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충청지역 지거국 공돌이 과 수석 학생입니다. 저는 석사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상황입니다. 끼리끼리 모인 지거국 내에서 도토리 키재기로 운좋게 좋은 성적를 받아 과 수석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만, 솔직히 skpyk와 같은 상위 대학원 욕심이 없진 않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타대 대학원이 웬만하면 석박 통합을 받으려는 경향이 있어서 석사과정을 받아주는 곳을 찾기가 힘들더라구요. 그래서 타대 입시에 실패하면 지거국 자대에 진학할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대학원 진학을 앞서 경험해본 선배님들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전자통신연구원 인턴을 했었는데, 감사하게도 박사님께서 다른 대학원 지원해보고 잘 안됬을 경우에는 본인에게 오는 선택지도 고려해봐라 라고 말씀해주신 부분도 있습니다. 그래서 생각이 많아지는 상황이구요.
선배님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5.07.18
BEST위에 잘못된 정보가 많은데 석사만 하시면 상위권 대학으로 가는 의미가 크게 없습니다. 석사 졸업자는 학부 어딘지와 학부 학점으로 거의 당락이 좌우되고, SKP에서 석사를 했더라도 석사만 했다면 별로 크게 가산점이 되지 않습니다.(차라리 기업 인턴이나 근무 경력이 훨씬 좋은 스펙입니다.) 작성자부늬 아무리 우물 안 개구리라고 스스로를 깎아내리셨지만, 지거국이라도 수석은 수석입니다. SKP 지원해서 박사까지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잘 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게 벨류가 압도적으로 크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2개
2025.07.18
심지어 석사 때 대단한 연구를 했더라도 네이처 사이언스가 아니면 인사팀이 잘 모릅니다. 석사 보다는 인턴이나 근무경력 쌓으시는게 합격률이 훨씬 높다고 생각합니다.
2025.07.19
조언 감사합니다. 최근 학과 교수님과 상담을 진행하며 작성한 글과 비슷한 내용을 말씀드렸는데, 박사를 권해주시더라구요. 그러나 박사를 하더라도 석사 후 박사를 고려해보고 싶은데, 석사를 뽑아주는 대학원이 찾기 힘든게 역시 걸림돌이네요.
2025.07.16
네 대학 급 하나 떨어질때마다 반토막 나는 수준
2025.07.17
아무리 석사는 실적이 중요하다고 해도 대학 레벨도 영향이 없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2개
2025.07.17
실적은 박사가 중요하죠 석사 실적은 진짜 하나도 안중요함.. 실적 지리는 지방대 학점낮은 석사보다 무실적 SPK 고학점 학부 + SPK 석사를 더 기업에서 높게보는 슬픈 현실
2025.07.18
ㄴ당연히 후자를 높게보죠. 지방대에서 실적 좋은게 99% 교수가 다 해준건데
2025.07.17
석사는 안타깝게도 어느정도 보는거같아요
2025.07.17
대학원 레벨말고 학부 레벨 보통 봅니다
2025.07.17
솔직히 요새 같이 취업 어려울때는 석사 학위 있나 없나가 큰 의미 없을듯. 석박사 공채가 거의 소멸인데, 경력직이나 중고 신입 어떻게 상대하겠음ㅎㅎ 서포카 석사냐 아니냐 보다, 경력직 압살할 탑 컨퍼 2저자라도 다수 만드는게 그나마 취업에 유리할듯
2025.07.18
석사는 어디에서 해도 학사 마치고 갈 기업에 가는 느낌입니다. 학사가 중요합니다.
석사때 대단한 논문을 쓰면 예외일 수 있으나 어렵죠. 그리고 자대에서 학부연구생 오래한 경우 석사때 이미 탑컨퍼런스 쓰는 학생도 있긴 합니다. 이미 대학원생 유사 생활을 2-3년 했으니. 근데 이건 자대에서 밖에 안되고 아마 본인이 있는 학교에는 이정도 해주시는 분이 없었을 겁니다.
연구 가능한 학교(성균관대, 한양대, 다양한 ist시리즈, 한양대erica 등)까지 확장해서 논문 잘나오는 랩실가서 박사를 하세요.
SP는 인기랩실은 불가능할거고 P는 운 좋으면? 지방이라? 잘 모르겠네요. YK나 성대 한양대도 자대생 많이 가는 인기 랩실은 힘들 수 있어요. 다만 SP보다는 확률이 높겠죠.
비인기 랩실중 연세 있으신 분들은 다는 아니지만 대부분 그렇게 열정적으로 안 봐줍니다. 젊은 분들은 본인 테뉴어가 걸려있으니 좀 낫죠. 뭐 그래도 다 잘 봐주지는 않음.
대댓글 2개
2025.07.18
SP -> SK로 정정 (서울대 카이스트)
2025.08.03
잘 읽다가 에리카가 저기에 왜...? 성한 ist 뒤에 나올급은 아닌거같은데
2025.07.18
위에 잘못된 정보가 많은데 석사만 하시면 상위권 대학으로 가는 의미가 크게 없습니다. 석사 졸업자는 학부 어딘지와 학부 학점으로 거의 당락이 좌우되고, SKP에서 석사를 했더라도 석사만 했다면 별로 크게 가산점이 되지 않습니다.(차라리 기업 인턴이나 근무 경력이 훨씬 좋은 스펙입니다.) 작성자부늬 아무리 우물 안 개구리라고 스스로를 깎아내리셨지만, 지거국이라도 수석은 수석입니다. SKP 지원해서 박사까지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잘 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게 벨류가 압도적으로 크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2개
2025.07.18
심지어 석사 때 대단한 연구를 했더라도 네이처 사이언스가 아니면 인사팀이 잘 모릅니다. 석사 보다는 인턴이나 근무경력 쌓으시는게 합격률이 훨씬 높다고 생각합니다.
2025.07.19
조언 감사합니다. 최근 학과 교수님과 상담을 진행하며 작성한 글과 비슷한 내용을 말씀드렸는데, 박사를 권해주시더라구요. 그러나 박사를 하더라도 석사 후 박사를 고려해보고 싶은데, 석사를 뽑아주는 대학원이 찾기 힘든게 역시 걸림돌이네요.
2025.07.18
대댓글 2개
2025.07.18
2025.07.19
2025.07.16
2025.07.17
대댓글 2개
2025.07.17
2025.07.18
2025.07.17
2025.07.17
2025.07.17
2025.07.18
대댓글 2개
2025.07.18
2025.08.03
2025.07.18
대댓글 2개
2025.07.18
2025.07.19
2025.07.18
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