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곧 졸업인데 실적이 애매해요

2025.06.27

13

7440

곧 박사 졸업 예정입니다. (토목 콘크리트 재료)
졸업을 앞두고 실적이 애매해서 제가 기업, 정출연 가능성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4년 기준
1. SCI: 주저자 7편 (mdpi Q1 3편, 분야 10% 이내 3편, 분야 50% 이내 1편)
2. KCI: 주저자 7편
3. 상장: 석사~ 현재까지 19건 (수상자 본인 12건, 이외 공동)
4. 특허: 석사~ 현재까지 출원 9건, 등록 3건
여기까지 입니다.
논문이 가장 중요할텐데, 임팩트가 약한 느낌이 많이 듭니다.
학벌도 지사립이구요. 자대에서 쭉 있었습니다.
제가 정출연, 대기업 가능성이 있을까요?
도저히 무리면 포닥을 고려중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IF : 1

2025.06.28

BEST Mdpi는 솔직히 의미 없고 분야 10%내 3편이게 중요할듯

실적/학벌 둘다 솔직히 별로지만 박사는 fit이 맞아사 취업하는 경우도 있으니깐 전략을 잘짜시길

대댓글 4개

2025.06.28

조금 다른생각입니다. 정출연의 경우에는 정성적인 실적도 보지만, 정량적인 실적도 좋게볼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탑저널 한두편만 있는사람보다 탑저널 한두편에 낮은저널 여러편있는사람들이 유리할때가 많아요. 상황에 따라서 정량적인 실적을 충분히 챙길수있다는걸 보여주기도 하니까요.
대기업은 모르고 정출연조차도 기관마다 다르겠지만 본인 메인논문 3편 혹은 5편 제출하라고 할거에요. 메인 실적으로 10% 이내 3편을 강조하시면서, 추가적으로 정량적인 실적도 충분하다는걸 잘 보여주심이 좋아보입니다.

2025.06.28

냉정하게 저게 실적이 별로라구요?

2025.06.28

저도 논문 실적이 좋은지를 잘 모르겠어서요 주변 지사립, 지거국 랩실 실적을 보면 저보다 물론 좋은 논문 쓰시는 분들이 한두분 계시는데 이외는 제가 더 낫다고는 보고있습니다. 근데 인서울쪽 비교하면 그냥 처참해서 막막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2025.06.29

분야가 특이한건가요??
전 아는 후배가 토목인지 건설?인지 잘은 모르지만 인서울 중하위권 교수될 때, 주저자 10편 내외였던거 같은데..
근데 박사 졸업 시점에 7편이 인서울 학생들에 비해 작은거라고요? 제가볼땐 평균보다 높습니다 최상위는 아니라도..

2025.06.28

분야별로 정확한 답변을 얻기 어려울수도 있겠네요, 토목 콘크리트분이 나타나기 전까진..
그냥 이공계 기준으로보면 졸업시점에 7편 게재상태면 좋은 편인거 같은데요? 기업, 정출연은 졸업 직전부터 바로 두드려보면서 자대포닥하면 금방 뚫릴꺼 같고, 임용을 노리시는거면 해외포닥가셔서 실적 더 쌓으시면 되구요.
원래 자기자신 분야는 자기가 제일 잘 알잖아요. 주변에 비슷한 학교 레벨에 비슷한 연구실의 졸업생들이 졸업 시점에 실적 얼마나 됬었는지 서치해보세여~

대댓글 1개

2025.06.28

제 위로 박사 선배 한분이 계시는데 이분은 포닥으로 있으신다고 하시고, 실적이 저랑 비슷해서 실상 졸업 이후 진로 결정이 어려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IF : 1

2025.06.28

Mdpi는 솔직히 의미 없고 분야 10%내 3편이게 중요할듯

실적/학벌 둘다 솔직히 별로지만 박사는 fit이 맞아사 취업하는 경우도 있으니깐 전략을 잘짜시길

대댓글 4개

2025.06.28

조금 다른생각입니다. 정출연의 경우에는 정성적인 실적도 보지만, 정량적인 실적도 좋게볼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탑저널 한두편만 있는사람보다 탑저널 한두편에 낮은저널 여러편있는사람들이 유리할때가 많아요. 상황에 따라서 정량적인 실적을 충분히 챙길수있다는걸 보여주기도 하니까요.
대기업은 모르고 정출연조차도 기관마다 다르겠지만 본인 메인논문 3편 혹은 5편 제출하라고 할거에요. 메인 실적으로 10% 이내 3편을 강조하시면서, 추가적으로 정량적인 실적도 충분하다는걸 잘 보여주심이 좋아보입니다.

