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ETRI 해체 하면 좋겠다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10.27

55

16580

솔직히 ETRI 연구 안하지 안음?

연구비 IITP 과제 70-80% 독식하고, 그냥 없어지는게 좋을 것 같음.

추가로 BCI 도 혈세 낭비 뇌공학에 돈 왜 쓰는지 모르겠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5개

활기찬 아이작 뉴턴

IF : 3

2023.10.27

높으신 분들이 부처별로 예산 낭비율을 계산해서 줄세워보니 연구계가 가장 낭비가 심해서 R&D 예산을 자른것도 아니고
사실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나랏돈 빼먹는 놈들 널리고 널렸는데
이런 상황에는 자성의 목소리보다는 다같이 무지성으로 떼써서 떡하나라도 더 받아먹는 것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대댓글 2개

배고픈 마르틴 하이데거*

2023.10.29

이런 마인드 때문에 정직하게 연구하던 사람들도 피해보는거임..
배고픈 마르틴 하이데거*

2023.10.29

열심히 일하는 ETRI분들도 많고 그분 의견들도 있는데, 단순히 무지성 떼쓰기로 일관하는건 가장 먼저 없어져야함

2023.10.27

ㅎㅎ ETRI에 열심히 하는 연구원보다 본인이 더 잘하고 그런 이야기를 하시는게..

대댓글 3개

2023.10.28

물론 ETRI가 문제가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조져야할게 너무 많고, 나이 많은 직원부터 젊은 직원까지 고쳐야할게 많아요.

하지만, 만약 ETRI 해체되어서 IITP 과제 다른 사람들이 한다고 칩시다. 그럼 잘할까요 과연?
저도 지금은 교수지만, 굳이 연구만 따져서 본다면 교수들(학교)이 제일 잘하긴 할텐데 글쎄요.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할 수 있을텐데, 대표적으로 떠오르는걸 이야기해보면,
먼저 과제 산출물이라는게 논문만 있는게 아닙니다. 오히려 기술이전 받아가는 기업 입장에서 논문은 하등 쓸모가 없어요.
오히려 해당 기술에 걸려있는 등록 특허가 더 중요하고, 거기에 가져다 쓸 프로그램이 더 중요합니다.
ETRI 같은 기관을 없애고, 대신 다른 기관들이 과제 쿠킹하고 가져가서 산출물 만들어낸다고 하면,
오히려 quality control은 더 힘들어질거라고 봅니다. 참고로 IITP가 그런 역할을 잘할거라고 절대 기대하지 마세요.
공개S/W 관련해서 이것 저것 시키는거 보면 음..하..

ETRI에서 만들어낸 결과물도 보면 존나 욕할거 많은 것도 잘 알아요. 같이 근무했던 사람으로서 부끄러운 사람도 너무 많습니다.
그건 ETRI를 조져서 개선해나가야 할 문제지, ETRI 없애서 과제들 나눠먹으면 상황은 더 어려워질거라고 봅니다.

2023.10.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ETRI가 열심히 하는 곳으로 유명했나요? 처음듣는 얘기네요

2023.10.30

에트리 없었으면 지금의 퀄컴은 없었을텐데...

2023.10.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ETRI 하는 일 보고서 작성, 발표, 대학교 용역 주기, 기업들 실적 가로 채가기. 물론 20% 의 연구하는 사람도 있는데, 80% 는 그냥 행정 사무원

대댓글 4개

2023.10.28

기업들 실적 어떠케 가로챘나여? 궁금

2023.10.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ㅋㅋㅋ 기업들 실적을 가로채간다고? 소송당할라고? 되도않는 말하는거보니깐 피해망상 오지는듯 ㅋㅋㅋㅋ 기업실적을 대놓고ㅠ가져가며누아이구 가져가싶쇼 저는 호구죠 이러고 가만히 있냐? 기업 시스템을 물로 보네.

