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한 교수님 연구실 졸업하신 박사님 구글 스칼라에 검색하니까 논문 4개 공저자인데 박사졸업하셨더라고요.. 아마 해당 교수님이 평이 낮은 저널은 허락안하셔서 그런거같은데 주저자가 하나도 없는데 박사 졸업이 가능한건가요? 석박통합 6년만에 졸업하셨던데 sci 주저자가 하나도 없다는게 좀 의아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8.06
BEST졸업 요건은 학교, 학과의 규정에 따라 정해집니다. 공저 중 공동1저자가 있을수도 있고, 특허출원이나 등록등 다른 실적이 인정되었을수도 있죠.
제가 졸업한 학과는(skp) 최근 졸업요건을 sci 최소 2편에서 Q1 1편 혹은 Q2 이하 1편에 대체활동인정보고서 제출 로 완화했습니다. 주저자 인정 방식에도 지난 몇년간 변화가 좀 있었고요.
2025.08.06
졸업 요건은 학교, 학과의 규정에 따라 정해집니다. 공저 중 공동1저자가 있을수도 있고, 특허출원이나 등록등 다른 실적이 인정되었을수도 있죠.
제가 졸업한 학과는(skp) 최근 졸업요건을 sci 최소 2편에서 Q1 1편 혹은 Q2 이하 1편에 대체활동인정보고서 제출 로 완화했습니다. 주저자 인정 방식에도 지난 몇년간 변화가 좀 있었고요.
2025.08.06
그거야 윗분 말씀대로 해당 학교 및 교수의 기준 및 재량이죠.
2025.08.06
졸업은 교수맘
2025.08.06
학교마다 졸업 규정이 다를 수 있는데 공동 1저자가 있을 수 있죠
2025.08.06
최소한의 학과 기준은 있는 곳이 있는데, 보통 SCI 1~3편 사이임 이공계는. 아무리 교수 재량이라도 그건 넘어야 일반적으로 졸업 가능하고, 혹시 안되도 그 사유를 교수가 잘 설명하면 된다고 들음 예를들어, 지금 논문이 submit에 revision 중인데, 곧 accpeted될 확률이 크다, 근데 피어 리뷰는 특성상 시간을 예상하기 힘들다. 그래서 이 학생은 논문 요건도 시간문제지 충족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교수가 사유서를 적는 경우도 있음.
그리고 윗 덧글처럼 공저자인 것처럼 보여도, 공동 1저자 일 수도 있으니 잘 확인해보셈. 어차피 실적 안되면 님하고 경쟁이 안되는 물박사니 별로 신경쓰지 말고 열심히 논문이나 쓰셈
2025.08.06
저는 카이에서 전부 공저자 5개 쓰고 졸업했어요 모두 다 제 1 저자고 저랑 같이 연구에 참여해준 석사생(당시 부사수)들은 고생한 사이인데 2저자로 보내고 싶지 않아서 그렇게 했었네요.
대댓글 1개
2025.08.07
그건 공동 제1저자 라고 하심이...공저자라고 하면 헷깔려요.
단독 제 1저자 <-> 공동 제 1저자 > 공저자
2025.08.07
학교/학과마다 방침이 다를겁니다. 위에 유클리드 님말씀 처럼 사유서를 적는경우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특정학교에서는 졸업여건에 논문 수를 정해두지 않는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졸업했던 카이스트 학과에서도 현재는 모르지만 당시에 학과졸업여건에는 논문수는 포함안시켰습니다. 논문과 무관하게 심사위원들 판단하에 졸업할 수준인지를 결정하겠다는 거였죠. 물론 심사위원 들어가보시면 알겠지만 (저도 박사졸업심사는 아직 많이는 못해봤지만) 한국은 생각보다 시니어 교수가 졸업할만하네! 이런식으로 분위기 잡으면 거기에서 박치기를 하기는 어렵긴 합니다. 특히나 그 시니어교수가 지도교수면 더더욱 그렇게되고요. spk에서 한번, 타 낮은학교에서 한번했는데 spk조차도 제가 참여했던 심사는 박사졸업을 하기에는 연구의 완성도/깊이나 논문 정량적 실적이든 다 많이 부족해보였는데도 그냥 졸업이 됐습니다. ㅎㅎ
2025.08.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과 졸업기준이 별도로 없다면 쌉가능. 물론 이런 경우에도 암묵적인 교수님들간 기준이 존재할 가능성 높음. 내가 아는분은 Sci Adv. 리비전되니깐 디펜스 기회 주더만요
2025.08.07
졸업후 논문이 철회되었을수도....?
2025.08.07
미국 탑스쿨에손 1저자 논문내하 박사받는 자체가 흔하지 않아요
2025.08.08
학교 요건이랑 지도 교수 맘에 따라 졸업은 할 수도 있지 근데 본인 스스로 sci 논문 저자도 없으면서 자신을 박사라고 할 수 있을까? 지도 교수의 연구 스타일에 따라 학위 기간 동안 논문을 못 쓰다가 박사 학위 받고 나서 자신의 연구를 하면서 뭐라도 논문은 쓸 수 있겠지만 사소한 논문이라도 써봤어야 연구자라고 할 수 있지
2025.08.06
2025.08.06
2025.08.06
2025.08.06
2025.08.06
2025.08.06
2025.08.06
대댓글 1개
2025.08.07
2025.08.07
2025.08.07
2025.08.07
2025.08.07
2025.08.08
2025.08.09
202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