2025.06.28

냉정하게 저게 실적이 별로라구요?

2025.06.28

저도 논문 실적이 좋은지를 잘 모르겠어서요 주변 지사립, 지거국 랩실 실적을 보면 저보다 물론 좋은 논문 쓰시는 분들이 한두분 계시는데 이외는 제가 더 낫다고는 보고있습니다. 근데 인서울쪽 비교하면 그냥 처참해서 막막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2025.06.29

분야가 특이한건가요??
전 아는 후배가 토목인지 건설?인지 잘은 모르지만 인서울 중하위권 교수될 때, 주저자 10편 내외였던거 같은데..
근데 박사 졸업 시점에 7편이 인서울 학생들에 비해 작은거라고요? 제가볼땐 평균보다 높습니다 최상위는 아니라도..

2025.06.28

논문 실적의 양은 같은 전공에 분야가 살짝만 달라도 기준이 달라집니다. 그리고 MDPI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앞에 의견에 저는 더 동의하네요. 좋은 것 한두편에 양이 추가로 더 많은 경우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은 상위 5퍼 이내 주저자 한두편을 갖고 있고 상위 20퍼 이내 주저자/공저자 여러편이 있을 때 이야기가 맞을 것 같습니다. 학계에 남으시려면 해외포닥 1순위, 정출연 포닥2순위 정도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어차피 내 전공과 딱 맞는 TO가 나와야 들어갈 수 있으므로 비정규직으로 좀 버티고계셔야 합니다. 나이도 좀 중요한데, 아직 30대 초반보다 어리시면 2-3년 더 포닥 있어도 좋습니다만, 한 기관에 너무 오래 있는 것은 비추입니다. 그리고 잘 아시겠지만 연구직은 논문 많은게 적은 것 보단 훨씬 낫습니다. 본인이 지금까지 연구한 내용에서 부스러기라도 긁어모아서 논문 쓰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포닥을 가시려면 무조건 본인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랩으로 가시기 바랍니다. 본인이 지금까지 훈련 받은 전문성에 약간의 성장을 더해서 좋은 논문을 쓰실 수 있는 곳으로 가세요. 좋은 논문 많이 가지고계시면 무조건 플러스는 아니어도, 학계에서는 언제든 마이너스 요소는 보통 안됩니다. 나중에 혹 사기업으로 진로를 틀더라도 있는 논문에서 좀 추려서 일부 논문만 지원서에 기재할순 있어도, 없는 논문을 지어낼 순 없으니까요. 정출연이던 학교던, 박사 졸업자가 바로 학계 정규직을 얻는 일은 점차 드물어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실적으로 판단 마시고, 앞으로 내 실력을 어떻게 극대화해서 더 나은 실적을 만들어내냐에 따라 충분히 달라질겁니다. 자신감 갖고 준비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5.06.28

감사합니다 조언 새겨듣고 움직이겠습니다

2025.06.28

인서울 토목 콘크리트 재료 박사과정입니다.
글쓴이 분이 작성하신 바로 실적은 충분해 보입니다.

한가지 걸리는 점이 있다면, 저희 분야야 원래 고일대로 고인 분야라는 점. 지도교수의 사회적 지위, 취업에서 힘을 써주는 정도가 중요할텐데 그런 부분에선 어떠신 분인가요?

대댓글 1개

2025.06.28

교수님께선 대기업 연구원 출신이십니다 졸업후 바로 임용이든 정출연 지원하라고 하셔서 추천서 같은게 있다면 받기는 수월할 것 같습니다

2025.06.30

본인이 잘 아실겁니다. 콘크리트 재료 분야라면 본인이 가지고있는 열정에 비례하여 논문의 질 및 양이 결정됩니다. 냉정하게 말해서 정출연은 쉽지 않아보입니다. 콘크리트 재료 분야에서 갈 수 있는 정출연이 4군데 정도 있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그쪽으로 취직하신 박사님들의 실적들을 한번 보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또 제가 전해듣기로는 정출연 포닥을 하시는게 좋다고 합니다 (정출연 취직 희망시). 아무튼 남은 기간동안 연구에 정진하여 더 많은 연구실적을 쌓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댓글 1개

2025.06.30

답변 감사합니다.
최근 임용되신 박사분들 실적들을 살펴보았는데, 실적으로는 유사 혹은 우위로 보여 가능성이 보입니다.
지방대여서 걱정이 많았는데 덕분에 화이팅 하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