들고 그랬어요. 경x대 라인, 항x대 라인 등등.. ㅎㅎ 그리고 석졸분들도 많이뽑았어서 생각보다 파트타임 박사들도 많아요. 그래도 최근 n년 입사자들은 다들 실적/학벌 좋은사람들입니다. 저도 ETRI 선연 출신인데, 저 포함 제 동기들은 카이스트 출신들이 정말 많앗고 저도그랫지만 다들 실적은 상당히 좋았습니다. 지금도 제가 예전에 있던 실이랑 친하게 지내는데, 거기 최근입사자들도 다들 카이스트 출신이에요. 다만 문제는.. 구조가 탑다운으로 선임들이 대우못받는 구조라서.. 좀만 실적괜찮으면 많이들 학교로 빠져나가는듯 해요.
2024.03.23
최근에 근무한 분들도 아는데 학교는 좋아도 졸업을 어떻게 했지 싶은 정도의 실적이길래 신기했음
2024.03.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워터파크 ㅋㅋㅋㅋㅋ
그런 사람들이 모인 집단에 프로젝트 베이스로 운영하니 답답함.
동사무소 처럼 일괄적으로 8급, 7급 같이 급수 나눠서 “월급”만 줘야 바람직 함.
2024.03.25
진짜 특정기수가 너무 많이 들어와서 그때 들어온 기수들이 현재 에트리 정규직중 40프로 이상임..석사가 매우 많았고 지금 책임들중 실장하시는분들도 파트타임 박사(충남대,카이스트..)들이 상당수 있음 나도 일년반정도 있었지만 그 기수 책임분들 정말 일안합니다..오히려 위촉 포닥이 실적이 압도적이고 그냥 과제에 포함되어 있다는 이유 하나로 공저자로 들어가는일이 매우 비일비재합니다 내부에서는 곧 다 나가니까 기다려라고 하는데 정출연에서 그런소리 하는게 지금 생각해도 어이가 없네요..
2024.03.22
어디서 근무하셨나요? 저희 부서는 기술이전 때문에 바빠도 연간 탑티어 한편씩은 냈는데... 무얼 근거로 논문을 많이 안쓴다고 하시는건지?
대댓글 6개
2024.03.22
저도 궁금한데 어느부서인가요. 창의과제 하는곳?? 탑저널들은 원내에서 정말 드물게 나오고, 그것조차 대체로 위탁과제에서 공동교신으로 나오면서 에트리실적처럼 홍보하는거잖아요.. ㅎㅎ 궁금해서 CVPR 찾아봤는데, 주저자/교신저자인 논문이 하나도없네요. 매년 논문성과로 상받는사람도 보면, 사실 탑저널이라기에는 많이 애매한 저널들이였습니다. 사실 제가 탑저널 한편쓰고 나왔었는데(박사과정-ETRI 연구합쳐서), 당시에 궁금해서 원내 논문실적 찾아볼때 정말 많이 부족하긴 했습니다. 솔직하게 ETRI가 잘하고있는것들도 많고 정말 훌륭한 선배님들도 간혹있지만, 욕먹을건 욕먹어야죠... ㅋㅋ 고인게 너무많아요.
2024.03.22
저는 좀 옛날에 있던 편이라 요새 현황은 잘 모르지만, 어떤 의미인지는 알겠습니다. 다만 열심히 하시는 분들도 약소하게나마 아직 계신데 본문에서처럼 ETRI 연구원 모두가 고였을거라고 일반화하시는건 섣부른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2024.03.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구를 약소하게나만 하닌깐 ETRI는 50% 이하로 감축 해야됨.
정부과제 지원도 상한선 갯수 만들고, 기획도 못 하게 해야 바람직함.
2024.03.23
작성자분 지나가는 ETRI 책연한테 뭐 싸대기라도 맞으셨어요? 특정 기관에 대해서 까내릴거면 정확한 근거갖고 오셔야지 공감을 해주든 뭐라든하죠. 지금보이시는 태도는 심심해서 어그로끌려고 하는 사람 그 이상이하로도 안보이네요.
2024.03.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내 새금 아까워서 그럼
2024.03.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내 세금 아까워서 그럼
2024.03.22
기술이전 특허매각 백억대 안해봤으면 입꾹닫자? ㅋㅋㅋ
대댓글 5개
2024.03.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통신으로 팔어먹은거 사골 우려 먹듯이 매번 나오네. 근 5년 내에 십억대도 없던데.. ㅋㅋㅋ
2024.03.22
많은대? 뭔소리?
2024.03.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없는데 ㅋㅋ 뭔소리
2024.03.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내가 모르는게 있을 수도 있는데.. 과거 통신 기술 팔아먹은거 이후로 크게 기술이전 한게 있나?? 있으면 상세히 근거 자료랑 기술해줘
그럼 가만히 있지. 오만 곳에 제안서 내고 연구비 가져가려고 하냐. ETRI 는 정부에서 지원급 늘려서 공무원 처럼 월급만 받고 정부과제 지원 못 하게 해야됨
2024.03.23
ETRI가 정부보조금 비율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해보고 오시길.. 웬만한 타 정출연에 비해서 비율이 현저하게 낮습니다. 원하는게 오만곳에 제안서 안내고 연구비 안가져가려는거면, 타기관정도 수준의 정부보조금 비율을 보장해주면 됩니다. 근거도 없고 대책도 없이 뺶뺶 거리는소리좀 그만하세요.
