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 10개 중에 자기 학교 빠져서 화나셨나보다.
8 - 직접증거가 있으면 신고 하세요. 없어도 진짜 조작으로 승승장구했다면 늦든빠르든 뽀록나서 나락갈 날이 반드시 옵니다.
부정행위는 그 자체로도 문제이지만 행위자의 사고행동양식을 뒤틀어버리는 것이 진짜 문제입니다. 인지부조화가 정말 무서운거예요.
연구자로서의 이상과 부정한 나에 대한 인지가 부조화를 일으키면, 사람은 행위를 고치기보다는 이 정도부정은 원래 괜찮은거다 라고 합리화 해버리면서 경계가 무너져요.
한 번 선을 넘어버리면 이후의 모든 행동과 판단이 과거의 자신을 미화하는 방향으로 점점 더 심화됩니다.
31 - 살다살다 포닥이 뽕찬 경우는 또 처음 보네
11 - 머 어때서... 박사 존나 힘들게 땃는데 ㅜ
8 - 집착하는 것 같은 게 아니라 집착하고 있습니다.
7 - 다행입니다. 주위에 교수가 좋은 직업이라고해서 억지로 교수가 되신분 있는데,, 매일매일 지옥이라고 하네요. 천직이신 듯 합니다
8 - 부/경 정도의 교수는 중경외시급 이상이라고 봅니다. 자대생 수급도 매우 좋고, 등록금 저렴해서 인건비 걱정도 덜하고. 무엇보다도 공무원 신분이라 안정적이고 승진실적이 비교적 수월해요. 원하면 추후에 인서울로 옮기면 그만이니
8 - 부산대 현직입니다.
저는 부산대와 인서울상위(중경외시 라인) 합격했었는데 부산대로왔습니다. 삶은 매우매우 만족합니다. 과제따기 수월하고 지역사회에서 대우도 매우좋고 부산의 삶도 좋습니다ㅎㅎ
주위 부산대 교수님들도 skpyksh정도나 unsit 아니면 대부분 부산대 더 선호하실것같습니다. 최근에 이직하신분들도 skpyk만 가시고요.
8 - 1, 2는 어쩔 수 없고 3은.. 석사부터 유학 가고 싶으시면 타대랩실은 힘들 것 같습니다. 저도 여러 군데 컨택 과정에서 교수님들 몇 분과 면담을 했는데, 다들 안그래도 타대생인데 진학할것도 아닌 사람을 왜 자기가 지도해줘야 하냐고 하셨습니다. 석사 후 박사 유학을 꿈꿔도 타대생을 받을 때는 대부분 석박통합으로 받으시다보니... 아무래도 3번이 저는 가장 걸립니다.
7 -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저는 컨택 후 면담에서 "연구해보고 싶다"를 먼저 말하면 싫어하시는 분들이 계셨습니다. 직접 해 보니 학부 지식과 연구에 필요한 지식은 꽤나 다르고, 분야마다 차이가 좀 있겠으나 연구를 하려면 굉장히 많은 선행지식이 요구되는 것 같습니다. (학부에서 배우는 이론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이전에 실행된 수많은 논문에 담긴 실험의 과정과 결과, 그리고 실험 과정에서 데이터를 얻고 분석하고 정리하는 것까지 모두 포함해서 말입니다.) 그래서 "연구해보고 싶다" 보다는 "연구와 학부공부의 차이를 직접 보고 싶다.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공부하고 구경이라도 해보고 싶다" 로 시작하여 들어가서 선배님들 따라다니며 익히고 나서, 조금씩 연구에 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7
대학원과 취업 선택 고민 인생조언 부탁드립니다....
2023.12.14
안녕하세요 이번 2월 졸업예정의 막학기 학부생입니다. 학점은 4.1, 학부는 중경외시라인입니다.
