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MDPI 수준 글에 IEEE Access는 그나마 낫다라는 댓글이 있길래
궁금해서 글써봅니다..
제가 보기에는 도찐 개찐인것 같은데 그래도 IEEE 마크 달린게 좋더 나으려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뻔뻔한 피보나치*
2022.10.05
센서스는 나름 mdpi먹여살리는 저널 아닌가요?
2022.10.05
출판사의 명성도 무시못하긴하죠. 게재난이도가 비슷하다고해도, MDPI에서 가장 좋은저널인지, IEEE에서 가장 출판이 쉬운 저널인지 차이니까요.
access는 조금 분야가 폭넓긴해서 정확한 비교가 어렵지만, 센서관련연구로만 볼때는 IEEE sensors/mdpi sensors/IEEE access다 거기서거기긴합니다.
분야외사람들이면 IEEE access를 좀더 긍정적으로 판단할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실제로 꽤 좋은저널위주로 내는 연구실들을 볼때도 플젝실적용으로 IEEE access는 가끔내는편인데, mdpi sensors는 사실 많이내는편은 아닙니다.
대댓글 1개
2022.10.05
좋은저널 위주로 내는 연구실 입장에서볼때는 어차피 둘다 프로젝트 실적용으로 제출하는 느낌입니다. 다만, sensors나 polymer 저널을 타겟해서 말한건아니지만, 학교/학과내에서 mdpi 제출 자제해달라는 요청도 간혹오기때문에, 여러가지를 감안해서 IEEE access에 내는게 있는것같습니다.
2022.10.05
어짜피 둘다 서브실적용. 서류점수채우는 실적 그이상그이하도 아니라 어디가 낫고 나쁘도 따질게 전혀 없긴 합니다. 어짜피 정성땐 보지도 않을 텐데요
대댓글 1개
IF : 5
2022.10.05
어차피
속편한 안톤 체호프*
2022.10.05
Accees 최근 3년간 중국발 게재수 25000건임.
바로 아래가 미국인데 4000건밖에 안됨(?).
요새 모든 저널이 중국발 게재가 많긴한데 저 수치는 진짜 비정상적인 거임.
sensors도 저렇진 않음.
대댓글 2개
속편한 안톤 체호프*
2022.10.05
추가로 mdpi는 모두 OA라서 주제별로 세분화되서 저널들이 나오는데
Access는 진짜 개판오분전임. 아무리 Multidisciplinary를 표방한다고 해도 뭐랄까 논문들이 중구난방임.
mdpi는 이름부터 이미 Multidisciplinary가 들어가고
그래서 주제별로 저널을 생성하니 주제의 어느정도 통일성이라도 있는데
IEEE는 이미 주제별로 저널이 다 있는(Transactions series) 상태에서
돈벌려고 Multidisciplinary OA 저널을 만들어서 Trans에 못들어가는 주제들이 흘러내려와서 게재됨.
그러다보니 각 주제의 기여도가 크지 않은 수많은 논문들이 뒤섞여서 개판이란 얘기임.
실제로도 2019년부터 어마어마하게 게재수를 늘려서 퀄리티 컨트롤에 실패함.
그결과로 IF 매년 감소하고(IF 감소는 생각보다 쉽지않음)
속편한 안톤 체호프*
2022.10.05
아 의외로 연구초기단계에서 아이디어 좋은 논문이 보이기도 함.
한마디로 논문들의 수준이 같은 저널이라고 보기에 힘들정도로 편차가 큼.
분야별 5%이내 최상위권 저널의 수준이 8~10정라고 치면
Access는 1~5정도로 수준 편차가 큼. 어쩌다 7~8정도 되는 수준의 논문이 보임.
sensors도 사실은 비슷함. 그나마 주제의 통일성이라도 있으니 덜 개판같아 보임.
