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정도면 정신병인듯
인천대 가천대보다 낮은데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38 - 과고시절 돌이켜보면 그 안에서도 어떤 친구는 압도적 재능으로 자습때 맨날 잠만자도 성적 잘 받고, 어떤 친구는 극성엄마가 학원 뺑뺑이 돌려도 중하위 못벗어남.
뭐 동창충 최하위들도 연대 성대는 갔으니 그친구들도 똑똑한 애들이긴 했지만..
무튼 머리 팍팍돌아가는 반짝반짝한 친구들은 누가 가르쳐도 잘 하고, 나중에 크고보니까 환경적으로 부모 재력/학력/유전도 중요하지만 모나지 않게 기르는 극단적이지 않은 집안분위기도 엄청 중요한 것 같음.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1 - 바이오고 지금은 포닥중입니다. 저도 작성자분과 동일한 고민을 꽤 많이 했었고, 실재로 선배든 후배든 학위과정에서 동일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저는 이런 의문이 드는 이유가 바이오가 갖고있는 특성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과학은 정확한 메커니즘과 증거 및 재현 등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바이오는 그 특유의 복잡성 때문에 완전히 이해하고 무언가를 행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이오분야는 특히나 변인통제에 힘을 쓰는 형태로 발전해 온 것이겠죠.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작성자분의 고민은 바이오분야라면 누구나 갖고있는 고민이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받아드려 그 안에서 확실한 결과를 만들기 위해 완전한 실험 디자인을 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물론 한 분야를 깊게 파다보면 소위 말하는 통찰력이라는게 생겨 그 찍기가 맞을 확률이 상당히 올라가긴 합니다.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10 - 댓글 보면 한국이 왜 이런거는 후진국인지 알수있음. 대학원 갔으면 학부 학벌 타령할 시기는 지났는데 아직도 학부타령하고있음 ㅋㅋㅋ 주로 실적 부족한 애들이 학벌 타령하는듯.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21 - 니가 교수 입장이 되어봐라 인턴 깔짝하고 타대 지원하려는 애들이 9할이다. 뭔 일 시켜 ㅋㅋㅋ 학부생 인턴한테 무슨 일을 시켜???? 수준도 안되는데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0 - 그래 뽑지 마세요 그럼 ㅋㅋㅋㅋ 인턴 뽑아주는게 자원봉사한다고 생각하는 교수가 있는데 진짜 노가다 반장이랑 마인드랑 하는말이 똑같음.
그게 뭐 본인들의 한계인듯.
나는 학부생 애들 최대한 챙겨주고 최대한 월급을 주려고하는데 안그런 사람이 많다는게 안타깝네. 보상에 대해 물어보는거 자체가 기분잡친다는 사람은 진짜 인성 글러먹은듯.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5 - 별로에요 누른사람은 속이 1평남짓인듯 ㅋㅋㅋ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10 - 뽑지마셈 그럼 해결되는거아님? 뽑는 이유가 뭐임. 일정 노동력과 더불어 석사진학생 가려받으려는 목적이지않음? 본인 목적은 챙기고싶고 학생 목적은 무시하는게 교육자가 맞나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9 - 결과 나오지도 않았는데 속이 어떻게 1평인데 ㅋㅋㅋㅋ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16 - 진짜 대학원 입학보다 랩실 컨텍이 어려워요
저라면 컨택된 포스텍으로 팝니다.
카이스트 포스텍 면접이 겹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9 - 의미도 없는 앞에 '수상경력 10개넘지만' 은 왜 적어놓는 거임? 자랑하는거임? 어쩌라는 글 인지를 모르겠음
카이스트 오늘 1단계 합격자 나오니까 무섭네요
9 - 좋고 나쁨의 기준을 어떻게 바라보기에 이런 질문을 하는건가요?
구체적으로 연구시설의 규모나, 투자, 커리큘럼 등 세부적으로 비교를 통해 상대적 가치를 매길 수 있겠죠.
그러면 글쓴이는 좋은 사람인가요?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10 - ㅋㅋㅋㅋㅋㅋㅋㅋ경북대세요 왜케 예민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10
선후배와의 관계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2023.09.16

후배는 선배의 실적을 돕는다.
이게 저의 원칙인데, 같은 프로젝트의 팀원이라는게 전제되어야 합니다.
