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생 논문제출 제1저자?

2025.05.02

4

3278

안녕하세요.

학부생이지만 기회가 되어 다가오는 마감일에 외국 저널에 제 1저자로 논문을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도움을 주신 연구실분들이 계신데, 이런 경우에는 저자 기여도를 미리 정하고 작성을 하게 되나요?

초안은 작성하였고, 제가 거의 다 작성하였습니다. 연구는 제가 메인으로 진행하고 같이 도와주신 분들은 교수님과의 미팅에 함께 참여하는 정도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논문 순서상 제일 앞에 있으면 제1저자가 되는 건가요?
순서상 제일 앞에 있더라도 실제 저널에 제출하는 사람이 제가 아니면 문제가 생기거나 하나요?

직접 물어보기가 애매하여 우선 여기에 여쭤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05.02

BEST 이 과정에서 도움을 주신 연구실분들이 계신데, 이런 경우에는 저자 기여도를 미리 정하고 작성을 하게 되나요?
: 기여도를 수치로 정할 순 없지만, 각각 어떤 것을 기여했는지 파악해야합니다.
딱히 없는데 실적 챙겨주려고 다른 사람들 끼워넣는 느낌이라면 교신저자가 되는 교수님에게 여쭤보세요.
/
논문 순서상 제일 앞에 있으면 제1저자가 되는 건가요?
: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 논문이 여러 명 있다고 치면,
A, B, C, D, E, F* - 이 순서는 A 가 1저자, B, C, D, E는 공저자(2저자라고도 하는 사람도 있는데, 그냥 참여 저자임.), F*는 교신 저자 입니다.
* 대신 단검(Dagger) 표기로도 하고, * 표기로도 하고 뭐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

A1, B1, C, D, E, F*, G* - 이 순서는 A랑 B가 공1저자 입니다. 이때 숫자 1은 위첨자로 올라가야합니다. (A^1 이 되어야 한다는 말.)
그리고 교신 저자도 공동으로 2명 이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맨 앞이 제1저자, 맨 뒤가 교신 저자 입니다.
그리고 이건 어디까지나 보여지는 관점인데, 맨 앞에 이름이 꽤나 중요합니다. 인식에 있어서...
공동 1저자라고 하여도, 맨 앞이 더 임팩트 있겠죠. 정량적인 실적으로는 똑같다고 해도.
/
순서상 제일 앞에 있더라도 실제 저널에 제출하는 사람이 제가 아니면 문제가 생기거나 하나요?
: 저널에 제출하는 것을 투고(Submission)라고 하는데, 이는 제1저자가 아니라, 교신 저자가 하게 됩니다.
어차피 교신 저자의 계정으로 그 저널에 업로드해야해서, 작성자님이 하는 경우는 없을겁니다.
(논문 작성이 완료 되고 영작까지 다 끝냈으면 교신 저자에게 패스하여 교신 저자가 그 저널에 온라인으로 업로드.)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5.02

이 과정에서 도움을 주신 연구실분들이 계신데, 이런 경우에는 저자 기여도를 미리 정하고 작성을 하게 되나요?
: 기여도를 수치로 정할 순 없지만, 각각 어떤 것을 기여했는지 파악해야합니다.
딱히 없는데 실적 챙겨주려고 다른 사람들 끼워넣는 느낌이라면 교신저자가 되는 교수님에게 여쭤보세요.
/
논문 순서상 제일 앞에 있으면 제1저자가 되는 건가요?
: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 논문이 여러 명 있다고 치면,
A, B, C, D, E, F* - 이 순서는 A 가 1저자, B, C, D, E는 공저자(2저자라고도 하는 사람도 있는데, 그냥 참여 저자임.), F*는 교신 저자 입니다.
* 대신 단검(Dagger) 표기로도 하고, * 표기로도 하고 뭐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

A1, B1, C, D, E, F*, G* - 이 순서는 A랑 B가 공1저자 입니다. 이때 숫자 1은 위첨자로 올라가야합니다. (A^1 이 되어야 한다는 말.)
그리고 교신 저자도 공동으로 2명 이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맨 앞이 제1저자, 맨 뒤가 교신 저자 입니다.
그리고 이건 어디까지나 보여지는 관점인데, 맨 앞에 이름이 꽤나 중요합니다. 인식에 있어서...
공동 1저자라고 하여도, 맨 앞이 더 임팩트 있겠죠. 정량적인 실적으로는 똑같다고 해도.
/
순서상 제일 앞에 있더라도 실제 저널에 제출하는 사람이 제가 아니면 문제가 생기거나 하나요?
: 저널에 제출하는 것을 투고(Submission)라고 하는데, 이는 제1저자가 아니라, 교신 저자가 하게 됩니다.
어차피 교신 저자의 계정으로 그 저널에 업로드해야해서, 작성자님이 하는 경우는 없을겁니다.
(논문 작성이 완료 되고 영작까지 다 끝냈으면 교신 저자에게 패스하여 교신 저자가 그 저널에 온라인으로 업로드.)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5.02

보통 논문은 1저자가 제출하지 않습니다. 교신저자 명의로 제출하지요.

교수가 계정을 공유해서 학생에게 시키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요.

2025.05.02

논문 제출은 1저자든 교신이든 상관없습니다. 논문 제출시 저자들 기입하고 누가 교신인지도 표시하기 때문에 이메일이든 향후 논문 리뷰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 응답할 사람이 누구인지 정해집니다.

논문 저자는 지도 교수님이 정하실 것 같고 보통은 작성자가 1저자이고 기여도에 따라서 공동 1저자 또는 공저자로 나뉠 것 같습니다. 이 경우 저자 표시는 저널의 지침에 따르면 될 것 같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