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본인이 잘 하면 그걸로 된 것이지 괜히 댓글에서 열등감 팍팍 묻어나네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2 - 랩미팅에 조급하지 마십시오 디펜슨가요? 디펜스가 아니라면 본인의 생각, 논리가 이미 다른 사람이 생각했다는 것 입니다
글쓴이가 그 글을 보고 생각한 것도 아니며 혼자서, 가지고 있는 지식으로 특정 가정을 산출 하였다 그러나 이미 논문화 되어 있다 이 얼마나 멋진 일인가요
제가 생각한 연구가 이미 나와있네요 하하…
14 - 1저자만 님이면 공저자가 몇명이든 상관없습니다. 반대로 다른 사람들이 논문쓸때 님이 공저자로 들어갈수도 있는거구요. 그리고 메소드 파트만 쓴건 논문 쓴게 아닙니다.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11 - 위에 댓글보고 충격받았는데 공저자를 저렇게 막 끼워넣고 그거에 대한 문제의식이 전혀 없는 랩이 많나요? 몇년전에 난리였던 논문 품앗이랑 다를게 없는데요.
학생 입장에서 강하게 주장하기 어려운 상황인건 이해하지만 최소 저자를 이렇게 남발하는게 연구윤리적으로 잘못됐다는건 인지하고 계셔야합니다.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13 - 지방에 박혀서 시야가 좁으니 이런 이야기도 당당하개 할 수 있는게 제일 장점인듯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27 - 원고도 메소드 부분은 거의 전적으로 제가 다썼거든요
연구윤리나 저자 정하기를 엄격하게 적용하면 이게 더 큰 문제고 원글자 1저자 못 받아요.
본인은 좋은게 좋은 식으로 일저자 가져가면서 공저자 선배들 들어가는건 이렇게 길게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과는 같이 일하고 싶지 않네요.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11 - 디지스트 판박이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2 - 평생 뒤통수나 치면서 사시길 바람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19 - 상심이 크시겠지만 그냥 개인의 실수인 것 같습니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25 - 서울에 있으면 시야가 넓다고 생각하는게 더 웃김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14 - 저 정도면 누가 뒷문열고 들어왔을거라 생각이 자연스레...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2 - 행정대학원을 목표로 하신다니 다른 학교 가셔서 이 경험을 바탕으로 '행정실수와 사후대응'에 대한 연구를 하시고 논문을 쓰시면 좋을 듯 합니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5 - 애처럼 구는걸 알면 상대방을 배려해주세요. 대학원생이나 됬는데 스스로 해결하고 고민하세요. 그게 연구입니다.
진짜 진짜 도저히 고민하고 안되는 부분을 정리하고 깔끔하게 메일이나 미팅 때 질문하고 그런것도 능력입니다. 하나 막힌다고 물어보는게 아니고, 하나 막히면 다른 부분 진행했다가 또 막히고.. 그런걸 잘 정리해놓으셨다가 기회 될 때 물어보는겁니다. 교수의 시간하고 학부생의 시간하고 과학 발전 측면에서는 가치가 하늘과 땅차이 입니다.. 남의 시간 귀한줄 아세요.
논문쓰다가, 논문읽다가 이해안된다고 모르겠다고 쫄래쫄래 교수님방 가거나 메세지 보내는건 초딩도 아니고..
아무리 교수님이지만, 물론 열심히 하고 배우려는 자세를 가진 제자가 좋으시겠지만, 뭐든 과하면 안좋습니다.
글쓴이도 스스로 깨우치고 공부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기르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이제 중고등학생, 심지어 학부생도 아니잖아요?
백번 양보해서 석사학생이면 뭐.. 어차피 학계에 평생 있을 사람도 아닐 확률도 크고 금방 졸업하니 괜찮은데,
박사과정이라면 잘못됬습니다. 교수님이 착하셔서 그냥 받아주시는거 같은데 글쓴이한테도, 교수님한테도 전혀 득 되지 않는 행동입니다.
박사 학위를 얻으시고 싶다면 우선 마인드부터 뜯어 고치셔야겠습니다. 물론 배움의 열정은 계속 유지해주시고요.
다른 학생들은 교수님이 일을 너무 많이시키셔서 문제라는데
14
파트박사
2021.07.25

사실 석사를 지역에 있는 대학에 갔는데 정년 임박 교수님이셔서 딱히 배운건 없고요.. 석사 학위 주제를 가지고 정작 논문을 쓴건 예전 출연연에 같은 부서에 계시던 박사님이 학교에 옮기셨는데 그 분이 사실상 거의 논문 주제도 잡아주시고 논문 리비젼도 해주셔서 논문을 처음으로 SCI에 냈습니다.