2023.10.30

20%가 80% 끌고가면 적당한겁니다. 생태계법칙이에요. ㅎㅎ

2023.10.31

기업시스템 물 맞음
호구 당해도 입 뻥끗 못하는 카르텔 구조 속 호구

2023.10.28

etri현직임? 현직에 이런소리하면 인정인데, 제가볼때는 현직과 거리가 멀어보임.
etri선임 2년근무하고 지금 학교에있는데, 여러가지 문제점들도 많았지만 그런 문제없는 정출연은 얼마나 될지.
내부얘기를 하나하나 설명하긴 어렵지만 쉽게설명하면 예전에 창업/학교로 많이빠져나갈때 대거채용된 석사출신(현 파트타임 박사)들 고인물이 너무많은게 크죠. 그 이후 사번부터는 그래도 괜찮은분들 많음.
근데 그때 워낙많이 들어와서 평균연령도 높고, 좀.. 능력부족인 책임급들이 꽤많긴함.
그래도 내부에서 볼때 연구하고 과제수행하는 사람들도 많고, 반대로 과제 수주해오는 실장이나 과책들도 다 본인능력임. 저는 과제수행만 하는 역할이였지만, 과제수주 능력 대단한 사람들도 많았음.

대댓글 2개

2023.10.30

"과제 수주 능력" ??? 과제 수주 능력이 대체 왜 존중받아야 하지?
나이 어린 사람들 80-90년대 생들 괜찮은 사람 많은 건 알지만, 평균 연봉이 1억이 넘는데
대다수는 60-70년대생 무늬만 박사인 사람들이 많지 (나 에트리 5년 다녔음. 이름 댈 수도 있음)
"과제 수주 능력" 을 존중하기 시작하니까 연구능력과 상용화 능력이 망조가 드는거지.
본인이 정확히 문제점을 지적했네.
~~ 한 사람들도 있다고 하기에는 그런 논리면 이세상에 개혁 해야 할 곳 한군데도 없음.
지금 나라가 이지경 이꼴인데 그 옛날에 지방 사립대 박사 받았다는 이유로 연봉 1억 넘게 받는게 말이 됨?
과제 제안서 쓰는거 말고 할줄 아는거 아무것도 없는 사람이 태반인데.
국회의원들도 열심히 입법활동 하는 국회의원들 많어.

2023.11.01

뭔말하시는지 이해하고, 저도 어느 사번 책임/박사(파트타임도 많죠)을 말하는건지도 이해합니다.
다만 퇴사후 미국탑대학에도 있어보고, 현직으로 오고 느낀게, 과제수주도 그사람의 능력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과제 제안서 쓰고, 아랫사람들이 쓴거 있어보이게 발표하고 이런거 아랫사람들이 볼때는 짜증나지만, 제가 PI가 되보니 다르게 생각되더라고요.
물론 '과제 제안서만'쓰고 연구수행 능력이 없는사람을 높이는건 아닙니다만, 반대로 연구수행/논문 작성 능력은 훌륭한데 과제수주 능력이 부족해서 매일 원하는연구 못하고 주변연구실에 빌빌거리는 선배교수들 보면 그또한 답답하고 거기 랩사람들이 불쌍하다고 느끼는건 동일합니다.
둘다 잘하는게 가장 중요하겠죠.

IF : 1

2023.10.28

저도 etri 현직이었다가 지금은 교수하지만 정출연 중에 etri 만큼 실적 못내는 기관 자르라고 하면 몇개 안남을텐데요.. 과제가 논문만 쓰면 다인줄 아는 학생들이 많은데, 실용적 연구, 대기업은 관심 없지만 국가적으로 해야 하는 연구들, 그리고 이를 통해 중소 벤처를 키워야 하는 연구들이 많습니다. 제가 중소 벤처 기업들 기술특례 상장 평가위원으로 다녀보면, 해당 기업들이 초반에 어떻게 기술력은 케워왔는지 보게되는데요. 대부분 국가 r&d 과제에 참여해서 연구 개발하다가 이후에 펀딩받고 규모를 키우는 형태입니다. 그럼 그런 국가 r&d 과제는 누가 주관이 되어서 3~4 개나 되는 참여 연구가관 (밴처, 학교)을 이끌고 갈까요? 1년에 과제비 끽해야 15억도 안되는 돈으로 대기업이 하려 할까요?

