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Open Access 관련 Peer 리뷰 및 기타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행복한 라이프니츠*

2023.09.14

5

1814

논문을 투고하려고 하는데, 제가 많은 경험이 없어서 도움을 구하려고 합니다.

주변 사람들이나 지도교수님께 여쭤봐도 되긴한데,
General 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저희 분야에서 알아주는 저널에 투고하려고 합니다.
근데 이 저널에는 open access의 type으로도 출판을 하더군요.

1) Open access 면 peer review 난이도가 regular paper보다 낮을까요?

2) 각 분야에서 알아주는 저널의 open access 논문은 알아주나요? MDPI 같이 평판이 안좋다던가...

3) Open access 는 리뷰 프로세스가 빠른 편인가요?

개인적인 생각인데...이 것에 대해서도 의견을 구하고 싶습니다.

처음으로 쓴 논문이 Q1 (상위20퍼) 저널로부터 리젝먹고,
"실적이라도 채워야겠다" 싶어서 저희 분야의 마지노선 저널에 투고했었습니다.

리뷰도 생각보다 쉬웠고 1달만에 리뷰 프로세스가 끝나서 좋았습니다 (MDPI는 아니고... 물리학의 마지노선인 저널입니다).

지금 투고하려는 논문...
솔직히 낮은 곳 투고해서 쉽게 쉽게 가고 싶은데,
저의 지도교수님은 일단 높은 곳에 내보자고 하십니다.

전 사실 논문 쓰는 행위에 가치를 가장 크게 둬서 저널의 수준은 잘 신경 안씁니다.
논란이 있는 저널만 아니면..

하나의 연구가 마무리 되어 매듭지어지는 것을 보면 마음 한 구석이 홀가분해지고 행복해집니다.

그래서 굳이 높은 저널써서 리뷰프로세스도 빡세고 오래걸리고... 고생을 사서 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상위 저널에 투고하면 좋은데,
지금 저의 생각은 "굳이?" 입니다.

생각을 고쳐먹어야 될까요?

전 걸작을 다작하는 1류보단
수작을 다작하는 2류가 되고 싶습니다.
(사실, open access 가 투고되기 수월하고 평판에 문제 없으면상위 저널에 쓰되, open access 로 내는게 어떻겠냐고 이야기 해볼 생각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3.09.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오픈엑세스도 다 같은 저널이 아닌데,
정확한 저널 명들을 말씀을 해주세요.

2023.09.14

1) 개인적 경험으론 차이 없음

2) 캐바캐

3) 경험상 그럼. 주로 내던 저널이 open access로 바뀌었는데 스피드가 확실히 빨라짐

2023.09.14

보통 저널에서 오픈억세스로도 출판하는건 투고료 더 내면 오픈 억세스로 전환해준다는거임.

2023.09.14

Gold Open Access가 아닌 Open Access 옵션이 있는 구독형 저널에서 Open Access는 grant의 요구를 들어주거나(미국의 경우 세금이 들어간 모든 연구에 모든 시민이 pay 없이 access가 있어야 함)나 논문 열람 수를 높이기 위함에 불과합니다.

1) 리뷰 - 차이 없습니다.
2) 평판 - 그냥 그 저널 평판 그대로 따라갑니다.
3) 리뷰 프로세스 - 차이 없습니다.

예, 다시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리뷰가 오래 걸려도 조금이라도 더 좋은 저널에 내는게 훨씬*100 좋습니다.

논문 1편을 얼른 마무리 지으려는 석사과정이라면 달리 생각해 볼 수도 있겠지만, 박사과정이라면 그 리뷰기간 아무것도 아닙니다.

대댓글 1개

행복한 라이프니츠작성자*

2023.09.14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MDPI나 IEEE ACCESS 같은 OPEAN ACCESS 면 수월할까라고 착각했습니다.

상관없는 거였군요.

좋은 저널에 내려는 마인드를 갖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