그런데 박사 꿈이 있어요. 그런데 이제 결혼도 했고.. 부서에서도 여전히 직장이 있는 대전권만 주 1회 시간내서 보내준다는 입장입니다. (이게 기술원이 연구원 신분 전환하는게 말이 많아서 위에서 잘 안하주려 합니다.) 그런데 저 논문 봐주신 교수님께 박사를 가는게 제일 현실적으로 나아보입니다. 이미 논문을 같이 써본 경험도 있고 인간적인 유대감도 있고 연구원에서도 제일 연구원 중에서는 사이가 좋고 배운 것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수도권 대학이라... 부서에서 OK는 안해줄듯 하고.. 교수님과 상의하니 교수님께서는 부서 허락받아 오면 가장 좋겠지만 아니면 그냥 와도 된다. 등록금은 좀 부담이겠지만 그냥 코스는 비대면으로 듣고 일은 지금 연구원에서 하고.. 꼭 필요한 날만 휴가내고 와서 학위하더라도 다 인정해주겠다고 하셨습니다.
그 분 입장에선 제가 출연연에 있는 장비 1-2개 다루는게 있는데 연구에 필요한 것들이라 그것을 잘 해준다면 괜찮다고 보시는 것 같고.. 2022년부턴 코로나 끝나면 수업이 대면이 될수도 있는데 어차피 금요일 하루에 수업이 몰아 있어서.. 정 안되면 좀 휴가 내고 가서 하는 경우들도 있는 모양이에요.
와이프는 어차피 할 박사라면 일찍하는게 낫다고.. 해서 저렇게 좀 해보려 하는데 어떨까요. 물론 부서에 절차를 안거치고 한다는게 좀 그렇긴 해도 어차피 학교 다니는거야 제 사정이라.. 규정상 크게 문제될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절차를 거치면 공식적으로 하루 비워도 되는건데.. 이것도 석사때 보니까 어차피 매번 결제사항이라 맘편하지도 않더라구요.
박사는 어떤 사람이 해야하는건가요? 김GPT 4 26 10638
박사 자퇴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김GPT 15 12 5211-
0 19 9471
의전원과 대학원 사이에서 고민중입니다 김GPT 4 24 5993
박사과정 진학 고민입니다.... 김GPT 4 9 4994
석사전문연구요원 중 파트박사 김GPT 0 12 5963
문과 학부 나와서 공학 박사 중인데 김GPT 2 6 7763
박사고민중입니다 김GPT 0 2 3707
파트박사는 졸업요건이 다름? 김GPT 4 5 4781
연구실을 옮기는 것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2 33 23918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46 32 49379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명예의전당 217 36 3746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310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53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20 -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25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39 - 생각해보니 결혼은 언제하죠
11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6 - 카이스트 전산학부 코딩테스트
5 - 학위 과정 중 불합리함을 느끼며 학자분들께 자문을 구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6 - 박사 진학 하려는 내가 나르시스트 상사에게 낚이다! (야근하다가 빡쳐서 쓰는 글)
19 - 학생들 이뻐 죽겠네.
18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35 - ai탑티어는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38 - YK 전전 연구실 고민
16 - 인공지능 학회, 저널중 어떤거 쓰나요?
10 -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25 -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19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3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12 - 리비전 메일 왔는데, 긍정적인 신호가 있을까요?
8 - 포스텍 ai 대학원 합격했네여
7 - 다른 학생들은 교수님이 일을 너무 많이시키셔서 문제라는데
9 - ai 탑티어 논문 제출시
7 - 포스텍 배터리공학과 합격
8 - 켄텍 대학원 인식이 SH과 비교했을 때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310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53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20 -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25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39 - 생각해보니 결혼은 언제하죠
11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6 - 카이스트 전산학부 코딩테스트
5 - 학위 과정 중 불합리함을 느끼며 학자분들께 자문을 구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6 - 박사 진학 하려는 내가 나르시스트 상사에게 낚이다! (야근하다가 빡쳐서 쓰는 글)
19 - 학생들 이뻐 죽겠네.
18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35 - ai탑티어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15 -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38 - YK 전전 연구실 고민
16 - 인공지능 학회, 저널중 어떤거 쓰나요?
10 -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25 -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19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3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12 - 리비전 메일 왔는데, 긍정적인 신호가 있을까요?
8 - 다른 학생들은 교수님이 일을 너무 많이시키셔서 문제라는데
9 - ai 탑티어 논문 제출시
7 - 포스텍 배터리공학과 합격
8 - 켄텍 대학원 인식이 SH과 비교했을 때
7
2022.06.14
20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