etri가 아예 문제가 없다고 말하는건 아닙니다만, 문제가 보이면 문제를 해결해야지 없엔다는건.. 예전에 모 대통령이 해경 없앤거랑 뭐가 다른지 모르겠네뇨

대댓글 1개

2023.10.28

제가 볼땐 ETRI가 규모가 커서 욕도 그만큼 먹는것같네요.. ㅎㅎ 분명 책임급들중 일안하는 사람들 많지만, 그건 모든 정출연/학교 만 봐도 동일할거라 생각하고요.
사람들이 ETRI는 정출연이니 보조금 빵빵하게 받으면서 평균연봉도 높으니 좋은 직장이라고만 생각하는것같네요. 이 사람들이 실제 출연보조금 비율이나, 기술료 수입 등등 좀만 알아봐도 이런소리 할수있을지 궁금해요. 이 글 글쓴이도 IITP 과제수주 관련얘기하는데, ETRI 기관이 그래도 돌아가려면 정부가 출연보조금을 높이지 않는이상 실장이나 책임들은 어쩔수 없이 과제수주에 목숨걸어야됩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과제수주량은 많고, 과제수행보다 위탁과제로 돌리면서 막는것도 많아지는건데.. 근데 이건 단순히 ETRI탓을 하는게 아니라, 정부 출연금 등등 상황부터 개선해야되는걸 모르는게 안타깝네요. 타정부기관처럼 출연금 비율이 50%이상이되면, 당연히 ETRI도 과제수주에 목숨안걸고, 실행되는 과제에 집중하겠죠. 과제 더많이 딴다고 솔직히 연구원한테 돈이 더 떨어지는것도 아닌데요.. ㅎㅎ

IF : 1

2023.10.28

학교에 있는 현직입니다. 학계에 종사한 기간이 짧지만 그 짧은 기간 동안 etri의 부정적인면 (의미 없는 과제 기획 및 수주 카르텔, 대학교에 연구 용역 등)만 보고 있습니다. 제가 연구하는 분야에서 etri가 수주해 가는 연구비가 어마어마한데, 혁신적인 연구 결과가 나온것을 본적이 없습니다.

대댓글 5개

2023.10.28

분명 etri는 규모가 큰만큼 별의별 사람들도 많고, 여러가지 문제가 많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어느기관이든 다를까요.
수주 카르텔이라 말하는데, 솔직히 실체도 없는 카르텔 탓하는건.. 현정부랑 똑같은 발언 아닌가요?
혁신적인 연구결과를 말하시는거면, 초반에 국가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이동통신 기술 상용화 정도의 기술은 없던게 맞습니다.
다만, etri는 기술료 수입이 전 정출연에서 가장 높은편이며, 규모를 고려한 1년예산 대비로 봐도 정출연중 탑입니다. 그런데, 단순히 혁신적인 연구결과가 없는 기관이라고 ETRI를 콕 집어서 말하실거면, 어느기관이 페르마 님의 기준을 피해갈수잇을지 의문이네요.
ETRI는 분명 선임연구원한테는 큰 메리트가 없는 기관입니다. 평균연봉은 높지만 기술료때문인것도 있어서, 선임기준으로는 (항우연 보다는 높지만) 표준연, 기계연, KIST, 원자력 등에 비해서 꽤나 낮은편에 속합니다. 또한 규모가 커서 오피스도 타기관과는 다르게 회사처럼 칸막이 있는 공간을 사용하고 있고, 규모가 큰 과제가 아니면 (연간 3억이하) 수주자체를 거의 막습니다. 연구실적(논문) 자체에 대한 메리트가 상당히 적은편이여서, 연구욕심이 많은사람이 아니면 좋은논문을 쓰려는 노력을 안하고요. 근데 논문관련된 건 KIST 제외하면 어느 정출연이 당당할수잇을진 모르겠네요.. ㅎㅎ
학교에만 계셔서 그렇게 느끼는건지 모르겠지만, 생각보다 연구는 논문성과로만 평가할수잇는게 아닙니다. 정출연은 애초에 대부분 기관이 특성상 논문보다는 기술이전이 가능한 실용적 연구, 산학간의 협력을 통한 중소기업 성장 등에 더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ETRI를 까실 시간에, 본인은 혁신적인 연구결과를 내시는지부터 살펴보심이.. ㅎㅎ