학부 4년동안 대학원에 진학을 위한 스펙(대외활동, 연구실 인턴, 영어 등등) 을 만들어놓았는데 이번 전기 모집에 사전컨택이 잘 이뤄지지 않아 현재 한 곳만 넣고 결과 기다리는 중입니다. 근데 면접을 너무 못봐서 거의 떨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떨어질 거를 대비해서 다른 연구실에도 후기 모집 전까지 인턴이라도 하면 붙을까 해서 계속 컨택을 드리는데 다 거절하시네요.. 한곳은 컨택이 되어 면담을 하고왔는데 그 인턴십이 합격을 보장해줄 수 없고, 가산점도 없고, 그 인턴십을 6개월하는 동안 인건비가 아예 지급되지않고 주 5일을 왕복 3시간 이상 왔다갔다해야되는데.. 이런 상황에 정말 대학원 진학이 제가 원하는 건지 너무 의심이 듭니다.
제 전공 특성상 대부분 거의 대학원 진학을 해야 전공을 살려 취업을 할 수 있고, 취업으로 바로가는 경우는 아예 다른 분야인 마케팅이나 영업 쪽에 지원해야합니다.. 저는 연구직 r&d직무를 희망하구요. 취업을 할 만한 스펙은 지금부터 만들어야합니다..
이런 경우에 선배님들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 것 같으신가요... 정말 요즘 하루하루 너무 힘 듭니다.
1. 6개월 인턴 후 대학원 지원 : 인턴기간동안 인건비 지급x, 까딱하면 시간만 날릴 수 있음. 대학원 진학후에도 등록금이 쎔..(거의 7-800만원..)
2. 취업 준비 : 취업 관련 스펙이 아예 안만들어져있음. 취업할 수 있는 직무는 연구직쪽아님..
정말 현명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학부 4년동안 대학원에 진학을 위한 스펙(대외활동, 연구실 인턴, 영어 등등) 을 만들어놓았는데 이번 전기 모집에 사전컨택이 잘 이뤄지지 않아 현재 한 곳만 넣고 결과 기다리는 중입니다. 근데 면접을 너무 못봐서 거의 떨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떨어질 거를 대비해서 다른 연구실에도 후기 모집 전까지 인턴이라도 하면 붙을까 해서 계속 컨택을 드리는데 다 거절하시네요.. 한곳은 컨택이 되어 면담을 하고왔는데 그 인턴십이 합격을 보장해줄 수 없고, 가산점도 없고, 그 인턴십을 6개월하는 동안 인건비가 아예 지급되지않고 주 5일을 왕복 3시간 이상 왔다갔다해야되는데.. 이런 상황에 정말 대학원 진학이 제가 원하는 건지 너무 의심이 듭니다.
제 전공 특성상 대부분 거의 대학원 진학을 해야 전공을 살려 취업을 할 수 있고, 취업으로 바로가는 경우는 아예 다른 분야인 마케팅이나 영업 쪽에 지원해야합니다.. 저는 연구직 r&d직무를 희망하구요. 취업을 할 만한 스펙은 지금부터 만들어야합니다..
이런 경우에 선배님들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 것 같으신가요... 정말 요즘 하루하루 너무 힘 듭니다.
1. 6개월 인턴 후 대학원 지원 : 인턴기간동안 인건비 지급x, 까딱하면 시간만 날릴 수 있음. 대학원 진학후에도 등록금이 쎔..(거의 7-800만원..)
2. 취업 준비 : 취업 관련 스펙이 아예 안만들어져있음. 취업할 수 있는 직무는 연구직쪽아님..
정말 현명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대학원 진학 vs 취업 김GPT 2 9 8390
취업과 대학원 김GPT 19 4 1531-
3 15 2534
대학원 진지하게 고민 김GPT 0 6 7623-
1 5 8238
대학원vs취업 김GPT 5 9 3826
대학원 vs취업 꼭꼭 조언부탁드립니다 김GPT 0 5 7495
대학원과 취업사이에서 고민입니다. 김GPT 1 5 2376-
0 5 788 -
179 34 20592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명예의전당 181 36 32458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70 18 2911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12.14
대댓글 1개
2023.12.14
대댓글 4개
2023.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