2024.03.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닌깐 정부보조금 높이고, 공무원 처럼 월급만 받고 연구도 못 하는 기관이 연구 수주 하지 말라고
2024.03.24
작성자분.. 뭔소리하는거에요? 본문에는 연구지원금을 줄이라고 하더니, 이번에는 정부보조금을 높이라뇨. 논리가 없으면 최소한 본인 주장의 맥락이라도 동일하게 하세요. ㅎㅎ 본인 포지션이 학생인지 (사실 글수준만 보면 학부생이라 해도 믿겠어요) 뭔지 모르지만, 연구룰 본업으로 하실분이면 근거와 논리대로 말하시는것좀 연습하시길..
2024.03.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50억 100억 짜리 정부과제 주관으로 들어가서 60-70% 예산 가져가지 말고, 니들 규모를 50% 로 줄이거 기존 프로젝트 베이스가 아니라 공무원화 시켜서 월급쟁이 하라는 거자나
2024.03.23
연구목적이 논문쓰는것에서 거름 논문을 위한 논문만 쓰다 나오셔서 그런지 시야가 상당하 좁으시네
대댓글 1개
2024.03.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사업화랑 실증을 위한 논문도 못 쓰면, 공무원 처럼 월급만 받아가라
2024.03.23
논문이 다가 아니지요. 과학에는 국경이 없으나 기술에는 국경이 있지요. ETRI가 논문을 안내는 이유는 기술개발을 하기 때문이지요. 독일도 막스프랑크는 연구를 프라운 호퍼는 기술을 담당하고 있지요. ETRI 젣거로 기술개발 하고 있습니다. 생기원도 좀그랬으면 좋겄네요.
대댓글 1개
2024.03.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니들이 기술 개발은 똑바로 하긴하냐?? 죄다 용역 시켜서 외부에 시키거나, 중소기업 갑질해서 짬처리 하던데.. ㅋㅋㅋ
2024.03.25
???에트리 핵심기술 관련해서는 워크샵 굉장히 진취적으로 하지않아요? 엣지컴퓨팅이나 하드웨어 가상화 쪽도 그렇고...하는 부서는 엄청 잘하지만 아닌 곳이 해이해지는듯요. 그리고 학부생들은 에트리에서 장비값 안받으면 죽어요...
서서히 없애고 있어 신입 TO 줄이면서, 프로젝트 베이스에사 그냥 월급쟁이 공무원으로 만들었으면 함.
2024.03.26
에트리가 진정한 카르텔이여서 그럼 좀더 두드려 맞아야하는데 배부르고 일안하는 양반들 천지여서ㅋㅋ젊고 연구에 뜻이 있다면 탈트리가 정답
2024.09.12
흐
2024.09.12
에트리가 문제가 많다는건 이미 알려진 사실이고. 위에 써진 내용들 뺄것도 없이 다 사실이라고 저도 생각하네요.
다만 학교는 뭐 문제가 하나도 없어서 거기에만 연구비주면 연구 제대로 한다는거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네요. 일단 교수들 집단과제 하는거보면 제안서는 그냥 구색 맞추기고 결국 통합이나 이런건 관심없고 자기들 원래 했던거 논문 잘나오는 주제로 하던거 그냥하고 과제는 적당히 때우는 식으로 합니다. 학생은 졸업 해야하니 논문 안나오는 일에는 매우 관심이 없고 적당히 하고 치우자는 식이죠.
교수만 있는 컨소가 경쟁으로 산학연 컨소에 밀리는 이유가 교수들만 모여서 과제하면 그게 제대로 뭐가 나오겠냐는 인식이 커서라고 생각하네요. 논문이 중요한건 맞지먄 그것만 하려고하고 그 외의 일은 잡일로 취급하는 교수들 너무 많기에 spk에 연구 몰아 준다고 과연 실용성 있고 많이 보급되어 파급력있는 연구가 뭐가 많이 나올지 의문이네요. 탑티어 논문이라 해도 reproduce 안되고 그거 쓴 학생 졸업해 버리면 관리도 안되는 연구 결과물들 수두룩 합니다.
2024.03.22
대댓글 5개
2024.03.22
2024.03.24
2024.03.24
2024.03.24
2024.03.24
2024.03.22
대댓글 1개
2024.03.22
2024.03.22
대댓글 2개
2024.03.22
2024.03.22
2024.03.22
대댓글 4개
2024.03.22
2024.03.22
2024.03.22
2024.03.22
2024.03.22
대댓글 4개
2024.03.22
2024.03.22
2024.03.22
2024.03.23
2024.03.22
대댓글 1개
2024.03.24
2024.03.22
대댓글 4개
2024.03.22
2024.03.22
2024.03.22
2024.03.24
2024.03.22
대댓글 4개
2024.03.22
2024.03.23
2024.03.24
2024.03.25
2024.03.22
대댓글 6개
2024.03.22
2024.03.22
2024.03.22
2024.03.23
2024.03.24
2024.03.24
2024.03.22
대댓글 5개
2024.03.22
2024.03.22
2024.03.23
2024.03.24
2024.03.25
2024.03.22
대댓글 5개
2024.03.22
2024.03.23
2024.03.23
2024.03.24
2024.03.24
2024.03.23
대댓글 1개
2024.03.23
2024.03.23
대댓글 1개
2024.03.24
2024.03.25
대댓글 3개
2024.03.25
2024.03.25
2024.03.26
2024.03.26
대댓글 2개
2024.03.26
2024.03.26
2024.09.12
2024.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