2023.10.28

참고로 ETRI는 정출연중에서 연간 연구비 대비 출연금 비율이 15%정도로 거의 가장 낮습니다. 따라서, 그 규모 운영하려면 타기관과는 다르게 과제수주를 빡세게 할수밖에 없습니다.
저도 ETRI에 다니면서 수많은 실망을 해서 학교로 옮겼지만, 솔직히 제대로된 정보도 아닌거로 무작정 까는건 보기가 좀 그렇네요. ㅎㅎ

2023.10.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ㅈ같다 얘기하니 다른곳도 ㅈ같아요 실드를 치고 다니면 뭐라 할말이 없네.

IF : 1

2023.10.28

정출연 연구비 카르텔을 모르시나봅니다. 과제 기획 담당 PM과 정출연 그리고 정출연에서 섭외한 교수가 작당해서 특정 정출연을 위한 과제 기획을 하고, 그 과제를 특정 정출연이 손쉽게 수주하는 구조가 있습니다. 그런 과제가 연 3,4 억짜리면 그러려니 하는데, 연20 억 (총액 80억) 이런 과제를 수십개를 헤쳐먹는 것을 옆에서 보고 있으면 어이가 없습니다… 그렇게 수주하고 나서 과제 수행이 안되니까 대학에 용역주고 ㅋㅋ 과제는 80억 짜린데 용역은 몇천만원 던져주고…

현직이신데 이런 상황 모르시는건가요? Etri에서 따온 과제가 다 정당하게 경쟁해서 수주한거라고 생각하시나요

IF : 1

2023.10.28

매번 과제 기획 회의 들어가서, 특정 정출연 떠먹여주려고 거수기 역할 해주는 것도 지긋지긋합니다. 과제 기획회의에서 같은 연구 주제로 정출연에 주면 50억-100억대로 기획되고 대학에 주면 10-20억대로 줄입니다. 왜 그러는거냐고 물어보니, 같은 결과를 내려고 하면 정출연이 돈이 많이 든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부끄러움도 없어진거 같습니다. 대학원생만큼 연구 효율도 안나오는 조직이라는거 아닙니까

2023.10.28

정출연이나 대학이나 수주 카르텔 있는건 맞음
왜 모른 척함? 기획부터 선발까지 측근들로 채우는 거 맞지않음??? 사람 심어놓고 일부러 평가위원으로 가면서 친해지고 입김 다져놓고.. 삼년오년 이어온 관행이 아니지않음?!

대댓글 4개

2023.10.30

넌 어딘데???
알고 말해라
제일 심각한 카르텔은
민(협회 및 기업 등)과 관(관료) 카르텔이다.
관에게 필요한건 자기 자리를 줄 사람들이지
연구능력이 좋은 집단이 필요하지 않음
그래서 그런데는 공격해놓고 퇴직 후 이직함.

