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 access나 MDPI나 실질적으로 인정받은 SCIE논문인데 그걸 무슨수로 인정안해준다는건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3.10.24
임용 떨어지셨어요?
2023.10.24
하이브레인넷 : 현직자 김박사넷 : 극소수 현직자 + 대다수 학생들 어디가 더 정확할지 잘 판단해보시길. 저도 10위권학교 교수지만 mdpi와 같은 해적저널은 지양하라고 학과장이 누누히 강조합니다.
2023.10.24
정량에선 못빼도 정성에선 충분히 날릴수있음. 정량 순서대로 교수임용되는거 아님.
2023.10.24
정량에선 불이익 주는게 불가능. 정성에선 가능. - 현직
IF : 1
2023.10.24
학과면접때 “제 대표 논문인 mdpi의 xxxx” 이러면 그냥 떨어지는거지요. 학과 면접이 수능 처럼 논문 if로 줄세우는게 아닙니다. 지나가는 현직…
이기적인 찰스 배비지*
2023.10.24
석사 mdpi는 별로에요?
대댓글 2개
2023.10.24
석사 mdpi는 좋죠~ 다만 교수 임용 시에 그걸 대표실적으로 제출하면 안 되요
2023.10.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당연히 별로인데 없는것보단 나음
2023.10.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 임용이아나라 승진 실적은 당연히 카운트 됨. 지거국 교수 임용될정도면 실적 상위 1%였던 사람들인데 댓글로 훈수 두는거 개웃기네ㅋㅋㅋ
대댓글 2개
2023.10.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번년도부터 빠지는데? 어떤교수 MDPI로 실적채웟다고 다른파벌에서 공격하더니 이제 인정 안됨 ㅋㅋ 교수회의에서 자정노력 해야된다고 극딜하고 ㅋㅋ
2023.10.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빠지면 비슷한 데 내면 됨. 엄청난 저널도 아니고 그냥 하위저널들인데 왜리 관심을 두는지 이해가 안되네
2023.10.24
Mdpi 아예 빼는 기관도 있음
2023.10.25
MDPI는 글수준이 너무 낮거나 양상형이 너무 많음. 본인 연구수준이 충분하다 싶으면 다른 곳에 올리셈
답답한 피보나치*
2023.10.25
말도 많은 저널을 굳이 쓰려고 하고 쉴드치려는 이유를 모르겠음
학계에서 인정 안하려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음?
그래도 굳이 그거 쓰려는 건 본인도 거기 리뷰 개판이라 쉽게 붙는다는거 알기 때문 아님?
집요한 도스토예프스키
IF : 1
2023.10.25
임용 문제가 아니라 (어차피 거긴 대표 논문들 다 고려하고 뽑음) MDPI 양치기로 연구 인센티브 아니면 뭐 이상한 우수연구자상 이런걸 휩쓸어가는게 문제지.
2023.10.25
기계적 점수화 평가 단계에서는 특정 출판사 저널만 제끼는건 국립대 특성상 불가능함. 이유는 1) 세상에 그정도 수준, 리뷰수준, 게재료 수준 저널들 많고 많은데 특정 출판사만 제낄 근거가 없음. 2) 리뷰가 부실하다던가 이런 사유로 제끼려면 국내학회에서 발간하는 저널들 거의 다 제껴야함.
2023.10.26
mdpi만 쓰는 교수도 있지요. 잘먹고 잘산답니다. 학생들도 취업이 목표라
2023.10.26
세상에 진짜 이런 사람이 있었네요
2023.10.26
160,000*2,000,000원=320,000,000,000원 1편 평균 2백 책정, 이정도면 국내 it 기업 nc 영업이익이 5천억, 넥슨9천억임.
개인적인 생각이나 대부분 저널들의 open access 정책이 돈때문인듯.., 장기간 closed access가 더 많은 돈을 벌수도 있겠지만 우후죽순 발표된는 논문들로 열람 횟수 적어지고, 에디터, 출판사 직원 재직에 발생하는 수익이 최고점이 oa임. 혹시 치프에디터들도 인센티브 있나요? 아님 출판사에서 모든수입 꿀꺽?
대댓글 1개
2023.10.26
실제론 200 안되죠.. 리뷰 많이하면 디카운트, 무료출판권 뿌리니까요. 기존에 리뷰어를 무료로 부려먹던거에 비하면 아주 합리적인 리뷰 시스템입니다. 그리고 오픈액세스 유지 비용도 꽤 됩니다. 오픈액세스니까 서버비용이 상당할거고 인건비 등등 합하면 못해도 50%는 나갈거에요. 다 제하고 나면 대충 천억원대 아닐까요?
그런데.. 이게 많은걸까요? Elsevior 영업이익이 연간 2조원 수준입니다. 여기 마진이 40% 수준.. Springer가 영업이익 5천억 정도.. 결국 돈의 소스가 어디냐가 차이지 오픈액세스는 돈이 되고 전통 저널은 돈이 안되고 그렇지 않습니다. 검색해보니 Elsevior에서 서울대에 구독료로 27억원을 받았다고 하네요. 이정도면 200만원씩 편당 게재료를 낸다고 해도 1350편을 낼수 있는 돈이네요. 서울대 연간 논문 편수가 4천건 정도인데, 한 출판사에서 이정도면...
거기에 전통 저널들은 대대손손 그 논문 가치가 없어질때까지 뽕을 뽑지 않습니까? 누가 더 남겨먹는걸까요?
2023.10.26
특수분야라 그런지 MDPI논문은 우리분야에선 다 인정받을수있음 리뷰기간짧은거빼곤 리뷰도 철저히 다하는데 뭐가 문제인지 알수가없네 우리분야에선 여자교수는 KCI만으로도 교수되는마당인데
2023.10.26
저도 가끔 mdpi 씁니다.. 기간안에 논문 제출하려면 어쩔수 없을 때가 있죠 이번에도 if 20 은 노려볼만했는데 과제 실적 부족해서 시간이 부족하면 하... 눈문흘리면서 그냥 냅니다
2023.10.28
mdpi와 ieee access의 문제점은 accept비율이 95프로가 넘는다는거.. 당연히 교수 지원할 때 대표논문으로 내면 안되겠지요..
2023.10.29
이제 학생들도 쓰지말라 하는데 ㅠㅠ
2023.11.01
교수임용에 엠디피아이를 실적으로 써내는 사람이 있어요..? 여기저기 안 돼서 털어내는 용 아닌가; ㅋㅋㅋ
2023.10.24
2023.10.24
2023.10.24
2023.10.24
2023.10.24
2023.10.24
대댓글 2개
2023.10.24
2023.10.24
2023.10.24
대댓글 2개
2023.10.25
2023.10.25
2023.10.24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5
2023.10.26
2023.10.26
2023.10.26
대댓글 1개
2023.10.26
2023.10.26
2023.10.26
2023.10.28
2023.10.29
202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