사려깊은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2.10.05
그게 그거임...솔직히
2022.10.05
둘 다 취급안해요
2022.10.06
그래도 실적잘내는 연구실에서 둘중하나 내야 한다하면, access 냅니다. Trans 찔러볼만한 주제였는데 살리기엔 여유치 않을때 내는 곳이란 이미지가 있어서요. Access IF 떨어진거야 수학과나 기계과 같이 평균 IF1 언저리 되는데에서, 명성있는 출판사에 그쪽 분야 입장에선 IF도 높으니까 내서 떨어지는 거고요.
대댓글 1개
사려깊은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2.10.06
access는 그냥 다 실어주니까 내는거임
2022.10.06
취향차이... 라고 보면 될듯 하네요..
센서 토픽이면 wiley쪽 AM AFM AElM small 정도로 넣으려고 할거 같은데... 돌고돌아 갈데없으면 small science 이런데도 있고... 그보다 아래급은 어디넣을지 고려할 필요가 있나요... ㅠㅠ 만약에 조금만 신생랩이라 인적 물적자원 다 부족하고 졸업해야하는 학생이 있다고 가정하면, 리뷰프로세스 짧고 퍼블리시 빨리되는 쪽으로 선택할거 같네요. 아니면 개제료가 더 싼곳으로
IF : 1
2022.10.06
대세 의견은 역시 도찐 개찐 맞네요 ㅋㅋㅋㅋ 뭐 이렇게 말하는 저도 실적 때문에 mdpi나 access 낼지도 모르겠습니다..허허허
IF : 2
2022.10.06
자꾸 이런 어그로 글들이 올라오는 게 김박사넷 수준이 낮아진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널들의 급을 나누고, 저널들을 무시하는 발언들을 굳이 왜 하는 지 모르겠네요.
아마,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 중에 그런 곳에 논문 낼 실력도 없는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여러분들이 아는 좋은 해외 명문대학 뿐 아니라 skp에서도 서브 실적으로나 생각보다 잘 안 나온 결과들에 대해 저런 저널들에 논문 많이 냅니다.
한 번 scholar google같은 데서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자꾸 급을 나누고, 무시하는 발언들이 왜 이렇게 김박사넷에 많아지는 지 모르겠습니다.
대댓글 1개
속편한 안톤 체호프*
2022.10.06
급을 나누는건 아니고 사실 나누어져 있죠.
다만 급이 높고 낮음을 가지고 무시하는 듯한 발언을 지양해야겠죠.
서울대 나온거 자랑안해도 남들이 알아서 인정해주는데 굳이 '서울대 미만잡' 이라고 말하고 다는 사람 보면 얼마나 사람이 천박해보여요. 신기한건 서울대 나온사람은 잘 안그러는데 오히려 서울대 못가본 애들이 "서울대 미만잡"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는거죠.
비슷한 원리로 님께서 하신 말씀 중 아래 문장은 꽤나 맞는 말이죠.
"아마,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 중에 그런 곳에 논문 낼 실력도 없는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출판사들이 아무리 장사를 한다고 해도 여기서 언급된 저널들은 정상적인 리뷰프로세스를 거쳐서 게재가 됩니다.
뻔한 소리를 해도 해당분야에 이해가 있어야 하는 것이고 조금이라도 기여도가 없다면 게재가 힘들죠.
뭐 취급도 안한다. 그딴 곳에 쓰는 사람들 수준떨어진다. 등등... 아마도 그딴 곳에도 못쓰는 사람들의 자기위로이지 않을까...싶습니다. 싸잡아서 욕하면 자존감이 올라가는 것처럼 느껴질수도 있으니까요.
2022.10.05
2022.10.05
대댓글 1개
2022.10.05
2022.10.05
대댓글 1개
2022.10.05
2022.10.05
대댓글 2개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6
대댓글 1개
2022.10.06
2022.10.06
2022.10.06
2022.10.06
대댓글 1개
2022.10.06
2022.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