2023.10.30

서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대한민국에 알앤디 수주 카르텔 있다는 건 맞네 정출연 대학 창업 죄다 썩은 건 맞음

2023.10.31

어허
그럼 넌 어디냐? ETRI냐?
어디가 덜 하다는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네

2023.11.01

정출연 대학 수주할때 기획부터 선발까지 본인입맛에 맞는 사람으로 구성하는경우가 많죠.
저또한 현직에 있다보니 지도교수나 주변사람 부탁으로 과제기획위원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고요.
정출연뿐 아니라 학교도 사실 짜고치는 고스톱이 많습니다. 특히 대형과제들은 더더욱이요.
대형과제는 또한 PD/정부에 입김넣을수있게 능력없어도 지방거점 대학들 끼는것도 알고계시나요?
그래서 개인적으로 경쟁형과제가 오히려 형평성이 좋아보이긴 합니다.
다만 제도개선을 생각해야지, "어? 카르텔이네? 과제삭감!" 이건 어불성설이라 생각해요.
과제수주뿐 아니라 논문도 보면 다 대가그룹들 카르텔이죠. 그렇다고 논문을 폐지하거나, 논문에 게재하는 숫자를 줄이는게 맞을까요? 더 공평성있도록 에디터 스크리닝 제도개선을 하는등으로 개선이 되어야겠죠.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카르텔이든 뭐든 과제수주를 하는것보다 더 중요한건 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카르텔이라는 말이 맞는지 모르겠지만, 특정그룹이 과제수주를 많이해간다 해도 거기에서 실적을 잘내면 문제 없다고 생각해요. 가장큰 문제는 카르텔이든 뭐든 과제수주를 해가고는 연구성과 못내는 경우겠죠.. ㅎㅎ 뉴스에서 뜨는 모총장처럼요.

IF : 2

2023.10.28

ETRI와 같이 과제하고 있는데 부서마다 다르긴 합니다만 갑질 정말 심각합니다. 일을 하는 것도 아니고 공동연구기관에 떠넘기는 일도 허다하고 저희랑 공동연구하면서 마더로 선 센터장은 "ETRI가 유성에 뜨면 거기 유흥업소가 들썩했다"라는 걸 자랑으로 말합니다. 저희 회사랑 일하고 있는 다른 부서 센터장은 적어도 총괄로써는 관리 잘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같이 일하는 내내 갑질 정말 심각한 수준이었고 70% 이상 예산 삭감됐는데도 성과 핑계로 일 계속 떠넘기고 기관끼리 싸움붙이고 이간질해서 그나마 협업하면서 일 쳐내던 기관들끼리도 관계 어그러지기도 합니다. ETRI 출신 교수가 자기 학생 ETRI에 취업시켜주고 과제 받아서 운영하면서 공동노예로 쓰고 그러다가 책임급으로 승진하면 똑같이 기업에 갑질하고 접대받는 인간이 됩니다. 진짜 쓰레기 집단입니다. 없어지는 게 나아요. 괴수들이 키운 괴수 노예들이 모여서 다시 괴수가 되고 학교에 있는 괴수들에게 노예를 사들여서 다시 괴수로 양성하는 집단인데 성과는 실력으로 뽑히고 연줄은 없는 연구원들을 갈아서 내고 나머지는 정치판이에요. 저희 회사랑 같이 하는 정출연 기관들(대전에 있는 기관들) 중에서 ETRI는 정말 쓰레기 집단 중에서도 탑 오브 탑입니다.

대댓글 1개

2023.10.28

ETRI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정출연이 다 그런거 같네요 너무 똑같아요.. 이간질 시키는거, 공동노예, 지네가 갑인줄 아는 마인드... 수주카르텔 등.. 대한민국 알앤디 썪은거 맞는데.. 대학괴수들도 기업들에 똑같이 할려그러고

2023.10.29

우리 분야쪽 정출연만 그런 줄 알았는데 다른 곳도 그렇구나
달리는 정약용*

2023.10.29

정출연은 필요하고, 다만 대부분의 정출연이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다면, 제도 개선을 해야겠지.
경쟁 없이 자리를 보장해주면 성과 안나오는건 불변의 진리임

그러고 보니 열심히 안하는 학생들보고 그러면 etri사람들처럼 된다던 교수님 말씀이 떠오르네 ㅋㅋ

2023.10.29

글에서 열등감 뿜뿜 흘러나오네

대댓글 3개

2023.10.30

열등감?? ㅎㅎㅎ
요즘에 좋은 곳에서 박사하고 논문 빵빵한 사람이 누가 에트리 선임으로 가나...?
기본봉 4~5천 따리 받고 말야.
에트리 다니는 사람이면 진짜 한심하고
에트리도 못다니는 사람이면 더 짠하네.