같은 과제에 이름 올라와 있는데,
후배가 일을 안한다?
그냥 교수한테 보고 넣으면 끝납니다.
교수가 방치형이다?
그냥 혼자하고 후배 알려주지 마세요.
방치형이라도 과제 던지고 노는 후배편을 들어줄 비이상적인 교수가 어디있겠습니까.
후배가 개긴다는 증거는 뭐 그냥 녹음기 갖고 다니시다가 후배 개기는 거 녹음에서 교수한테 까세요...
아님 카톡도 까도 되구요.
본인 실력에 자신있으면 후배한테 알려줘도 상관없습니다.
대신 FM대로 알려주세요.
잡아먹힐 걱정을 해서 푸시같이 갑질하면서 알려주는 건 꼴사납습니다.
실험 테크닉이나 이론이 알려준다고 자기것이 됩니까?
어차피 본인이 고민하고 공부해야 본인 것이 되죠.
FM대로 알려주고 후배도 고민하면서 자신 만의 노하우가 생기도록 도와주세요...
노하우는 진짜 아끼는 후배한테 알려주세요.
FM대로 알려주는 것과 노하우 알려주는 것을 구별해서 아껴주는게 서로에게 좋은거라 봅니다.
같은 과제의 팀원이면 과제 성공을 위해 서로가 서로를 도와야 됩니다.
후배가 개긴다 싶으면 10개 알려줄거 5개만 알려주구요.
교수, 선배, 후배 이렇게 3명이 과제인력이면, 실무자는 선배입니다.
후배가 말을 안들으면 오히러 나가야 되는건 후배죠.
교수도 선배 편일꺼구요.
푸시같이 후배의 퇴근시간 조지기, 후배 험담... 같은거 하지말고, 그런게 쌓였다면 진지하게 서로 풀 거 풀고 즐겁게 삽시다.
후배편을 드는 느낌의 글을 작성했는데,
왜냐면 갑은 선배가 얼마든지 될 수 있으니까요.
TMI) 전 선배에게 이론을 물을 때, 이론 정리해서 깔끔하게 PPT로 만든 후 선배에게 조언을 구합니다.
선배도 잊어버렸을 수도 있거든요.
이거 같이 공유해서 서로가 윈윈하는 관계를 가져 나갑니다.
후배가 제 한테 물어보면, 뭘 묻고 싶은지 깔끔하게 하고 와라 합니다.
말로 대답해주면 듣고 흘리거나 이해못했는데 고개 끄덕이고 다시 물어보는게 짜증나서요.
배우려면 이 정도 노력은 해야지....
그럼 진짜 배우려고 깔끔히 정리해서 오는 얘가 있고 제 뒷담까는 놈이 있는데, 모든 사람이 제 편인걸요?ㅋㅋ
여튼, 선배면 갑의 위치니 영리하게 후배 써먹으세요.
그리고 후배의 성장도 생각하시고 후배 고마운줄 아시면서...
후배의 부고 김GPT 150 14 21255-
11 42 7934
연구실에서의 선후배 동료와의 관계 김GPT 4 4 4539
선배가 있는 랩실 김GPT 0 5 5549
후배를 어떻게 대하는게 좋을까요? 김GPT 0 4 1054
선배가 잘 모르면 김GPT 0 11 1441
정출연간 선배 조언 들어본 후기 김GPT 7 8 8455
이간질 하는 후배녀석 보아라 김GPT 29 18 4415
요즘 들어 생각나는 아련한 선배 김GPT 18 19 4681-
247 19 31637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 명예의전당 140 104 80983-
332 70 9375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294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60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6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7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8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42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2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28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4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36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23 -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27 - 회로설계 랩실 어느 정도로 힘든가요? 이게 정상인가요.?
9 - 카이스트 오늘 1단계 합격자 나오니까 무섭네요
11 - 생각해보니 결혼은 언제하죠
16 - 카이스트 포스텍 면접이 겹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5 - 대통령과학장학금
20 -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26 - 할 거 없어서 정리해본 국내 대학 QS 공학계열 종합 순위
10 - 현재 환경에서 스승의 날 챙기는게 맞는걸까요?
8 - 연구실 내 인간관계
18 - YK 전전 연구실 고민
12 -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294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60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6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7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8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42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2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28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4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36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09.16
2023.09.16
2023.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