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를 재학 중인 1학년 학생입니다. 현재로서의 목표는 WHO와 같은 국제기구 산하에서 질병/생리학 관련하여 폭넓게 연구하는 연구자를 꿈꾸고 있습니다. 제가 관심있는 연구분야는 생물학 자체보다는 의학 쪽에 더 가까운 것 같지만 어느 쪽을 택해도 크게 상관은 없습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서(병역관련 X)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미국/캐나다에 niw로 이민하고자 하는데요, 몇가지 고민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만약 현재 재수를 하게 된다면 지거국 의대 정도에 합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에서 학사 후 자대 의과학대학원에서 석사를 하고 미국 박사를 노려보는 것과, 지방의 MD졸업후 미국에서 PhD를 취득하는 것 중 어느 길이 더 현실성 있고 접근하기 쉬운 길일까요?? 의대에 진학할 경우 학점때문에 미국 대학원 진학이 어렵다고 들었고, 학부 네임밸류도 사실상 없을뿐더러 미박 출신 교수님들도 거의 안 계실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미박을 목표로 하고 있을 경우 의대에 진학하는 것의 장점이 사실상 없다고 보는게 맞을까요..?? 또 미박 졸업 후 미국 교수 임용이나 연구직 취직에 있어서 MD 학위가 주는 특별한 장점이 있을지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한국을 완전히 떠날 생각이어서 의사면허가 주는 안정감과 같은 부분은 전혀 개의치 않구요, 의사면허를 갖고 있어도 미국 이민은 어렵다고 해서 niw만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고등학교를 막 졸업한 학부신입생이다 보니 정보를 구할 경로가 없어서 두서없이 글 적어봅니다.. 먼저 길을 걸어가신 분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3.05.01
? 이민생각하면 당연히 학부부터 나가야죠. 이상한것끼리 비교하고 계시네요.
대댓글 3개
2023.05.01
미국학부 출신 아니신데 미국에서 거주하시는 분들도 몇분 계시던데,, 미국학부가 아니라면 미국 이민은 불가능할 정도인가요..?? 제 현재 상황이 지금 당장 미국 학부를 할 만큼 경제적으로 여유있지가 않아서요..
2023.05.01
학부 아니어도 미국 이민하시는 분 많아요 대학원으로요
2023.05.01
가능은 합니다만 1순위가 이민이면 무조건 먼저 나가는게 유리하죠. 미학부 출신으로 미 다이렉트 박사 지원하는게 한국에서 학부하고 나가는것보다 훨씬 가능성 높고요.
2023.05.03
박사 과정 입학 어드미션만 놓고 보자면 둘 중에는 설대 생명과가 압도적. 미국 박사과정생 뽑는데 엠디 있다고 엄청 우대해주지 않기 때문에 snu 이름값 + 학점과 중요도가 비교가 안됨. 연구 경험 및 논문 참여 역시 비교 안됨. 유학 준비도 선후배 동료들과 함께하는 것과 지방에서 나홀로 하는 것 비교가 안됨.
2023.05.04
지방의대에서 외국 유학은 역학/보건학이 아니면 거의 힘들다고 보셔야 합니다. 의대 커리큘럼 상 대학원 prerequisite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고 학점도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2023.05.18
의대를 졸업하시면 MD인데 MD가 유리한 포지셔닝으로 진학하시면 되구요. 근본 임상관련의 연구를 하시는 게 목표라면 funding을 따는게 MD가 훨씬 유리합니다. 차라리 MD이후 USMLE를 따시고 진학하시는것도 방법입니다.
2023.05.18
WHO에 일하시고 싶다면 Epidemiology Public Health 관련 기본이 되어있으신게 훨씬 유리합니다. 의대 교육의 장점이자 단점은 짧은 기간에 생리학 생화학 해부학 조직학 병리학 미생물학 면역학 세포생물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의학물리 통계학 예방의학 등의 내용을 배우기에 제대로 다 소화하기 쉽지않슥니다. 본인만 의지가 있다면 충분히 폭넓게 배우실수있고 임상 의학과의 연계도 가능합니다.
실제 의대내에 기초교실은 대부분 M.D. P h D 였으나 최근에서 의사 지원자가 거의없어 phD가 대부분 신규임용됩니다. 국내에서 의대교수를 한다는 생각이 있으시면 의사면허 하나만으로조 길은 엄청 쉽게 열릴겁니다.
임상관련 연구에 있어서도 사실 펀딩을 따는면에서 분명 의사ㅡ과학자는 장점이 큽니다. 그리고 niw도 의사는 따기가 상대적으로 쉬운편입니다.(미국면허가 없다하더라도) 국내전문의 이후 다시 미국에서 의대 교수 하시는분도 적지 않습니다.
2023.05.01
대댓글 3개
2023.05.01
2023.05.01
2023.05.01
2023.05.03
2023.05.04
2023.05.18
2023.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