2023.11.01

저도 현직이였지만, etri 선임들은 대체로 spk에 논문실적 괜찮은사람들입니다. 최소한 제 동기들이나 저희 실/본부에 입사하는 사람들은 카이스트 출신들이 대다수였어요.
다만 그 사람들이 입사후 저처럼 현타와서 몇년있다가 능력있으면 학교로 옮길 뿐이죠.
최근 cs쪽에서는 네이버/카카오 쪽에 수요가 많아서 etri를 걸쳤던 사람들이 많은데, 최근 cs쪽 취업시장 어려워지면서 다시 경쟁률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프닥이 상위권 정출연 선임으로 들어가는걸 무시하는거면, 페르마씨 기준은 어느정도 인지 궁금하네요. 솔직히 임용이든 정출연이든 임용 프로세스를 밟으신지도 모르겠고요..
탑대학 해외포닥 기준으로는 애초에 거의대다수가 교수임용'만' 목표하는경우가 많아서 kist조차도 잘 안가요.

2023.11.01

'좋은곳' 기준이 미국탑대학이면 맞는말이고, '좋은곳' 기준이 spk중에서도 상위권 랩이면, kist뿐 아니라 정출연 꽤나 많이갑니다.
페르마분이 미국탑10위권대학에서 학위받으신 분이라서 기준이 높으시다면 이해합니다.

2023.10.29

이미 역할을 다한 비대해진 조직이죠. 전자교환기 만든거 말고는 실제로 한일이 없어 보임. 그담에 cdma wibro 등 했다고 하는데. Cdma는 퀄컴에게 배워서 기지국 만든거고 wibro는 상용화도 제대로 못했구. 기타등등도 어정짱함. 특화된게 더이상 없고. 인력도 우리나라 상웨 대학보다 못한 상황에서 인건비만 많이 들어감

대댓글 2개

2023.11.02

말은 쉽게하지ㅜ콜롬버스 달걀 이야기랑 같은 거야.나도학교에 있지만 우리나라 교수들이 체일 편하지
미국 교수님들 방학기간 인건비 반다고 매일 프로포잘에 연구하는데 우리 학교만해도 방학에 나오는 교수님들 거의 없어 그냥 날로 쉬지

2023.11.02

방학에 우리학교 동료교수들은 거의 나오는데. 학생들 지도해야해서. 교수는 자신이 일아서 살권리를 얻은 거니 어쩔수 없는 거 아닐까 싶은데. 나도 오늘 출근 안했지만 온라인으로 학생들 미팅하고 원격으로 컴퓨터 들어가 인공지능 코드수정하고. 그렇다고 이게 뭐 큰 돈이 되거나 엄청난 역작이 될꺼라고 생각하는 건 아미고 그냥 뭐라도 열심히 하다 은퇴해여지 하는 거지요.

2023.10.29

ETRI가 정확히 어떤 의의로 만들어지고 행동해야하는지 대안을 명확히 제시하고 문제점을 정확히 지적하세요.

무식하고 한심하게 자기 감정만 밀어넣는다고 다 말이 되는 건 아닙니다.

적어도 대학원 이상의 학위에 도전하고 계신다면 불필요한 감정보다 근거와 대안을 통해 해결책을 제시하고 설득하십시오.

