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mdpi나 IEEE Access 평가가 요즘 그렇게 좋아짐?

2023.05.24

18

11929


'mdpi 출판사 (스위스계열)나 IEEE Access (미국계열)에 내면 2~4주안에 게재승인 및 출판할 수 있어요

최근 리뷰나 에디터 퀄리티가 확보됐다는 평이 많기 때문에
SCI 중에서도 Q1평가받는 곳도 많아지고 있어요
예전처럼 누구나 다 통과되는게 아니라, 전통저널보다 훨씬 통과되기 어렵다는 평도 많습니다'


--------------
이런 댓글을 봤는ㄴ데
이게 사실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3.05.24

mdpi 진짜 사골질문이네 질리지도 않은지..
mdpi 도 나름이고, 윌리저널도 나름이죠. 네이처 출판지빨로 초창기 반짝한 sci report는 말할것도 없고요.
mdpi내에서 폴리머나 센서와 같은 저널은 거기 냈다고 학계내에서 눈살찌푸리면서 해적저널이라고 말하는사람 없습니다. access도 마찬가지고요.
그중에서는 q1에 해당되는 저널들도 분명 있겠죠.
mdpi 폴리머와 센서스에 리비전 몇번해봤는데 분명 내기만 한다고 다 어샙주는 저널은 아니였고, 저도 실적발표때문에 access 냈는데 한명 리뷰어가 난리쳐서 원래 바이너리 리비전인데도 리비전2번했습니다. 그사람은 transaction이라 생각한수준으로 리뷰어했더라고요.
여튼 둘다 낸다고 다 받아주는저널은 아닙니다. 반대로 또 내기 엄청 어렵거나, 좋은저널들이랑 비교할수있는 정도는 아니고요.
그냥 평가받을때는 그 수치 그대로 평가받아요. 물론 특정분야내에서는 당연히 저널들중에서도 학계내 평판좋아도 if/jcr 박살난것들도 있고, 반대로 리뷰프로세스 쉬운데도 1-2%저널인 곳들도 있는것처럼 수치로 저널평판을 알수없는것들도 있지만.. 잡구할때는 그냥 수치 거의 그대로 평가받습니다.

IF : 1

2023.05.24

mdpi에서 가장 높은저널 해봤는데, 리뷰어 3명에 라운드도 4인가 까지 갔었어요.

2023.05.24

아무리 개선되었다고 해도 해적출판사였던 과거는 지워지지 않습니다. 당연히 좋은 논문도 출판되지만 꼬리표를 떼긴 힘들듯..
명석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IF : 1

2023.05.24

비판도 많이 받는데, 무작정 오픈 억세스라고 지금 이 수치가 나올 수는 없습니다. 시대의 흐름에서 수요를 잘 읽었고, 특히 한국에서 잘 먹혔죠. 임용 심사 및 정량적 평가에서 급한 실적은 전통 있는 Q2

대댓글 2개

명석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IF : 1

2023.05.24

저널 6달 7달 보낼 바에야 여기 보내자.. 해서 보내는 경우가 많은 듯 합니다. 물론 그 양반들도 전통있는 저널 내는게 더 낫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그냥 내는거죠. 거기서 떨어지고 다시 보내도 될만큼 리뷰 프로세스가 빠르고 이득이거든요.
명석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IF : 1

2023.05.24

그 대신 다른 동료 연구자들도 다 이런 사정을 알기 때문에, 메인 연구 업적으로 내놓고 쓰기엔 무리가 있다는 것도 확실합니다.

IF : 2

2023.05.24

옹호댓글이 많이 보이는데 절대아님. 전통저널보다 어렵다는건 진짜 말도 안되는 소리고
가끔 깐깐한 리뷰어 만나면 고생하는거야 예전부터 그랬던거고, 리뷰어 둘중 한명 꼴로 비전문가에 리뷰가 뮈 다섯줄 이내로 오는 경우도 많음.
애초에 일주일 리뷰기간으로 정상적인 리뷰가 될수없음.

메이저리비전 판정나면 일단 리젝 주고 재투고 요구하는데 가끔은 마이너리비전급도 리젝 후 재투고 요구함. 결국 억셉률 조정하려는건데 억셉률이 일정수치 아래여야 scie를 유지할수 있으니깐...
암튼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밑바닥이고 그냥 실적 급할때 내거나 여기저기 리젝받고 떠도는 논문 내는 곳이라고 봐야됨

2023.05.25

어짜피 실적용으로 내는 곳들인데 좋고 나쁘고가 뭔 상관인지를 모르겠네.

2023.05.25

IEEE는 왜걸고 넘어지나? ㅋㅋㅋ

대댓글 2개

2023.05.25

IEEE말구... IEEE access...

근데 왜 반말하나?ㅋㅋㅋ

2023.05.25

본문에
이런 댓글을 봤는ㄴ데
이게 사실임????????

이건 존댓말이냐? 웃긴놈일세

2023.05.25

mdpi보단 아주 조금 낫지만 IEEE Access 나 scientific reports 같은 OA는 정말 내지마라. 거긴 에디터가 대놓고 novelty 때문에 reject하지 말라고 가이드라인 나오는 중하류 수준의 저널임. IF가 결코 전부가 아니다. sensors 가 mdpi 중엔 낫다고 하지만 그나물에 그밥임. 진정한 intuition 을 주는 논문은 단 한명도 본적이 없다.
다만 자료 조사할때 review 논문들은 열심히 써놔서 그나마 도움은 되더라 나머지는 technical report 수준의 논문들임. 간혹 정말 훌륭한 논문들도 있는데 대부분 좋은 journal 에 낸 논문에 조금만 바꿔서 self copy 한 논문이더라.

2023.05.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Mdpi 찝찝해서 정성들인 논문은 잘 안내요 그냥 실적채우기요으로 가끔 냄
재빠른 요하네스 케플러*

2023.05.27

매이져 대학에서는 안냅니다. 저같이 2류대 겨수들이 학부생들하고 석사생들하고 한 결과 내죠

대댓글 1개

2023.10.27

약탈저널 발표 대학순위 기사 안보셨나요?

2023.05.27

IEEE Access 괜찮은 리뷰 논문이나 결과가 애매해서 저널에 낸 것들도 있는 것 같던데 인식이 원래 그렇게 안 좋은가요?
뻔뻔한 르네 데카르트*

2023.05.28

서울대는 내부적으로 mdpi 내지말라고 전체 메일 왔어요

2023.10.27

기사에 약탈저널 가장 많이 발표한..대학? 이지 않았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