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미국 유학 합격에 대한 가능성과 세부분야 선택에 대한 조언을 받고 싶습니다.

2025.06.03

14

965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4학년 재학중인 학부생이고 전공은 건설환경(토목),yk라인입니다. 현재 학점은 평량평균이 직전학기까지 3.5/4.3(3.44/4.0)이고 아마 이번학기 끝나면 3.5-3.53정도 나올 거 같습니다. 이 외에 스펙이라 할만한 것으로는 ai심화전공(3.92/4.3), 자교 랩실 인턴 5개월, 교내 창업프로그램 한 학기, 인턴하면서 진행한 개인프로젝트(타분야에서 많이 쓰이는 시계열 딥러닝 모델 개조를 통해 토목 domain에서 좋은 성능을 냈고 국내 저널이나 scie등재, q2-q3정도인 곳에 투고 준비중)를 통해 작성 중인 영논문 1개가 스펙의 전부입니다.

현재 미국 석사를 준비 중이고 목표는 탑 15를 목표로 나가고 싶은데 펀딩은 당연히 받으면 좋지만 석사라 힘든 것 알고 있습니다. 금전적인 문제는 부모님께서 일단 걱정하지 말라하셔서 붙는 것 자체에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제가 토플을 보수적으로 잡고 약 90~100정도 나온다는 가정하에 목표하는 수준의 미국 대학 석사로 갈 수 있을까요??

세부 전공은 cm지망하고 있고 인턴하던 분야도 이쪽입니다. 다만 시계열 데이터를 다룬 투고 준비하는 논문이 제 주 연구이력이라 도시관련분야인 교통인,urban planning쪽이 더 제 스펙을 어필하기 좋을 것 같기도 하고 관심도 있어서 이부분 선택에 있어서도 고민중입니다.. 이러한 분야 선택에 대한 조언과 해당 분야 탑15수준 스쿨에 thesis로 지원시 가능성을 알고싶습니다.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6.04

Stanford MS 지원하면 붙을 듯

대댓글 1개

2025.06.04

말씀은 너무 감사하지만 연구 경험도 4학년되면서 시작한 거라 너무 적고 학점도 안좋아서 안되지 않을까요..?ㅠㅠ

2025.06.04

석사 이후의 목표가 뭔가요? 학교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주로 thesis track에 집착할필요는 없습니다. coursework based여도 들어가서 연구하는거 막는 사람은 하나도 없어요.

대댓글 3개

2025.06.04

1. 가능하다면 박사 후 미국이나 호주에서 자리잡고 쭉 살고 싶습니다. 증여 문제나 다른 것들도 그렇고 한국에선 제 분야가 밝지 않은 거 같아서요..

2. 코스웍이던 리서치던 제 스펙으로 어디까지 붙을 걸 기대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조언 너무 감사합니다.

2025.06.04

토목쪽은 몰라서 답은 못드리지만, 미국에 정착하고 싶으시면 박사를 하시고 영주권 신청하시는게 가장 빠릅니다. 요즘 정책들 보면 무경력 비연구직 석사로는 힘들 가능성이 커요.

2025.06.04

답변 감사합니다 최선을 다해서 준비해보갰습니다!

2025.06.04

박사할거면 석사 타이틀에 목맬필요 없어요. 오히려 너무 높은 랭킹의 학교에서 석사했을때 좋은 성과가 안나오기 쉽습니다. 그렇다고 일부러 밑 랭킹을 지원할 필요는 없지만 그냥 맘편히 가지세요.

대댓글 7개

2025.06.04

랭킹이 높으면 더 안좋을 이유가 있을까요?? 전 랭킹은 최대한 높은게 좋은줄 알았네요..

2025.06.04

랭킹 좋아서 나쁠 것은 없는데 더 중요한 요소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박사학위잖아요.

석사로 끝낼거면 이름값 높을 수록 좋긴합니다. 이후 취직할때 기업들이 중요하게 생각하죠.

박사도 할거면 결국 박사하는 학교가 높은게 좋을거잖아요? 석사 하버드에서 하고 박사 이름 없는 주립대에서 하는 사람도 많은데 반대로 석사때 이름값은 낮아도 좋은 학교에서 박사하는게 기왕이면 낫겠죠. 근데 전자 케이스가 꽤 빈번합니다. 석사때 좋은 연구를 못하고 좋은 추천서를 못받았기 때문이며, 그 이유는 석사프로그램으로 돈 버는 명문대들일 수록 학생간 경쟁이 심해서 어필이 어렵다는거죠.

다시 말하지만 그렇다고 일부러 더 낮은 랭킹 석사를 노릴 필요는 없지만 설령 낮은 데에만 합격해도 전혀 문제될 것 없다는 겁니다. 박사 좋은 데서 하는 새옹지마가 될 수 있어요.

2025.06.06

조언 감사합니다 사실 제 스펙에 탑 30도 된다는 보장이 없을 거 같아서..최대한 노력해서 일단 한 군데라도 붙고 리서치 핏과 제가 잘해낼 수 있을지 모두 고려해서 최종 결정해봐야겠네요.

2025.06.06

솔직히 전공이 엄청 경쟁이 심한 분야는 아니라서 석사는 원하시는 데에 적당히 될 것입니다. 박사 시작하는 것부터는 문제일거에요. 거긴 경쟁이 약하면 그만큼 또 자리가 너무 적어서 결국 비슷비슷하게 어렵거든요.

2025.06.22

조언 너무 감사합니다. 박사 연구실 수나 자리를 보니 전전 cs보다는 적어도 없는 편은 아닌 거 같던데 많이 적은 편인가요..?학부 인원 수도 공대 내 중간 위치더라고요 purdue나 uiuc, UTaustin은 graduate program기준 해당 학교 내 최대규모급 프로그램으로 듣기도 했고요.

2025.06.22

경쟁률은 결국 상대적으로 결정된다는 뻔한 말을 한 것뿐입니다. 아무리 공대에서 중위권 규모여도 그만큼의 지원자가 있을 것이니까요.

그런데 내년 뽑는 숫자가 중요하니 한번 최근의 실제 석사 경쟁률을 알아봐보세요. uiuc와 austin 석사 규모가 크다는 것은 알고 있긴 합니다.

글쓴이 스펙이 그렇게 밀리는지 모르겠네요. 미래는 전혀 모르니 다양한 프로그램에 넣어보세요. 그리고 말했듯이 석사 좀 안좋은 학교 가도 괜찮습니다. 열심히해서 좋은 박사하면 돼요.

2025.07.02

좋게 말해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제가 추가 글도 조금 전에 올리긴했는데 논문은 사정이 생겨서 못쓰고 토플,GRE에 집중할 것 같습니다.. 다행히 마지막 학기 성적이 잘나와서 마지막 60학점 성적(생각보다 많은 대학들이 최종 60학점만 반영하더라고요)은 3.47/4.00, overall 3.42/4.00이 나오는 거 같습니다.

지금 이 스펙으로 탑 5-30위권 10개와 탑 40-50위권 1개 쓰려하는데 올리젝 받을 가능성이 있는 편일까요..? 40-50위권을 늘려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대학 목록은
UIUC, UT Austin, UC berkeley, U of Wisconsin, Purdue, georgia tech, Virginia Tech, U of Florida, Texas A&M, U of Delaware입니다.
자꾸 질문드려서 죄송합니다ㅠ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