대댓글 2개

2023.10.29

문제점이 공통되면, 대안 제시를 ETRI에서 해야지 문제까지 겪게 하고 대안까지 제시하라니요.. 돈 받고 멀하시나요 문제 해결을 하셔야지요

2023.10.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안은 지들이 제시해야지 왜 엄한사람모고 해결책까지 말하라 하나?
길거리에서 병신짓하는 사람 말리면 그사람 어떻게 살지 인생계획까지 세워줘야하나?

2023.10.30

가만히 있던 BCI는 왜...

2023.10.30

정출연등 공통적인 문제라고 생각함.
장기적으로는 계속해서 예산 규모 및 권한을 축소하면서 기본급만 주고 연구 관리정도만 시키는 쪽으로 가는게 바람직 하다고 봄.

2023.10.30

난 대학 R&D가 제일 아깝던데
데이터도 엉망이고 다 할줄 안다면서
실제로 되는건 거의 없음

대댓글 1개

2023.10.31

특히 지방대...
점잖은 찰스 배비지*

2023.10.30

구한말 보는거 같네, 탈조선이 미래다

2023.10.31

촤첨단 AI기반사회로 달려가는 이 시점에 사실 구린내 여전히 풍기는 ETRI도 이젠 변화해야 할때 이긴 합니다. 과감히 기존ETRI 없애고, 대신 여기저기 비스무리 연구소들과 (예: 소프트웨어 정책연, 한국과학기술연 등등) 통폐합하여 새로운 미래 한국 IT를 위해 지금이라도 혁신해주세요. 왜냐구요. ETRI 직원 봉급들이 새벽에 청소하고 붕어빵 팔아 모아지는 피땀흘린 국민분들의 세금임을 간과하지 말아 주세요. 국민분들 혈세 치곤 돈이줄줄 새고 있다는건 우리 모두가 이미 끄덕이는 부분이니깐요.

대댓글 2개

2023.10.31

촤첨단 AI기반사회로 달려가는 이 시점에 사실 구린내 여전히 풍기는 대학도 이젠 변화해야 할때 이긴 합니다. 과감히 기존대학 없애고, 대신 여기저기 비스무리 대학교들과 (예: KAIST, DIGIST, 등등) 통폐합하여 새로운 미래 한국 IT를 위해 지금이라도 혁신해주세요. 왜냐구요. 대학교 직원 봉급들이 새벽에 청소하고 붕어빵 팔아 모아지는 피땀흘린 국민분들의 세금임을 간과하지 말아 주세요. 국민분들 혈세 치곤 돈이줄줄 새고 있다는건 우리 모두가 이미 끄덕이는 부분이니깐요.

2023.10.31

이래서 정치권에서 과학계 예산을 편하게 줄일 수 있죠! 잘난사람들이 너무많아 서로 누가 못났네 경쟁만 하거든요.

2023.10.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교 연구 그저 페이퍼웍으로 말만 뻔지르르하지 실용성은 제로에 대부분 재현도 안되는 쓰레기 연구이니 연구비 다 반납하길.

2023.10.31

위탁과제를 과제 떠넘기기로 만들어 버리기 ㄷㄷ

2023.11.01

헐...에트리가 뭘 잘못한지 모르겠지만

없어지면 대안은?

전 그쪽 전공 아닌데 궁금해서....

2023.11.01

여기 어디 공무원들이 글 쓰고 간건가?;;
과기계 사람들이면 이런 글 못 쓰는데

IF : 1

2023.11.02

이런 얘기 솔직히 너무 건방진 거 같아.
자기 조직에서 살아남기 위해 각자의 생존방식으로 최선을 다하는거지 이딴 소리는 왜하나 싶음.
교수는 논문없으면 생존에 문제가 생기니, 논문을 위한 논문이라도 열심히 쓸수 밖에 없는거고.
정출연은 과제가 없으면 월급을 다 못 받으니, 과제를 따기 위해 혈안인거고.
마찬가지로, 회사는 매출에 기여를 못하면 모가지가 날아가니 그 부분에 기여하기 위해서 애쓰는거고.
로마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고, 다들 자기가 처한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거 뿐이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