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학부 cs 1티어 1저자 북미권 취업 vs 미박후 취업

2023.09.18

7

596

안녕하세요, 바쁘신 만큼 짥게 질문과 상황을 요약해드리겠습니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시아 CS 10위내 대학, CS - AI스트림 (3.4/4), 12월 졸업예정
1저자 논문 : 1개 (cs 1티어, if 3후반)
특허 : 0.5.. (진행중이라 0.5입니다)
경력 : 만 3년

북미권 취업 준비중인데 비자가 없다보니 캐나다 쪽 위주로 보고있고, 학부->미박까지 같이 고려해야하나 고민중입니다.
펀딩이랑 기한을 좀 알아봤는데, 그것 보다는 어느 분 밑에 들어가서 연구를 잘하고 잘 끝낼 수 있냐가 중요하더라구요.

혼자 데이터 수집부터 논문 작성까지 해보니까 재밌긴한데 이거 사람이 할 게 못되더라구요...ㅋㅋㅋ

연구에는 재미가 조금 있은 것 같긴 하지만 궁극적 목표는 취업이여서 고민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09.18

if점수를 잘못 적은 것 같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4후반)

2023.09.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경력이 먼가요?

대댓글 3개

2023.09.18

아 회사에서 일한 거요! 병특이랑 +로 3년 일한거라 보시면 됩니다.

2023.09.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잘 이해가 안되어서 그런데 평범한 루트랑 다른 루트를 타신거 같네요.
학사졸업도 전인데 병특 석사급 전문연을 하셧다는 건가요?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 듯 합니다.

2023.09.19

3년 현역 병특이고, 일하면서 작업했던 플젝으로 논문 썼었습니다.

2023.09.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궁극적 목표가 취업이라면 일단 취업하고자 하는 나라 최고대학 석사로 진학하여 한학기 현지기업에서 인턴하고 취업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9.19

북미 석사는 방법은 문제라 적어두지는 않았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